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일곱가지 법칙

1. 내면에 잠든 힘을 깨워라 - 순수잠재력의 법칙
(The Law of Pure Potentiality)
자신의 본성에 대한 깨달음속에
이미 모든 꿈들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2. 아낌없이 주라 - 베품의 법칙(The Law of Giving)
주면 주는 만큼 더 많이 받을 것입니다.
실제로 삶에서 가치 있는 것들은 베품을 통해 배가가 됩니다.
3. 뿌린 대로 거두리라 - 업 혹은 인과의 법칙
(The Law of Karma or Cause and Effect)
모든 행위는 어떤 에너지의 힘을 발생시키고, 그 에너지는
그대로 다시 우리에게 돌아오나니 뿌린 대로 거두게 될 것입니다.
4. 때가 오면 모든 것은 무르익는다. - 최소 노력의 법칙
(The Law of Least Effort)
이 법칙은 자연의 지성이 애쓰지 않고, 자연스럽게 초연하며 태평스럽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토대로 합니다. 최소 행위, 무저항의 법칙인 셈입니다.
5. 마음의 씨앗을 뿌려라. - 의지와 소망의 법칙
(The Law of Intention and Desire)
순수한 잠재력이라는 비옥한 땅에 하나의 의지를 심으면
이 무한한 조직력이 우리를 위해 움직이게 할 수 있습니다.
6. 집착을 버려라. - 초연의 법칙(The Law of Detechment)
초연함 속에는 불확실성의 지혜가 있고, 불확실성의 지혜 속에는 과거로부터의 자유와 이미 알고 있는 것으로부터의 자유가, 과거의 제약이라는 감옥으로부터의 자유가 있습니다.
7. 인생의 목표를 세워라. - 다르마의 법칙
(The Law od Dharma or Purpose in Life)
누구에게나 타인들에게 베풀어야 할 고유한 재능이나 특별한 능력이 있다.
이 고유한 재능을 타인에 대한 봉사와 결합하면 우리 영혼의 환희와 절정을 경험 할 수 있으며 이것이 바로 모든 목적들 중에서도 으뜸인 삶의 궁극 목적입니다.
출처 : 공병호 연구소 /자료ⓒ창골산 봉서방

매력적인 사람이 되는 5가지 방법

일본의 부호이자 히트 상품 제조사 '긴자 마루칸'의 창업자 사이토 히토리는 매력이 있어야 성공한다고 말한다. 사람이 따라야 돈도 따르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람이 따른다는 것은 뭔가 끄는 힘, 매력이 있다는 말이다. 매력 있고 성공한 사람들은 감정에만 따르지 않고 대로는 냉철하게 인생을 풀어 간다. 매력은 행복처럼 발견하는 것, 깨닫는 것이며 발전시키는 것이다. 자기만의 매력을 쌓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상대를 진심으로 배려하라.
-아무리 찾아 봐도 내게 매력이 없다고 생각되면 먼저 상대를 진심으로 배려하라. 가령 이미 읽은 책을 권유받더라도 "읽어 봤는데 재미없어요"라는 말보다 "많은 걸 알게 되었어요"라고 기분 좋게 말하는 것이다. 상대를 배려하고 베풀 때 매력은 저절로 발산된다.
2.즐기는 사람이 되라.
-생각이 즐거워야 무엇을 하든 어디에 있든 즐겁다. 종종 일은 재미없고 노는 것만 재미있다고 하는데, 재미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으니 일을 해도 즐겁지 않은 것이다. 일이든 놀이든 맘껏 즐기는 사람이 효율적으로 일하며, 그런 사람에게는 사람을 끄는 보이지 않는 힘이 있다.
3.상대방의 자존감을 살려 주어라.
-웃는 얼굴로 역무원에게 "수고하십니다"라고 말하거나 청소하는 아주머니에게 "덕분에 깨끗한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어 고맙습니다"라고 인사하는 것, 이처럼 상대를 소중한 존재라고 인정해주다 보면 마음이 풍요로워지고, 매력적인 사람으로 보이며 좋은 평가를 얻는다. 단, 스스로를 존중하는 사람이 남에게도 그것을 전할 수 있다.
4.만족할 줄 아는 사람이 되라.
-모든 사람에게 호감을 얻어야만 매력적인 사람이 되는 건 아니다. 싫어하는 사람도 있기 마련이다. 유대인의 법칙 중에 78 대 22라는 것은,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은 최고 78%이고 나머지는 마음의 여유를 가지라는 의미이다. 누구도 100%가 될 수는 없다.
5.개성은 매력의 핵심이다.
-'매력이란 호박꽃은 가지고 있지만 장미꽃에는 없는 것'이란 말이 있다. 사람에게는 자기만의 개성이 있고 그 개성에 좋고 나쁨은 없다. 각기 다른 개성은 그 사람만의 매력이므로 자신의 개성을 소중히 여기는 것이 중요하다.
-좋은생각 2004년 4월호, 참고:'가진 것이 없거든 이렇게 승부하라'-/자료ⓒ창골산 봉서방

