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mvp 식 외우고 넘어갔다가 1회독 다하고 다시 보니 이게 이제야 눈에 들어오는데요 ;;
포트폴리오 분산식을
w1(주식 1의 투자비율)로 1차미분한 값이 0이 되도록해서 w1을 구하자나요?
근데 1차미분 값은 기울기 방향을 의미하는 것 아닌가요?
미분값을 왜 0으로 두는지 알 수 있을까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5.04.04 17:27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5.04.04 17:38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5.04.07 18:45
첫댓글 2차 함수에서 2차항의 계수가 양인 경우 그래프를 보시면 꼭지점 부분이 가장 작은 값(최소값)을 가리킵니다. 꼭지점 부분은 기울기가 0이기 때문에 최소분산포트폴리오에선는 미분값이 0인 가중치 비율을 구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미분값을 0으로 두는것은 최소값을 구하기 위한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5.04.04 17:27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5.04.04 17:38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5.04.07 18:45
첫댓글 2차 함수에서 2차항의 계수가 양인 경우 그래프를 보시면 꼭지점 부분이 가장 작은 값(최소값)을 가리킵니다. 꼭지점 부분은 기울기가 0이기 때문에 최소분산포트폴리오에선는 미분값이 0인 가중치 비율을 구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미분값을 0으로 두는것은 최소값을 구하기 위한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