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성이란 계산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근대과학은 자연의 운동을 계산가능한 것으로 바꾼다.
근대과학에서 수학이 중요한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비슷하게, 일상의 삶에서 근대화된다는 것은 삶이 예측가능하고 계산가능해진다는 것을 뜻한다.
언제 어딜 가면 무엇을 할 수 있고, 거기에 필요한 비용은 얼마나 들 것이고 등등.
어느 정도 조사하고 예측하기에 쓸데없이 허탕칠 일도 없고, 대개는 예약하고 하기에 힘들게 기다릴 일도 없다.
가격표대로 사고파니 흥정으로 스트레스받을 일도 없다.
나의 것과 너의 것이 분명해지고, 나의 일과 너의 일이 분명해지며, 나의 공간과 너의 공간이 분명해진다.
그리고 그 영역을 침범하는 것은 무례하고 부당한 일로 간주된다.
내가 책임질 것과 네가 지불할 것이 정확히 계산되고, 내가 할 일과 하지 않아도 될 일이 뚜렷해진다.
붐비는 지하철이나 거리에서도 각자가 확보할 수 있는 공간이 존중된다.
누군가에게 몸이 닿거나 너무 가까이 근접했다 싶으면 “미안하다”, “용서해라”라는 말을 남발한다.
그래서 일단 근대화된 삶은 편하다.
남들이 나를 침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서양의 문명화 과정을 연구했던 엘리아스는 바로 거기서 근대인 사이의 거리를 본다. 그 거리만큼 올라간 벽의 높이를 본다.
존중되는 나만의 영역, 그것은 그 거리를 사이에 두고 타인과 분리된 생활의 벽인 것이다.
그 벽은 함께하는 삶을, 무언가를 함께 나누는 삶을 절단하고 분리한다.
부딪친 것도 아닌데 나에게 “미안하다”고 말하는 사람은 몸이 가까이 다가간 것만으로도 미안해할 만큼 그들은 나에게 거리를 느끼고 있는 것이다.
이런 사태는 이제 한국의 대학생들에게는 더욱더 리얼한 현실이 된 듯하다.
각자의 것, 각자의 영역을 정확하게 구별하고 분리하는 생활의 단적인 징표는 아마도 ‘더치 페이’일 것이다.
영국인이 네덜란드 인을 엿먹이기 위해 만들었다는 이 말은, 이제 우리의 ‘신세대’들에겐 새로운 관습이자 예절로 실행되고, 심지어 ‘덕목’으로 받아들여지는 듯하다.
남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그런 만큼 자신도 역시 남들에 대해 부담을 지지 않으려는 태도, 그것은 내가 먹은 것은 내가 계산하고 내가 주문한 것은 내가 책임진다는, 나·너를 나누고 계산하는 근대적 합리성의 정확한 한 단면이다.
덕분에 이젠 ‘안심하고’ 비싼 식당에 가서 친구들과 함께 비싼 음식을 시켜먹게 되었다고들 한다.
내가 시킨 것만 책임지면 되기 때문이란다.
예전에 독일에서 유학하던 한 후배에게 들은 말이다.
그는 식당에서 일을 하고 있었는데, 둘이 앉아 먹을 때는 만지고 물고 빨고 하며 먹다가는, 계산할 때가 되면 각자가 먹은 것을 작은 단위 숫자까지 계산해서 더치 페이하는 것을 보면 정나미가 뚝 떨어진다고 했다.
나는 그 얘기만으로도 정나미가 뚝 떨어진다.
여러 사람이 모여 식사라도 하는 경우에는 먹은 음식값 계산에 시간가는 줄 모른다고 한다.
이는 독일만의 얘기는 아닐 거다.
일본까지 포함해서, 충분히 근대화된 나라들의 공통점이다.
이제 한국도 그 일상마저 충분히 근대화된 것이 분명하다.
사람들을 개인별로 분리했던 저 근대의 ‘거리’가 사람들 내부에 자리잡은 것이다.
시장이, 자본주의가 일상의 삶 자체를 사로잡은 것이다.
덧붙이면, 함께하는 식사란 원래 상이한 사람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가장 흔한 방법이었다.
제사나 미사 뒤에 음식을 함께 나누어먹는 ‘음복’이란 음식을 나누면서 삶을 함께 나누고 음식을 함께 먹으면서 삶을 함께하는 중요한 계기였다.
하지만 더치 페이하는 사람들에게 공동식사란, 옆에 앉아 먹으면서도 음식을 나눌 줄 모르고, 함께 식사를 하면서도 결국은 각자의 삶만을, 각자가 먹은 것만을 책임지는 분리의 장일 뿐이다.
덕분에 비싼 음식을 마음놓고 시켜먹을 수 있게 되었다는 안도에선, 식사란 그저 먹는 것일 뿐이라고 믿는 사람들의, 그저 음식에만 집착하는 거대한 식탐만을 발견할 수 있을 뿐이다.
뒤룩뒤룩 불어난 추한 몸은 그런 식탐의 대가일 게다.
거기에선 분리된 삶의 편안함을 위해 치른 고립된 삶의 고독에서 느낄 수 있는 일말의 안쓰러움마저 느껴지지 않는다.
그저 추하고 비루해 보일 뿐이다.
더치 페이의 저주!
