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풀이 되는 참사 이대로는 안된다
공직사회 '1인 1업무' 족쇄
오송 참사 차통제 등 책임 논란
공직사회 행한 비판 목소리에
'미리 나섰더라면 과잉대응 감찰'
일선 공무원들 자조 새어 나와
24명의 사상자를 낸 충북 오송 숭평2지하차도 침수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경찰이 138명 규모의 수사본부를 꾸렸다.
제방이 무너진 경위나 도로 통제가 재때 되지 못한 이유를 수사한다.
만약 제방을 더 높게 쌓았더라면, 진작 차량 통제를 했더라면, 대피 경보가 일찍 나왔더라면 식의 안타까움이 생기게 된
경위가 수사 대상이 되는셈이다.
참혹한 사고만큼이나 중앙정부와 지자체, 광역단체와 기초단체 간 책임 떠 넘기기 공방에 시민 분노가 커지고 있지만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20일 또 미리 차량을 통제하고 대피 경보도 제때 울려 인명 피해가 없었더라도 담당 공무원은 곤란해졌을 것이라는 한탄이다.
이 모든 '만약'이 다 실현됐다면 도로 통제를 '과잉 대응'으로 본 민원이 빗발쳤을 테고
그러면 해당 공무원들은 아마 감사나 감찰 대상이 됐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실제 공무원 익명 커뮤니티에서는 오송 지하차도 시설관리 공무원을 자칭하며 '결과론적으로 그 자리는 사고 예방이 아니라
사고 낮을 때 책임지고 처벌받기 위한 자리'라는 글이 공감을 얻고 있다.
'시민들의 분노'와 '공무원의 자조' 사이 간극은 급변하는 각종 재난 상황에 적시 대응이 어렵게 설계된
공무원들의 업무 분장 체계에서 비롯된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7일 '공무원들이 집중호우가 올 때 현장에 나가서 미리미리 대처해 달라'고 주문할 정도로
공무원들의 복지부동 행태에 대해 시민들이 진절머리를 치고 있지만,
현행 공무원들의 업무 분장은 '책상을 벗어나는 순간 문제가 생기는 체계'에 가깝게 설계돼 있어서다.
잇따르는 참사에도 불구하고 공무원들이 현장의 긴급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게 하는 구조적 문제가 해소되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세분화된 업무를 공무원 개인별로 배정해 둔 공무원식 업무 분장은 평소 행정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원동력이 되지만
위기 상황에서는 이런 칸막이 문화'가 업무 수행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는 사정이 이번에 드러났다.
중앙.지방정부를 두루 경험해 본 관료는 '공무원 한 명이 지역의 특정 업무 전체를 통째로 맡는 경우가 많다 보니 재난시 전부
챙기기 쉽지 않지만 자칫 다 덮어쓸까 봐 소극적으로 대웅하거나 보고 누락.회피 등 잘못된 판단을 내리는 일이 잦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지하차도 사고가 발생했을 때 청주시 하천관리 담당이 안전정책 담당에게 통보를 했는데,
도로 담당에게 통보가 이뤄져 미리 통제 대비를 했으면 상황이 달라졌을 지 모른다'면서 안타까워했다.
하천관리, 안전정책, 도로 담당 중 한 곳에라도 '적극적인 공무원'이 있었으면 참사를 막을 수 있었자는 만사지탄이지만,
현재 공무원 조직문화에서는 적극성 그 자체가 문제가 될 수 있는 분위기다.
적극성을 발휘하면 다른 업무를 맡은 공무원에게 업무 분장표에 명시되지 않은 일을 떠맡기는 꼴이 되기 때문이다.
민원,안전.관리와 같은 기피 업무를 함께 하자고 부탁하면 조직 내 평판이 나빠지는 일을 감내해야 하는 부담도 져야 한다.
결국 안전 업무 담당자는들은 대부분 평소엔 '참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주말도 없이 격무에 시달리면서도,
참사가 발생했을 때는 충분한 지원인력이나 재량없이 '참사가 발생했을 때 책임을 지기 위해' 책상을 뜨지 못한 채
여러 현장을 한꺼번에 챙기는 모습이 연출된다.
세월호 참사부터 2020년 부산 초량 지하차도 참사 때까지 담당 공무원들이 위험의 발생을 방지할 의무를 다하지 않은 혐의로
형사처벌을 받는 선례들이 이어지면서 안전 관리 업무에서는 구인난도 극심하다.
일선 학교에서 '학교 폭력이 발생하면 분쟁을 해결하다가 지친 담당 교사는 휴직을 하고, 학교장은 조기 퇴직을 신청하는 식으로
회피한다'는 풍문이 공직 사회에서는 '안전 담당 공무원 앞에 놓인 길은 휴직.감옥.자살'이라는 삼지선다뿐'이란 말로 변형돼
돌고 있다.
적직 고위 공무원은 '어떤 공무원에게 무슨 일을 맡길지가 아니라 어떤 방식으로 인적 자원을 배분해야 공무원 집단 전체의 역량이 잘 발휘될 수 있을지를 고민하고 업무 분장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종 김주리.서울 이은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