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봉투 의혹' 송영길 출연 논란
KBS가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으로 검찰 수사를 받는 송영길 전 대표를 전직 민주당 대표 신분으로 출연시켜
검찰과 정부를 비판하게 했다.
공영방송으로서 최소한의 방송 윤리조차지키지 않았다는 비판이 16일 제기됐다.
검찰 수사의 핵심 피의자인 송 전 대표가 '검찰 독재 정권'이라고 윤석열 정부를 비판하는 발언을 그대로 생중계됐다.
KBS 2TV '더 라이브'는 15일 밤 현 정국에 대한 훈수를 듣는다는 취지로
송 전 대표와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를 생빙송에 30분 넘게 출연시켰다.
방송에서 송 전 대표는 '민주당의 위기가 뭐냐'는 질문에 '국민을 대신해 싸우고 있지 않는다는 것'이라며
'이 검찰 독재 정권의 무지막지한 국정 독단에 대해 싸워야 할 것 이나냐'고 했다.
피의자 송 '검찰 독재정권'...30분 생중계한 공영방송
방송 내내 윤정부.검찰 비판
송영길, 윤대통령 향해 '이 분이 대통령아니고 검사 마인드 가져'
정권과 각 세운 이준석 동반 출연
'공영방송이 국민 기만' 지적
여, '대놓고 피의자 면죄부 방송... 이러면서 수신료 분리징수 반대'
생방송 내내 송 전 대표의 돈 봉투 사건은 언급되지 않았다.
진행자가 먼저 논란을 우려한 듯 '본인 관련 사안은 이야기하지 말라'고 주위를 줬지만,
이 자체가 KBS 스스로 송 전 대표 출연의 부적절성을 인식하고 있었다는 지적이다.
검찰은 2021년 전당대회에서 돈 봉투를 돌린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한 민주당 윤관석.이성만 의원의 체포동의안이 최근
국회에서 부결된 이후 돈 봉투를 받은 것으로 지목된 민주당 의원들과 송 전 대표를 순차 소환 조사할 계획이다.
저잋권 고나계자는 '및; 돈 봉투 사건이 애초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송 전 대표가 아무렇지도 않게 검찰을 비판하고
현정국에 훈수를 두도록 KBS가 판을 깔아준 것은 사실상 국민을 기만한 것'이라고 했다.
'공영 방송에서 범죄 혐의자를 출연시켜도 되느냐'
'이런 방송 패널이 제정신인가.
KBS는 국민을 무시하느냐'는 비판 댓글도 달렸다.
송 전 대표는 방송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이분'이라고 칭하며 '이분이 아직 대통령이 아니고 검사 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며 '(이재명 대표를) 피의자로 완전히 취급하고 배제하는 거 아니냐.
검사가 수사 대상을 바라보는 식으로 야당 대표를 인정하지 않는 자세는 큰 문제'라고 했다.
송 전 대표는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대표의 득표 차가 역대 최소 0.76%였다는 점을 거론하며
'정의당 심상정 후보의 2.3% 득표를 합하면 프랑스처럼 결선 투표제가 있었다고 한다면 윤석열 후보는 대선에서 패배한 것'이라며
'현재 민주당 지지도가 국민의힘보다 10%P 높지 않으냐'고도 했다.
송 전 대표는 이날 정부의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에 관해 '한일 회담 밀약을 맺은 것 같다'고 했고,
이재명 대표를 만난 싱하이밍 주한 대사가 '중국 패배 배팅은 잘못'이라는 부적절한 발언을 한 것에 대한 논란에서
'여권이 이 대표가 보기 싫으니까 이 기회에 이대표와 야당을 공격하는 수단으로 한중 관계를 과도하게 이용했다'고 하는 등
정치 현안 전반에 대한 개인 소신을 제약 없이 생방송에서 쏱아냈다.
국민의힘 공정미디어위원회는 성명에서 '송 전 대표는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이라는 중대한 부패와 비리 혐의로 현재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사람'이라며 '국민이 낸 수수료를 피의자 면죄부용 방송 제작에 쓰겠다는 것은 국민에 대한 도발이다.
