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마이크론 제재...한국 영향은
중, 미의 반도체 제재'ㅇ[ 반격
첨단은 삼성.SK, 구형은 자국산
'마이크론 대체 가능' 판단한 듯
한반도체, 달갑지 않은 반사이익
미.중 '우리 편에 서라' 연일 압박
업계 '외교.안보 문제 됐다' 난감
중국의 미국 최대 메모리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 제재에 미국이 강력 반발하며 '반도체 전쟁'이 격화하고 있다.
미 상무부는 21일 '중국의 근거 없는 제재에 단호히 반대한다'며
'주요 동맹국과 긴밀히 협력해 왜곡된 메모리 반도체 시장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을 향해 미국 편에 서라는 요구를 분명히 한 셈이다.
중국 외교부도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이 나오자, '미국이 자신의 패권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다른 나라의 대중국 수출을 제한하도록 협박하는 것'이라며 '결연히 반대한다'고 맞섰다.
미국의 요구를 듣지 말라는뜻이다.
한국은 동맹과 시장의 갈림길에서 마이크론의 빈자리라는 '독이 든 성배'를 들게 됐다.
반도체 업계는 이번 제재를 두고, 중국이 철저한 계산을 토대로 7국(G7) 정상회의 폐막일에 미국을 정교하게 떄린 '보복성 조치'라고 분석한다.
G7이 전날 공동성명에서 대만, 홍콩,티베트,신장,남중국해 문제에 직접 우려를 표명하는 등 강도 높게 압박하자 중국이 '거대 시장'을 무기로 맞대응에 아선 것이다.
'칩 워(Chip War)' 저자인 크리스토포 말러 미 터프츠대 교수는 '(중국의 제재는) G7 공동 노력에 대한 초기 시험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중, 자국 산업 피해 적은 타깃 골라
중국은 이번 제재를 통해 자국 산업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 제재 효과는 커보이는 치밀한 선전 전략을 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세계 3위 메모리 기업인 마이크론은 D램 시장에선 삼성전자.SK하이닉스에 여전히 기술이 뒤처지지만 낸드플래시 시장에서는 상당 부분 따라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 중국에 반도체 공장도 두지 않아 중국 입장에선 큰 타격이 없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은 서구 첨단 기술에 접근하기 위해 미국 기업을 세게 떄리는 것을 경계해왔지만,
삼성과 SK하이닉스가 만든 제품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 반도체는) 베이징이 손쉬운 목표였다'고 했다.
고앚ㅇ도 주지도중국은 이번 제재를 '반도체 자립'의 계기로 삼겠다는 분위기이다.
오포.비보.레노버 등 IT 기기 제조 업체와 전기차 제조사들은 그간 마이크론 데신 중국 YMTC(양쯔메모리), CXTC(창신메모리) 같은 자국 기업 구매 비중을 빠르게 늘려왔다.
이번에도 '첨ㄷㄴ 메모리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구형메모리는 중국 제춤'의 투 트랙 전략으로 마이크론의 빈자리를 충분히 채울 수 있다는 계산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같은 기대감에 힘입어 22일 중국,홍콩 증시의 중국 반도체 기업 주가는 1~2% 가량 일ㅈ베히 상승했다.
중국 최대 파운드리 기업 SMIC를 비롯해 반도체 팰리스(섥)) 기기디바이스, CPU(중앙처리장치) 전문 기업 인제닉 반도체 등이
고루 수혜를 입었다.
셈법 복잡해진 한국 반도체 업계
한국 반도체 업계는 셈법이 복잡해졌다.
미국 대표 메모리 반도체 기업이 빠진 중국 시장에서 수익을 거두는 것이 연일 동맹을 강조하는 미국의 기조와 배치되기 때문이다.
지난달에는 '중국의 마이크론 제재가 현실화하면,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빈자리를 채우는 일이 없도록 해달라고 미 정부가 한국 정부에 요청했다'는 외신 보도도 나왔다.
미 상무부와 중 외교부는 제재 발표 이후 연일 한국을 향해 자국 편에 서라는 압박을 가하고 있다.
국내 반도체 업계는 난감해하고 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미 정부가 네델란드 반도체 장비 업체 ASML의 중국 수출을 막는 것은 미 반도체법에 근거를 두고 있지만,
이미 마이크론이 판매하던 것을 다른 나라 기업이 못 팔게 하는 것은 근거가 없다'면서도
'단순히 비즈니스의 문제가 아니라 외교 안보 문제가 된 만큼 상호아을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고 했다.
만약 삼성, SK하이닉스가 중국내 마이크론 물량을 대체하지 않으면 오히려 중국의 반도체 자립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어
한국 미국에 모두 손해가 될 수도 있다.