첫댓글 갑자기 생각나는 말이 있네염.. "야심성이 개입되면 비극성이 초래된다!"ㅋㅋ
더치페이를 TJ가 잘 할까? TP가 잘할까? 전 더치페이가 영 불편하더라구요. 물론 나이탓도 있겠지만.... 전에 술까지 사먹인 놈이 어제 함께 택시를 탔는데 중간에 내리는 지점까지의 택시비를 받더라구요. 어차피 거쳐서가야할 지점에서 내리는데도 2000원을 받을 생각을 하는건지... 물론 그가 백수라는 절대적인 이유가
있겠지만 적어도 난 '니가 나한테 이럴쑤 있어? 내가 사준게 얼만데?' 괜히 화가 나더이다. 물론 난 공짜를 바라지 않고 내가 내려야할 지점에서 천원짜리가 있었다면 이천원을 당연히 냈겠지만 만원밖에 없어서 만원짜리만 만지작거렸는데 대뜸 8천원을 거슬러주는 그놈이 굉장히 싸가지가 없다는 불쾌감이 슬슬 피어오르
더군요. 내가 2000원을 내면 그가 사양하고 그냥 가라고 하길 바랬던 심정이 무참히 깨지고 실망을 하게 되는건 내안에서 숨쉬고 있던 전근대성의 대표적인온정주의와 불합리의 표출일까요? 하지만 이글을 읽고서는 왠지 나혼자만 고심했던 내안의 전근대성에 대해서 긍정하게 됐답니다. 우선 뭔가 따지고 계산적인것에 왜
그리도 반감이 드는지... 비판적이고 분석적이고 비효율과 불합리에 분개하지만 금전에 관해서는 왜그리도 대놓고 따지질 못하는지....심리분석을 해봐야 할것같은 압박감이...-,-;;;
저두 정은 없어보이지만 합리적이어보이는 더치가 좋았는데 나이가 들다보니 더치하는 거 싫어하게 되었네요. 펑키님 사례를 본다면..담에 그사람과이 관계엔 정말 더치만 하는 관계로 돌변할지도...그 사람 참..얄밉다;ㅎㅎ
정확하게 계산하는 더치페이는 싫어요. 총 합해서 만삼천원 나왔으면, 제가 천원을 더 보태거나 상대방이 보태는 더치페이가 좋아요.
인간이 산업화를 거치면서 자본주의를 받아들인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죠. 그래서 인간의 구조가 본능적으로 자본주의의 반대인 사회주의에 더 가깝다고 볼수있습니다. 하지만 사회주의의의 패단이 검증된 지금 .. 아직까지도 합리주의의 효율성을 의심하면 안되죠.
시장이 자본주의에 속해야 하는건 당연한거 아닙니까? 그건 초등학교 사회책에도 나옵니다. 우리나라는 자본국가라고요.~~
좀더 이성적이고 합리적으로 사고를 해야 나라가 발전합니다.....그리고 이건 MBTI와 상관은 없는것 같아요.. 합리적인 사고 방식을 가졌다면 더치패이를 저주라고 하는 일은 없을 테니깐요
한 나라의 풍토도 고려된다면, 합리적인 사고방식만을 말할 순 없을 것 같은데요?
어떤 제도나 관습의 단점들은 다른 것의 장점이 되잖아요? 단점없이 장점만 있는 것이 어떤 건지 한 말씀 부탁합니다.
전 더치패이가 합리적이라고 했고, 자본주의를 지탄하는 의견에 반박 했을뿐... 더치패이 단점이 없다고는 안했는데요... 양단간에 장단점이 있는건 당연합니다. 시간이 있으면 공병호의 "10년후 한국"을 추천합니다. 한번 읽어
저는 다른건 몰라도 돈만큼은 철저히 계산해야한다고 믿습니다.내가 계산한게 얼만데.이런 불필요한 오해도 없고요.
더불어 우리나라처럼 반찬을 무한정으로 퍼주는 나라가 드물지않을끼요.오늘 식당에서 식당종업원들이 부침개부쳐서 밥먹고 잇는데 한 손님이 -나눠주면서 먹으세요.자기들끼리만 먹어... (장난이 아니라 꾸지람하듯이.매우 불쾌한 표정으로 )그래서 아줌마들불쾌해하고.이런 풍경흔하죠.부침개는 엄연히 돈내고 먹어야할
그 집메뉴였습니다.매우 비싼..전 더치페이안하는 편이지만 상황따라서 더치페이도 합니다.인식형이라 그런지..상황따라서 융통성있게 더치페이도 할수 있고 아닐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세상사가 자로 잰듯이 살순 없으니까요
- 내가 그동안 낸게 얼만데.너 이걸 받냐?싸가지없다-라는 글에서 미안한 말씀이지만 그게 더 더치페이적으로 느껴졌달까.좀 섬찟했습니다..
전 TP인데 더치페이 매우 싫어해요. 물론 빈대처럼 들러붙는 인간들이 제일 싫긴 하지만.....맘에 든 사람이라면 얼마든지 사줄 수 있음.잔돈까지 헤아리면서 밥값 계산하는게 제일 꼴불견이더라구요.
저는 더치페이가 제일 좋던데. 계산 깔끔하고 서로 부담없고 좋잖아요~ 더치로 안 했을 때 내가 안 내면 기분 좋지만 괜히 미안한 마음이 들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