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수시←내례포內禮浦(조선 현종)←여수呂水;고려
여수 음식;서대회(금풍생이),서대구이(참기름 발라서)
삼월;도다리
오월;농어,징어리(멸치)
유월;숭어
칠월;갯장어
팔월;광어
구월;전어,갯장어
※여수 금풍생이
이순신이 기생 평선의 이름을 따서 ‘평선’→군평선(구운 평선)→금풍생이
여수 자연산 “게지”↔보성 득량만 키조개 양식;“개두”
톳;된장에 무침
군부;군벗(전라도),갯강구처럼 생기고 등가죽은 단단함
거북손,고둥과 함께 대표적인 동물성 식재료
군부무침;여수,진도,신안
삶아서 껍질을 벗긴 후 바로 무쳐낸다.
c.f.제주 군부물회
서대전,서대회;여수 잔치음식
우뭇채(우묵채),생선구이(생대나무위에서 구움)
서대조림;여수시장 ‘굿서대’
여수 한일관;정식
여수 황소식당 게장
여수 구백식당;중앙파출소앞. 서대회
여수 여흥식당;중앙시장 옆. 장어탕
여수 노래미식당;중앙로터리
한일관 엑스포점;여수 남산동
여수 태안이년명청동범종;사지 불명
국립광주박물관 반출
대경도;여수 경호동
대경도←경도鯨島,京島
골프장 건설 중 패총 다수 발견
고려 후궁 귀양 후 이름 바뀜(왕 앞의 방귀)
고구마,옥수수,갯장어(하모)
갯장어;미끼는 전어 씀
이빨이 개이빨 닮아 일본어로 ‘하모’라고 함
10월까지 어획 가능
선상회;장대에 널어 물을 뺌
선상 경매를 원칙으로 함
돌게,문어;통발을 물에 내리쳐서 깨끗이 씻어야 게가 듬
미끼;고등어
작은 게는 문어미끼로 그냥 둔다.
돌게장;여수 10미 중 1
타루비;전남 여수시 고소3길 13
전남 여수시 고소동 620
이순신을 기리며 부하들이 세움
※ ‘타루(墮淚)’란 눈물을 흘린다는 뜻으로,
중국의 양양 사람들이 양호(羊祜)를 생각하면서
비석을 바라보면, 반드시 눈물을 흘리게 된다는 고사성어
좌수영대첩비
고소대
※타루비;전북 장수군 천전면 장판리 산21
전남 여수시 고소동 620(진남관)
전북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 384-11
경남 통영시 문화동 62(세병관)
동산동석장승;여수 공화동 1181 여수동초교
남南正重 여火正黎
남쪽의 허함을 보완하고 화기를 누름
이바지음식;여수 교동 이경애
백문어봉황오림,국화오림 등
피문어죽;보양식
진남관;061-659-5711 전남 여수시 동문로 11
전남 여수시 군자동 472
궁궐 제외 최대 건물
진남관석인상(여수석인상);전남지방유형문화재 33호
의인擬人 전술의 목적으로 세움
7구 중 1구만 남음
진남관철비2기
여수 봉소당;여수 봉강동 245-1
여수 봉강로 33 진성여고 진입로 입구
영광 김씨고택
6.25 참화 피함
봉산동석장승;여수 봉산동 648
봉산동;임란시 무기제조
벅수;설1.외부인 출입금지 기능
설2.1822년 기우제로 비가 온 데에 대한 고마움
시전동 선소船所;여수 시전동(옛 장성포長省浦) 710
거북선 제조,배를 숨기는 곳
시전동 선소석인상;여수 시전동(옛 장성포長省浦) 710
일반인 출입금지 표시석
2씩 3군데 세움
여수 오동도;전남 여수시 수정동 1-2
전남 여수시 오동도로 222
이순신 시절 죽도竹島(화살용)
현 동백군락지
연등동석장승(벅수);여수시 연등동 376
본영선소;여수 중앙동
수중성 장군도;전남 여수시 중앙동 산 1
성황사 성황당;여수시 중흥동 진례산
고려초 김총 모심
쌍둥이마을;여수 중흥동 중촌
흥국사;전남 여수시 중흥동 17
전남 여수시 흥국사길 160
의승 수군 주둔사
동학시 일본군 주둔;농민 협공
대웅전;보물396호
바다로 나아가는 배,축대에 게조각,석등에도 게조각
대웅전 후불탱;보물578호
영산회상도;승려 의겸 그림
※괘불 금어;화승畵僧 의겸
흥국사 영산회상도,안국사,청곡사,운흥사,개암사
공북루拱北樓;이순신 글씨
홍교;보물563호. 입구 주차장 서편
노사나불괘불탱;보물1331호
수월관음도;보물1332호
평사리사지 동종;흥국사 의승수군전시관
호명마을 진세식;여수 호명동
칠월 칠석날 3세 된 애
※진세의례
1.진세의례 시작 알림;느티나무 고목
2.우물;물을 푸면서 건강 기원
3.3세아기 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