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부위침(磨斧爲針) ]
노력(努力)과 인내(忍耐)로 이루어 낸다는 말이다
명품(名品) 도자기(陶瓷器)도 바탕은 진흙이고,
천하(天下)명검(名劍)도 바탕은 쇠붙이다.
도공(陶工)은 진흙에 땀과 영혼(靈魂)을 섞어 명품(名品)을 구워내고.
장인(匠人)은 쇠붙이를 자르고 쪼고 갈아 명검(名劍)을 만들어 낸다.
세상(世上)에 위대(偉大)하게 태어난 것은 극히 적다.
마음을 쏟고, 갈고 닦으며 용기(勇氣)를 내 걸으면
누구나 한발씩 위대(偉大)함에 다가간다.
앉아 있는 천재(天才)는 한발씩 내딛는 범부(凡夫)를 결코 따라 가지 못한다.
중국(中國)의 시선(詩仙) 이백(李白)도 '타고난 시인(詩人)’ 은 아니었다.
그도 여느 아이들처럼 배움보다 노는데 마음을 두었다.
보다 못한 아버지가 이백(李白)을 상의 산으로 보내 공부를 시켰다.
산중 과외선생(山中課外先生)’을 붙여준거다.
얼마 되지 않아 싫증이 난 이백(李白)은 공부를 포기(抛棄)하고 산을 내려간다.
하산 도중(下山 途中) 산 입구(入口) 물가에서 도끼를 가는 노파(老婆)를 만났는데,
가는 모양(/模樣)새가 이상(異常)했다. 이백(李白)이 물었다.
"도끼날을 세우려면 날 쪽만 갈아야지요. 왜 이렇게 전부(全部)를 가시는지요”
노파(老婆)가 답(答)했다. 이렇게 다 갈아야 바늘을 만들지.
엉뚱하다 싶어 이백(李白)이 웃었지만 노파는 진지했다.
“이리 갈다보면 도끼도 언젠가는 바늘이 되겠지.
시간(時間)이 걸려도 포기(抛棄)하지 않는다면.”
노파(老婆)의 말이 이백(李白)의 가슴에 꽂혔다.
그는 다시 길을 돌려 산에 들어가 배움에 정진했다.
중국 당나라 역사책(歷史冊) 당서(唐書)에 나오는 얘기다.
" 마부위침(磨斧爲針),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 "
아무리 힘든 일도 노력하고 버티면 결국은 이룰 수 있다는 의미다.
마부작침(磨斧作針)으로 바꿔 쓰기도 한다.
시경(詩經)에 나오는 시 구절 (詩句節)
절차탁마(切磋琢磨)· "자르고 쓸고 쪼고 간다" 도 뜻이 같다.
시(詩)는 학문(學問)과 인격(人格)을
끊임없이 갈고 닦아야 비로소 군자(君子)에 가까워지고 깨우친다.
옥(玉) 역시(亦是) 절차탁마(切磋琢磨)를 거쳐 태어난다.
세상에 "타고난 천재’로 성공하는 사람은 의외로 적다.
성공(成功)한 사람의 99퍼센트는 남달리 노력한 자다.
처음에 앞서가다 "노력(努力)하는 자’ 에게
밀린 천재(天才)들은 역사(歷史)에 무수하다.
세상(世上)에 노력만한 재능(才能)은 없고,
인내(忍耐)만한 용기(勇氣)는 없다.
世上 이치(理致)는 단순(單純)하다. .....
노인 행세만 하며 노력 없이 편안하게만 살면,
강건(剛健)한 건강을 유지 하지 못 할 것입니다.~^^
-- 옮겨온 글입니다 --
첫댓글 좋은글에 머물다갑니다.
노력하면 이룰수있다는 진리의 글이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