배우자를 향한 분노 다루는 방법 6가지

분노란 감정이 나쁜 것일까. 그러나 분노란 단어는 성경 구약에 455차례 기록돼 있으며 그중 375차례나 하나님의 분노를 표현할 때 사용됐다. 성경에 기록된 분노는 불의에 대한 하나님의 당연한 반응이다. 따라서 채프먼 박사는 분노 자체가 잘못된 것이 아니라 그것을 표출하는 방법이 잘못됐을 때 갈등이 생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1.분노의 실체를 인정한다.
-합법적인 분노든 그릇된 분노든 자신을 정죄하지 않는다. 분노 자체는 죄가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하며 분노를 인정한다.
2.분노를 서로 인정하기로 합의한다.
-분노가 생기면 분명하게 표현한다. 부부는 상대방이 언제 무엇 때문에 화났는지 당연히 알아야 한다.
3.말이나 몸으로 분노를 폭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것에 합의한다.
-두 가지 폭발방법 모두 사태를 악화시킬 뿐이다.
4.판단하기 전에 설명을 듣겠다고 합의한다.
-문제를 처음 바라본 시각은 일시적이고 때때로 매우 불완전하다. 배우자의 말과 행동에 대해서는 오해하기 쉬우므로 배우자의 관점을 알아야 한다. 자신이 놓친 귀중한 정보를 상대방이 제공하면 그 문제를 다시 바라볼 수 있다.
5.해결을 모색하기로 합의한다.
-배우자에게 더 많은 정보와 충분한 관점을 얻으면 두 사람 모두 만족할 답을 찾을 수 있다. 만일 잘못이 타당하고 명백하다면 상대방에게 고백하고 회개해야 한다. 원인이 무엇이든지 두사람 사이에 화해하는 작업을 한다.
6.서로 사랑을 확인하기로 합의한다.
-분노가 해소된 후 서로 사랑을 말로 표현한다. 진정으로 잘못을 저지른 경우 잘못한 쪽에서 고백과 회개를 하고 다른 사람은 용서를 구해야 한다.
※채프먼 박사는 “분노는 죄악이 아니라 관계 성장에 꼭 필요한 재료이며 성장의 디딤돌”이라고 말하고 있다.
-사랑의 또 다른 얼굴 분노, 게리 채프먼-/자료ⓒ창골산 봉서방
상실감에서 벗어나는 6가지 방법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이혼으로 깨어진 관계, 퇴직, 실직 등 누구나 살아가면서 크고 작은 상실감을 경험한다. 이런 깨진 마음, 감정의 앙금을 제대로 정리한다면 더 온전히 자신을 사랑하고, 더 섬세하게 다른 감정들도 느낄 수 있다. 상실감 치유 연구소에서 말하는 상실감에서 벗어나는 법을 알아보자.
1.자연스러운 감정임을 인정하라.
-'슬퍼하지 말라, 참고 견뎌라' 등 슬픔에 빠져 있을 때 우리는 감정을 내보이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고 배워 왔다. 그러나 상실에 대해 슬픔을 느끼는 것은 정상적인 반응이다. 감정에 맞서지 말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라.
2.마음을 솔직하게 털어놓아라.
-상실감을 준 사건이나 대상과의 관계를 차분히 되돌아보는 것은 슬픔을 효과적으로 정리하는 과정의 시작이다. 비슷한 상실감을 경험한 친구나 가족에게 솔직하게 털어놓고 '슬프다'라는 사실을 인정함으로써 감정의 앙금을 풀어 버린다.
3.일시적 해소법은 잊어라.
-우리는 흔히 음식, 알코올, 쇼핑 등으로 위안을 삼으면서 상실로 인한 나쁜 감정을 덮어 버리려 한다. 그러나 이는 잠시 기억에서 지워 버려 극복했다는 환상을 만들 뿐, 잘못하면 더 혼란스러워진다. 상실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해 왔던 해소법을 바꾼다.
4.잘못을 인정하라.
-가령 남의 지갑에서 몰래 돈을 꺼내 갔다거나 병문안을 못 가 미안하다는 등 누군가에게 입혔던 상처와 불쾌감을 준 행동을 적어 보라. 정리되지 않은 감정에 대한 책임은 자신에게도 있다. 다른 사람의 탓이라는 피해의식에서 벗어나 지금 겪고 있는 감정에 대해 스스로 책임져라.
5.용서하라.
-상처를 받은 아픔에 계속 원한을 품고 용서하지 않는다면 정작 그로 인해 상처받는 것은 자신이다. 상실감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자유롭게 해야 한다. 자신의 행복을 위해 먼저 용서하라.
6.나에게 편지를 쓰라.
-꼭 해야만 하던 사과와 용서, 알아주었으면 하는 자신의 감정을 편지로 쓰면서 풀지 못했던 감정을 소통하며 정리하는 의식을 치르라. 그 편지를 믿을 만한 친구 앞이나 혼자 조용히 읽는다. 정리는 기억을 지워 버리는 것이 아니다. 감정을 정리함으로 고통스러운 상실감을 지워 버리는 것이다.
-좋은생각 /자료ⓒ창골산 봉서방
성공습관 7가지