대외경제연구원 연원호 경제안보팀장은 '중국은 준비만 되면 한국 반도체도 자국 제품으로 바꿀 수 있고,
그때는 미국 제재가 아니라 중국 정부 떄문에 중국에 물건을 못 파는 일도 일어날 수 있다'고 했다. 오로라.이해인 기자
삼성.SK의 중 공장 애물단지 면했지만...
중 종속 심화될 우려
중국이 세계 3위 메모리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 제품의 자국 시장 퇴출을 시사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중국 공장의 중국내
종속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에서 전체 낸드플래시 물량의 40%를 생산한다.
SK하이닉스는 우시에서 D램의 40% 디렌에서 낸드플래시의 20%를 생산하고 있다.
두 회사는 모두 최첨단 제품은 한국에서, 상대적으로 난후된 범용 제품은 중국에서 생산하는 전략이다.
당초 반도체 업계에선 미국의 대중 규제가 강화되면서 삼성.SK가 10년 내에 중국 반도체 생산 라인을 철수해야 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미국이 자국 반도체 보조금을 받는 기업들에 10년간 중국 투자를 제한하면 중국 내 공장이 시간이 지날수록 쓸모없는
'애물단지'로 전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이 반격을 가하며 한국 기업들의 공장이 중국 입장에서는 강력한 무기가 됐다.
중 당국이 '안보 심사'를 이유로 마이크론의 제품을 100% 차단할 수 있었던 것은 마이크론이 중국에서 반도체 생산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현지 생산을 하는 한국 기업들은 이 같은 리스크에선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평택 등 한국에서 만들어 수출하는 제품엔 안보 문제로 제한을 둘 수 있어도, '메이드 인 차이나'인 현지 공장 제품에는 딴지를 걸기 어렵고 오히려 적극 활용하려 할 것'이라고 했다.
향후 미.중 반도체 전쟁이 심화되더라도 삼성.SK는 현지 공장을 무기로 중국에서의 매출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미국의 규제 리스크는 오히려 높아졌다.
미국은 지난해 10월 중국에 첨단 반도체 장비 반입을 금지시키면서 삼성.SK에는 1년간 유예 기간을 축로 연장해 주겠다는
분위기가 우세했지만, 중국의 태도 변화로 연장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 첨단 장비 도입을 금지하겠다고 나서면, 삼성.SK가 중국 내 생산 시설을 업그레이드하는 게
불가능해지면서 현재 수준의 반도체만 계속 생산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오로라 기자
마이크론은 예고편?...미업계 '모든 기업이 타깃 될 수 있다'
'중, 시범케이스로 골라 손본 것'
미기업들 '탈중국' 기속화 가능성
중국 정부가 미 마이클론 제품을 금지한 것과 관련, 미국에서는 이번 중국의 조치가 예고편에 불과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21일 미 마이크론은 성명을 내고,(중국의) 검토 결과를 평가하고 있다'며 '중국 당국과 계속 논의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하지만 미 테크 업계에선 이번 중국의 조치로 미.중 갈등이 심화되면 다른 기업까지 피해를 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블륨버그는 '테크 분야는 두 경제 대국 간의 국가 안보를 둘러싼 핵심 전쟁터가 됐다'고 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론이 중국에 판매하는 메모리 반도체는 칩 내부에 특정 코드나 소프트웨어가 심어져 있지 않아 보안 위험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중국의 조치가 다분히 정치적이라는 것이다.
리스크 관련 분야 자문사인 트렌치코트 어드바이저의 설립자이자 전 베이징 주재 FBI 요원인 홀든 트리플렛은 블륨버그에 '이번 조치는 순수하고 단순한 정치적 행동이며, 모든 기업이 다음 타깃이 될 수 있다'고 했다.
마이크론은 작년 전체 매출 중 중국 비율이 11% 수준이다.
반면 퀄컴은 64%, 브로드컴은 35%, 인텔은 27%, AMD는 22%, 엔비디아는 21%에 달한다.
테크 업계 관계자는 '그나마 가장 타격이 적은 업체를 시범 케이스로 손본 것'이라고 했다.
테크 업계에선 이번 조치로 중국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중국 내 생산 시설을 다른 곳으로 이전하는 '탈중국'이 가속화될 것으로
본다.
애플은 최근 인도 투자를 호가대하며 중국에서 생산하던 에어팟 같은 제품을 인도에서 생산하기로 했다.
리자 크리슨무디 미 하원의원은 '중국 공산당은 중국에서 사업하는 것을 매일 더 아렵게 만들고 있다'며
'이번 중국의 조치로 미국 기업들은 더 쉽게 탈중국을 선택할 수 있게 됐다'고 했다. 실리콘밸리=김상민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