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운사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 안암산 기슭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인 조계사의 말사이다. 1396년(태조 5) 무학(無學)이 창건하여 영도사(永導寺)라 했는데 1779년(정조 3) 정조의 후궁 홍빈(洪嬪)의 명인원(明仁園)을 절 옆에 쓰자 인파축홍(仁坡竺洪)이 동쪽으로 0.8㎞ 떨어진 곳에 절을 옮겨 짓고 개운사라 고쳐 불렀다고 한다. 그 뒤 여러 차례의 중건이 있었으며 현재 경내에는 대웅전·명부전·칠성각을 비롯한 여러 당우가 남아 있고, 지금은 김포로 이전한 중앙승가대학이 있던 곳이다.

개운사 일주문
일주문 뒤로 보이는 건물은 지금은 고시원 건물로 사용되고 있지만,
1981년부터 경내에 승려들의 교육기관인 중앙승가대학교가 있었으나 2001년 김포시로 이전하였다.

일주문 우측으로 자리한 수많은 비문석.
비문 수 만큼 개운사의 역사를 말해줍니다.

법당 오르는 길

관세음보살 석조입상

개운사 삼층석탑

법당 가는 입구와 2층에 범종각이 자리하고 있다.

좌측으로는 요사체,명부전이 자리하고, 우측으로는 삼성각, 정면으로는 법당인
대웅전이 자리하고 있다.

개운사 범종각내에 걸려있는 목어.

개운사 대웅전
개운사는 20세기 이후에 한국 교육불사와 불교의 진보적인 운동을 주도해 왔다.
1926년 근대 불교의 대석학이었던 박한영 스님이 머물었고,
절의 암자인 대원암에 탄허(呑虛)스님이 머물면서 역경(譯經) 사업에 종사 하였다.
1981년부터 중앙승가대학이 이곳을 교육도량으로 사용하면서 현대사 속에서의
개운사 전통을 꽃피우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조선말 고종 10년(1873)에 명부전을 세우고 나서 7년 후인
1880년에는 이벽송(李碧松)대사가 대웅전을 중건하고, 그 후 여러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절은 현재 대대적인 중건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경내에는 현대식 건물로 지은 지상5층의 중앙승가대학 건물이 세워져 있다.(현재는 김포로 이전)

개운사 대웅전내

개운사 삼성각

삼성각내 칠성탱화

삼성각내 독성탱화

삼성각내 산신탱화

개운사 명부전

명부전내의 지장보살상

개운사 목조 아미타불좌상
개운사 명부전에 모셔져있는 목조 아미타불상은 1274년에 제작됐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명부전 내의 동종

대웅전 앞에 자리한 괘불걸이

개운사 요사체
개운사 찾아가는 길
[지하철] 6호선 안암(고대병원)역 하차 후, 도보 5분
첫댓글 법우님..여기는 언제 가셨대요 ^^..()
행복한날 되소서...._()_
앗, 울 동네 오셨네
언제 다 가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