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55세 이상 인구의 3분의 1정도가 이 질환으로 고생한 다는 보고가 있다
무릎관절은 관절통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곳이다
사용빈도가 높고 하중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관절염이 심해지면 연골이 거의 다 닳아서 뼈끼리 부딪치는 상태가 된다
이정도에 이르면 극심한 통증 탓에 아예 걷는 일 자체가 힘들어 진다
그러나 관절염 환자들은 자신에게 적합한 치료방법을 찾지 못해 병원을 전전하다 체념하고 마는 경우가 적지 않다
관절염 치료의 기본은 약물요법과 운동요법이 있다
약물을 오래 복용한 탓에 위장장애나 기타 합병증으로 고생하거나, 잦은'뼈주사'탓에 관절 연골이 더욱 망가지는
경험을 하는 사례도 있다
최근에는 보다 간단하고 강력한 약제가 개발돼 나와 통증완화 효과 면에서 우수한 임상성적을 거두고 있다

뼈주사는 부작용이 많이 보고돼 요즘 들어서는 사용을 자제하는 분위기다
대신 연골 보충제를 주사, 관절 연골의 윤활 작용을 도와줌으로써 통증을 경감시키는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초기 환자라면 이 방법이 효과적일수 있다
운동요법에서는 관절의 유연성을 길러주는 맨손체조 같은 스트레칭과 근력이나 지구력을 강화시켜주는 평지걷기,
수영, 정지된 자전거 타기 등을 권장한다
중기 이후의 환자에게는 우선 관절내시경 수술을 고려하지만 환자의 고통에 비해 치료 효과가 확실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런 이유로 무릎인공관절치환술에 대한 관심ㅇ니 높아지고 있다
인공관절치환술은 치과에서 충치가 심할 경우 썩은 부위를 깎아내고 금 등으로 덮어 씌우는 것과 같은 원리로 이해하면 된다
정형외과 분야에서 무릎인공고나절치환술은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해에 1만5천건 이상의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예전에는 재료가 닳은 등 재료결함이 일부 확인됐고 수술후 '뻐정다리 '같은 좋지 않은 결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요즘들어는 상황이 많이 달려졌다. 인공관절의 값도 저렴해졌고 재료도 획기적으로 개선돼 15~20년 정도는 별 탈없이
사용할수 있는 수준이다
수술기법도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10여년 전만 해도 무릎관절 전체를 인공관절로 바꾸는 광범위한 수술이 적용되었다
그때문에 재활과정이 고통스러우면서 길었고, 어느정도 시일이 지났다 하더라도 무릎의 구부러지는 각도가 평균 110~120도에
불과해 불만스러워하는 환자들이 있었다
이런 가운데 '부분치환술'이 등장해 분위기를 많이 바꾸어 놓고 있다
이는 손상된 관절의 일부분만을 정밀하게 다듬어 낸 다음 그자리를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수술기법이다
수술시간은 약 1시간 정도인데 최소 침습적 방법의 수술이라서 수술상처가 작다는 장점이 있다
이수술법을 적용하면 무릎주위 인대가 거의 손상을 입지 않아 구부러지는 각도 등이 정상적인 무릎에 근접한
수준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걸음걸이가 자연스러워지고 예전과 달리 방바닥에 양반자세를 하고 앉거나
쪼그려 앉는데도 별 무리가 없게 되었다
수술 다음날부터 걸을 수 있고 입원기간은 일주일 정도에 불과하다
예전에는 고통을 참아내면서 물리치료와 스트레칭을 해야 했으나 그런 과정도 사실상 사라졌다
전문의들은 60세 이상의 중증 퇴행성 관절염 환자라면 인공관절치환술을 고려해 보는게 비용대비 효과 면에서
훨씬 유리하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사후관리와 정기검진에서 신경을 써야 한다
인공관절을 오래 쓰기 위해서는 우선 체중조절에 유의해야 한다
체중 1kg을 줄이면 관절에 가는 부담은 4~5kg이 줄어든다
물론 체중이 증가 할수록 인공관절에 무리가 더해지고 인공관절 수명은 단축된다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급작스럽게 관절에 무리는 주는 행동은 삼가는게 바람직하다
수술 후 궈장 운동 종목으로는 평지걷기, 수중보행 , 정지된 자전거 타기 같은 것들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