국민들은 범죄 피의자 대국민 선동 방송을 보고 싶지 않다'고 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 여당 간사인 국민의힘 박성중 의원은 '이러니 국민 96% 이상이 시청료 폐지' 목소리까지 나오는 것'이라며 'KBS 수신료 분리 징수가 기정사실로 되자 대놓고 좌파 본색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했다.
정부는KBS TV 수신료를 전기 요금과 통합해 징수할 수 없도록 하는 방송법 시행령을 연내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국민의힘은 이준석 전 대표를 송 전 대표와 함께 패널로 섭외한 것도 비판했다.
국민의힘은 'KBS는 송 전 대표와 보수 진영 내부 총질을 남발하는 이 전 대표를 패널로 불러 방송했다'며
'두 전 대표는 방송 내내 대통령과 여당의 외교정책을 한목소리로 비난.조롱했다'고 했다.
이에 KBS는 '22대 총선을 300일 남기고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와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출연시키려고 했지만 섭외가 되지 않아
아쉬움 대로 이준석 전 대표와 송 전 대표 등 두 전직 대표를 출연시켰다'는 입장이다. 박국희 기자
이래서 뽑았나...야혁신위원장 '돈봉투 사건, 만들어졌을 수도'
김은경, 지명 당일 발언 논란
윤관석.이성만 체포안 부결엔
'불체포특권은 헌법상의 권리'
여 '무슨 혁신을 하겠다는 거냐'
더블어민주당 혁신기구가 출범도 하기 전에 비판받고 있다.
한국외대 김은경 교수는 혁신위원장으로 지명된 지난 15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돈 봉투 사건이(검찰에 의해) 만들어졌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며 '자료를 보고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돈 봉투 사건으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민주당 출신 윤관석.이성만 의원에 대한 체포 동의안이 지난 12일 부결된 것에 대해선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지만 (불체포특권이) 헌법상의 권리인 것은 맞는다'고 했다.
민주당은 노웅래 의원과 이제명 대표에 이어 윤.이 의원 체포 동의안까지 부결시켜 '방탄 정당' 오명을 썼다.
또 당내에서 '돈 봉투 사건은 검찰의 기획'이라는 주장이 이어져 논란이 됐다.
이런 상황에서 김 교수의 발언은 혁신기구 책임자로서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나왔다.
국민의힘 신주호 부대변인은 '민주당혁신 최우선 순위는 도덕적 해이와 사법 리스크인데, 지금까지 민주당의 뻔뻔함 주장을
되풀이하는 사람이 무슨 혁신을 하겠다는 것이냐'고 했다.
본지는 이와 관련해 김 교수 입장을 듣고자 여러 차례 연락을 취했으나 닿지 않았다.
혁신기구의 방향과 역할에 대해서도 친명과 비명의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친명계는 이날 김교수를 향해 이 대표에게 우호적인 권리당원 위주로 당을 개편하라고 압박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회의에서 '민주당의 주인은 당원이며, 이재명 지도부는 당원이 주인이 되는 정당을 만들겠다고 공약해
당선됐다'며 '당원이 주인인 정당을 만드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해 달라'고 했다.
혁신기구 권한을 제한하려는 뜻도 내비쳤다.
반면 비명계는 혁신기구가 강력한 권한을 갖고 이재명 대표 체제에 대해 평가해야 한다는 입장을 이어갔다.
김종민 의원은 라디오에서 '두 달 뒤면 이재명 체제 1년인데 이 지도부로 내년 총선에서 이길 수 있느냐에 대해
토론해야 한다'고 했고, 윤건영 의원은 '혁신의 끝을 미리 재단하려고 들면 안 된다'고 했다.
혁신 방향을 두고 갈등이 이어지며 당 일각에선 벌써 '혁신기구 무용론'도 제기되고 있다.
한 초선 의원은 '혁신보다 화합이 시급해 보인다'며 '지금 혁신기구가 과연 무엇을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정치권 이력이 거의 없는 김 교수가 당내 갈등 속에서 혁신위를 잘 이끌 수 있을지에 대해 우려가 있다'고 했다.
김상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