1.더 소중하고 큰 일부터 먼저 한다.
-큰일이 해결되면 작은 일은 저절로 풀린다.작은 것을 챙기느라 큰 일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한다.
2.상대방과 내가 함께 이익을 얻는 일일 때만 그 일을 한다.
-당장을 생각하면 나만의 이익을 취할 수도 있다.그렇게 되면 관계는 오래 지속될 수 없으며 결국 나의 손해로돌아온다.
3.말보다는 먼저 행동을 한다.
-하나의 행동을 할 때까지 꾸준한 준비와 노력이 필요하다.그러나 참으로 신뢰받기 위해서는 행동으로 옮기기 전에 떠벌리지 않는다.
4.해야 할 일은 일단 적어본다.
-머리 속으로만 생각하면 중요한 것을 놓친다.우선 종이에 적어놓고 생각하면 많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5.이익은 버리고 친구로서 사람을 만난다.
-아무리 목적을 숨기고 있어도 상대방은 그것을 알아차린다.
6.최선을 다하되 여지를 남겨둔다.
-모든 일에는 실패의 가능성이 있다.실패할 수 있다고 생각 할 때 비로소 자유로운 안목으로 그 일을 대할 수 있다.
7.하루 한번 나 자신만을 위한 시간을 갖는다.
-박은주(김영사 사장)의 7가지 성공습관-/자료ⓒ창골산 봉서방

성공으로 향하는 88가지 마음가짐

첫댓글 좋은글 주심을 감사드립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합당한 희생!!!!~~~ 감사합니다.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