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용화선원 전강선사
△ 스승 전강 선사를 생전과 다름 없이 용화선원의 조실로 모시고 있는 송담 선사가 스승의 진영 앞에서 ‘부처님 오신 날’ 법회에서 설법 중이다.
남의 등불 부러워말고 내 등불 켜라
인천시 남구 주안동 기린산 용화선원. 이곳은 공장지대다. 예전엔 주위가 염전이었다. 어찌 산 좋고 물 좋은 명당들을 두고 이 곳에 참선도량이 자리했을까. ‘마음 밖 경치’를 구할 것 없다.
1961년 용화선원을 창건한 이가 전강선사(1898~1975)다. 전강은 전남 곡성 입면에서 빈농의 아들로 태어났다. 세상의 전부나 마찬가지였던 어머니가 일곱 살 그와 젖먹이 여동생을 두고 세상을 떴다. 계모가 들어왔다. 계모로부터 방치된 여동생은 걸음마도 떼어보지 못하고 죽었다. 그에겐 늘 밥보다 가까운 게 매였다. 전강이 어린 시절 살기 위해 익힌 것은 좀도둑질이었다. 허기를 면하러 콩과 쌀을 훔쳐 먹었다. 그리고 들켜서 죽도록 얻어 맞기 일쑤였다.
광고
14살 때는 아버지마저 세상을 떴다. 그러자 계모는 자신이 낳은 아들까지 두고 개가해 버렸다. 이 때부터 어린 이복동생을 업고 밥을 빌어먹으려 이모와 고모집을 찾아 나선 전강은 늘 밥 한 술 얻어먹지 못한 채 쫓겨났다. 이런 박대가 너무 서러워 물에 빠져 죽으려고도 하고, 어머니 무덤에 가서 ‘데려가 달라’고 밤새 울기도 했다.
견디다 못한 전강은 계모가 개가한 집을 찾아내 문 밖에서 이복동생을 눈물로 떼어 들여보내고 방랑의 길을 나섰다. 이 때부터 그는 주린 배를 채우려 사냥꾼 조수와 유기공방의 풀무꾼, 행상 등 온갖 일을 했다.
광고
광고
그러다 한 승려를 만나 절에 들어간 그는 제대로 도를 닦기 위해 해인사로 향했다. 해인사 행자시절 그는 인물도 뛰어나고 글도 잘하던 두 살 위 봉룡사미와 절친하게 지냈다. 그런데 해인사에 휴양하러온 예쁜 신여성을 보고 상사병이 든 봉룡사미가 미쳐버리고 말았다. 그리고 며칠 뒤 방에서 죽은 채 발견됐다. 외로운 처지에서 육친처럼 의지했던 봉룡사미가 다비식에서 한 줌의 재로 변하는 모습을 보던 전강은 자신과 인연을 맺은 사람은 하나 같이 이렇게 떠나가는 현실에 망연자실했다. 이 때 노승의 게송이 전강의 가슴을 비수처럼 파고 들었다.
“도를 닦는 사람은 머리털 희어지기를 기다리지 말아라/쑥대 속의 무덤은 소년의 무덤임을 알라.” 얼마 뒤 그는 꿈 속에서 지옥에 빠져 고통 받았다. 너무 놀라 신음하다 깨어난 그는 생사를 넘어서는 일이 너무도 다급해졌다. 소년이라도 언제 죽을지 알 수 없는 노릇이었다.
광고
23살에 참선수행 해탈…10년뒤 보광서원 죌 추대
정진…또 정진…게으름엔 ‘불방망이’ 내리쳐
참선 수행을 통해 해탈해야만 생사의 고통에서 벗어난다는 말을 들은 그는 은사 스님에게 참선을 하게 해달라고 매달렸다. 그러나 은사 스님은 그에게 경전 공부부터 차근차근히 하라며 꾸중할 뿐이었다. 그러나 전강은 평생 책만 보다 언제 생사를 넘겠느냐며 막무가내였다.
결국 그는 ‘무’(無)자 화두에 몰입했다. 그러나 조급증이 화근이었다. 병약한 몸으로 화두에 신경을 곤두세우자 머리에 열기가 오르고, 피가 입과 코로 걷잡을 수 없이 쏟아졌다. 상기병이었다. 그러나 직지사에서, 예산 보덕사에서도 그의 화두 정진은 멈추지 않았다. 핏기 없는 몸으로 죽음을 인 채 구름처럼 떠돌던 그의 발길은 어느 새 고향 곡성을 향하고 있었다. 한 밤에 태안사 징검다리를 건너고 있었다. 계곡 물소리를 듣는 순간 ‘생사의 구름’이 찰나에 씻겨 가버렸다. 온몸의 전율 속에서 전강은 갑자기 오줌이 마려웠다. 바지춤을 내린 전강은 법당 앞에서 시원스레 오줌을 누었다. 막 바지춤을 올리려는데 한 스님이 대노해 다가와 호통을 쳤다.
“천지에 부처의 진신(몸)이 아닌 곳이 없는데, 그럼 어디에다 오줌을 누란 말이냐!”
불과 23살에 견성한 사자가 드디어 포효를 시작했다. 백수들은 사자의 포효만 듣고도 뇌가 파열된다든가. 그는 거칠 것이 없었다. 혜월, 용성, 한암, 만공, 보월 등 당대의 6대 선지식들이 모두 그의 견성을 인가했다.
광고
1960년 전강을 찾아 출가한 평택 만기사 주지 원경 스님(64)을 찾았다. 남한노동당 지도자 박헌영의 아들인 그를 전강은 법제자 송담 선사(76)의 상좌로 맺어주었다.
전강은 법을 거량함에 털끝 만한 틈을 보이지 않았다. 불과 33살의 나이에 천하제일사찰 통도사 보광서원의 조실로 추대됐던 전강은 법에선 은사도 제자도 봐주는 법이 없었다. 원경의 스승 송담은 전강이 광주의 한 시장에서 가게를 하며 키운 제자다. 온갖 뒷바라지를 해온 송담이 10년 간 묵언(일체 말하지 않음)정진을 끝내고도 끝내 (깨침의) 한소식을 전하지 못하자 전강은 자식보다 아끼던 그를 사정없이 내리쳤다. 다음날 송담은 사자의 포효를 시작했다.
용화선원에 연등이 불을 밝히고 있다. 중국의 운문 선사는 태어나자마자 ‘천상천하유아독존’이라고 한 부처에 대해 “내가 그 자리에 있었다면 한 방망이로 때려 잡아 개에게 먹여 천하를 태평케 했을 것”이라고 했다. 남의 등불을 우러러보지 말고 오직 자신의 등불을 켜라던 부처의 가르침대로 이렇게 진실한 연등을 밝힌 이가 또 있을까.
용화선원의 송담은 스승의 육신이 떠난 지 30년이 지났지만 조실 자리를 거부하고 스승 전강의 법신을 여전히 조실로 모신 채 수좌들을 지도하고 있다. 송담에게 전강은 여전히 ‘스님’이다. 스님은 스승님의 줄임말. 최후의 의지처인 백척간두에서조차 밀어버리고, 분별 망상을 용서 없이 물어뜯어버리는 그 스승의 은혜를 어찌 글로 담을 것인가.인천/글·사진 조현 기자 cho@hani.co.kr
[이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은둔>(한겨레출판 펴냄)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