더벅머리 수(竪)자는 설 립(立)자에 어질 현(臤)자를 했습니다. 어질 현(臤)자는 신하 신(臣)자에 도 우(又)자를 했습니다. 더벅머리 수(竪)자는 순수한 사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더벅머리 수(竪)자는 더벅머리 수(豎)자의 속자(俗字)입니다. 수갱(竪坑) 수자(竪子) 수기관(豎機關) 수로(竪爐) 수금(竪琴) 수혈(竪穴) 수요(竪窯) 횡설수설(橫說竪說)
순수할 수(粹)자는 의부(義符)로 쌀 미(米)자에 성부(聲符)로 군사 졸(卒)자를 했습니다. 군사 졸(卒)자는 단체로 맞추어 입는 제복을 그린 글자입니다. 군사 졸(卒)자는 옷의 바지 부분에는 끈으로 조여서 활동하기에 좋도록 만든 옷을 표시했습니다. 바로 볼 수(睟), 돌 수(晬), 얼굴 윤기 있을 수(脺), 재물 수(賥)자는 군사 졸(卒)자가 들어 있어서 ‘수’로 읽습니다. 순수(純粹) 생수(生粹) 정수(精粹) 국수(國粹) 무수(無粹) 수미(粹美) 대동문수(大東文粹)
수 수(繡)자는 의부(義符)로 가는 실 사(糸,糹)자에 성부(聲符)로 엄숙할 숙(肅)자를 했습니다. 엄숙할 숙(肅)자는 붓 사(肀)자 아래에 ‘𣶒’자를 했습니다. 붓 사(肀)자를 상앗대로 본다면 ‘𣶒’자는 물을 가두어 놓은 못이 됩니다. 엄숙할 숙(肅)자는 물 위에서 배를 저어가는 그림입니다. 배를 저을 때 마음은 두렵기도 하고 긴장도 되겠지요. 못 연(淵)자에서도 ‘𣶒’자가 물이 담겨져 있는 연못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녹슬 수(鏽)자도 엄숙할 숙(肅)자가 들어 있어서 ‘수’로 읽습니다. 수사(繡使) 수상(繡像) 수자(繡刺) 자수(刺繡) 수품(繡品) 수계(繡啟) 수당혜(繡唐鞋)
바칠 수(羞)자는 양 양(羊)자 아래에 삐침 별(丿)자를 하고 수갑 축(丑)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삐침 별(丿)자는 양(羊)을 요리했다는 표시입니다. 수갑 축(丑)자는 손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양 고기를 요리해서 손으로 뜯는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곧 양의 입장에서 보면 자신을 사람에게 먹이로 바친 상황입니다. 바칠 수(羞)자는 맛 잇는 음식 수(羞)자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수우(羞于) 수여(羞與) 수인(羞人) 수도(羞刀) 수구(羞口) 수용(羞容) 수겁(羞怯) 수치(羞恥)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