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릴 야(冶)자는 얼음 빙(冫)자 변에 별 태(台)자를 했습니다. 태(台)자는 ‘기르다’ ‘양육하다’의 뜻도 있습니다. 별 태(台)자로 볼 때에는 사사 사(厶)자나 입 구(口)자를 별의 모양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입니다. 기를 태(台)자로 읽을 때에는 사(厶)자를 국자로 보아 입(口)에 국자(厶)로 음식을 먹여 기르는 것을 뜻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쇠를 불린다’는 말은 대장간에서 풀무질을 하여 오래 쓴 쇠 연모를 녹여서 다시 다른 쇠를 더하여 단단하고 크게 다시 만들어 내는 것을 ‘불린다’고 합니다. 얼음 빙(冫)자는 쇠가 녹아 다시 고체가 되는 것을 표시하였고, 기를 태(台)자는 쇠를 불리는 것을 표시하였습니다.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불릴 야(冶)자와 비슷한 글자로, 다스릴 치(治)자가 있습니다. 다스릴 치(治)자는 물 수(氵)변에 기를 태(台)자를 했습니다. 다스린다는 것은 물이 흐르듯 자연스럽게 하는 것이 바른 방법입니다. 야구(冶具) 야력(冶力) 야장(冶匠) 야방(冶坊) 야장(冶場) 야금(冶金) 단야(鍛冶) 도야(陶冶)
희롱지거리 할 야(揶)자는 의부(義符)로 손 수(手,扌,才)자 변에 성부(聲符)로 어조사 야(耶)자를 했습니다. 어조사 야(耶)자는 귀 이(耳)자에 읍 읍(邑,⻏)자 방을 했습니다. 귀 이(耳)자는 귀를 상형(象形)한 글자이고, 읍 읍(邑,⻏)자는 사람이 조금 모여 사는 동네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어조사 야(耶)자는 사람이 조금 모여 사니까, 말이 오가고 생각이 오고 갈테지요. 그래서 말끝에 붙는 어조사 야(耶)자가 생겼다고 봅니다. 야유(揶揄) 야유적(揶揄的)
아비 야(爺)자는 의부(義符)로 아버지 부(父)자에 성부(聲符)로 아버지 야(耶)자를 했습니다. 아버지 야(耶)자는 귀 이(耳)자에 읍 읍(邑,⻏)자를 했습니다. 귀 이(耳)자는 귀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이고, 읍 읍(⻏)자는 언덕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아들과 아버지와의 대화와 그 관계를 나타냈습니다. 야양(爺孃) 야파(爺婆) 노야(老爺) 소야도(蘇爺島) 노야묘(老爺廟)
땅 이름 야(倻)자는 의부(義符)로 사람 인(亻)자에 성부(聲符)로 어조사 야(耶)자를 했습니다. 어조사 야(耶)자는 귀 이(耳)자에 읍 읍(邑,⻏)자 방을 했습니다. 귀 이(耳)자는 귀를 상형(象形)한 글자이고, 읍 읍(邑,⻏)자는 사람이 조금 모여 사는 동네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어조사 야(耶)자는 사람이 조금 모여 사니까, 말이 오가고 생각이 오고갈 테지요. 그래서 말끝에 붙는 어조사 야(耶)자가 생겼다고 봅니다. 야계(倻溪) 가야(伽倻) 금관가야(金官伽倻) 대가야(大伽倻) 가야금(伽倻琴)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