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수 수(雠,讎,讐)자는 새 추(隹)자를 둘 하고 그 사이를 갈라놓고 말씀 언(言)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새 추(隹)자는 사람을 뜻합니다. 두 사람 사이에 말씀 언(言)자를 한 것은 서로 사이가 나빠서 말이 오고간다는 뜻입니다. 사람 사이에 말이 생기면 원수가 된다고 본 것입니다. 수인(讎人) 수감(讎勘) 수혐(讎嫌) 수적(讎敵) 수월(讎月) 수교(讎校) 원수(怨讎) 복수(復讎)
물가 수(洙)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붉을 주(朱)자를 했습니다. 붉을 주(朱)자는 나무 목(木)자에 ‘𠂉’자를 해서 나무를 잘라냈음을 표시했습니다. 나무를 잘라냈을 때 나무 속이 붉은 색임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무개 단위 수(銖), 산수유 수(茱), 고을 이름 수(陎)자들은 붉을 주(朱)자가 들어 있어서 ‘수’로 읽습니다. 수수(洙水) 수사(洙泗) 김춘수(金春洙) 사수(士洙) 수남(洙南) 수씨(洙氏)
무게 단위 수(銖)자는 의부(義符)로 쇠 금(金)자에 성부(聲符)로 붉을 주(朱)자를 했습니다. 붉을 주(朱)자는 나무를 잘라 냈을 때 나무줄기의 가운데 부분의 색깔을 나타냈습니다. 또는 나무를 잘라내는 것이 사람을 상하게 한 것에 비유했다고 보면 붉을 주(朱)자는 피를 뜻하는 글자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강 이름 수(洙), 산수유 수(茱), 고을 이름 수(陎)자들은 붉을 주(朱)자가 들어 있어서 ‘수’로 읽습니다. 수적(銖積) 오수전(五銖錢) 치수(錙銖) 수량(銖兩) 수지(銖地) 김영수(金永銖)
수나라 수(隋)자는 제사고기 나머지 타(隋)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제사고기 나머지 타(隋)자는 언덕에서 제사를 모시고 남은 고기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왼 좌(左)자는 고기(肉,月)가 남았다는 표시입니다. 언덕 부(阜,阝)자는 제사를 지내는 장소를 나타냈습니다. 무엇이나 왼쪽에 두는 것은 남았다는 말이지요. 이 글자를 보면 수(隋)나라는 제사를 매우 풍성하게 지냈던 것 같습니다. 수양제(隋煬帝) 수당(隋唐) 수서(隋書) 수대(隋代) 수국(隋國) 수사(隋史)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