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프 스마트폰 10대수칙
입력 2020.04.10
스마트 폰 개인정보를 지키는 원칙은 사용자 스스로 정보보호수칙을 잘 지키는 것이다.
스마트 폰 정보유출사고는 대부분 사용자가 기본적인 보안지식을 모르거나
알면서도 무시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IT조선은 스마트 폰 사용자라면 누구나 쉽고 정확하게 지킬 수 있는 보안수칙을 만들어
전 국민에게 알리는 캠페인을 벌인다.
안드로이드 중심의 스마트 폰 사용자의 스마트한 정보보호 생활화에 기여하고자
보급하는 10대 수칙은 다음과 같다.
① 스마트 폰 운영체제(OS) 최신업데이트
스마트 폰 OS를 최신버전으로 유지하는 것만으로 다수해킹피해를 막을 수 있다.
스마트폰 제조사는 OS를 수시로 업데이트한다.
② 스마트 폰 이중인증
클라우드나 금융앱, 메신저 등 주요개인정보가 담긴곳에 로그인시 이중인증을 필수화해야 한다.
로그인시 아이디와 비밀번호입력 후 문자등으로 받은 인증코드를 추가로 입력하는 방식이다.
③ 비밀번호 다양화
여러 계정에서 한가지 비밀번호만 쓰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특정경로로 비밀번호가 유출되면 모든계정으로 2차피해가 번질 수 있다.
자신만의 비밀번호 공식을 만들면 계정마다 다른 비밀번호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다.
④ 출처 불분명한 문자·인터넷주소(URL) 접근금지
택배나 모바일 청첩장 등을 사칭한 문자로 특정 URL을 보내는 스미싱사기가 활개를 친다.
해당 URL을 열어보면 스마트폰에 악성코드가 설치돼 금융정보탈취나 소액결제피해가 발생한다.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나 URL은 절대열지 않는다.
⑤ 출처 불분명한 앱 설치금지
출처가 불분명한 앱설치도 피해야 한다.
구글 플레이스토어 등의 공식앱 장터만 이용해야 한다.
⑥ 모바일용 백신설치
보안업체가 내놓은 모바일용 백신을 이용하면 된다.
⑦ 공공 와이파이(Wi-Fi) 조심
공공장소에서 와이파이를 사용할때 신중해야 한다. 해킹용 가짜와이파이 위험 때문이다.
와이파이에 접속할 때 비밀번호 등 별도의 인증수단을 입력하는 와이파이가 안전하다.
⑧ 스마트 폰 민감 개인정보삭제
스마트 폰에 무심코 저장된 민감 개인정보는 수시로 삭제해야 한다.
은행 보안카드나 주민등록등본 등을 사진찍어 보관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⑨ 스마트 폰 안전파기
스마트 폰 파기시 개인정보를 모두 삭제해야 한다.
스마트 폰 초기화 기능을 사용하거나 유심(USIM)을 제거해 버려야 한다.
⑩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118 상담센터활용
스마트 폰을 해킹당했을때 KISA 산하 118 상담센터를 이용하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118 상담센터는 개인정보 침해나 해킹, 스미싱 등을 해결하는 상담창구다.
24시간 365일 서비스를 제공한다.
<IT Chos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