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 목재이용연구과장 손동원
우리가 대부분 시간을 보내는 곳은 집, 학교, 직장과 같은 건축물이다.
이러한 건축물을 짓기 위해서는 철근, 콘크리트, 알루미늄과 같은 에너지 집약적인 재료가 대량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건축재료를 생산하기 위해 화석연료를 사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게 된다.
반면, 목재의 경우 생산과정에서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다.
오히려 목재 부산물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화석연료를 대체하면, 온실가스 감축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목조주택의 환경적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주택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 기법을 통해 정량화 한 바 있다.
영주시 가흥동에 있는 한그린 목조관입니다.
국산목재를 사용한 한그린 목조주택(연면적 189㎡)과
이와 동일한 형태와 기능을 가진 철근콘크리트주택의 자재 생산, 수송, 시공단계까지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목조주택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52.27tCO2, 철근콘크리트주택은 106.57tCO2로 철근콘크리트주택이 온실가스를 2.04배 더 많이 배출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목조주택에 사용된 목재가 이산화탄소 38.3tCO2를 추가적으로 저장하는 것도 확인하였다.
또한, 목조건축이 활성화된 일본의 국토교통성에서 분석한 자료를 보면,
단독주택 1동(연면적 125.86㎡) 건축 시 목재, 강재, 콘크리트 투입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목조주택이 26.85tCO2, 철근콘크리트조 주택 92.92tCO2(3.46배), 철골조 주택 64.83tCO2(2.41배),
철골철근콘크리트조 주택 109.19tCO2(4.07배)로
목조주택의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나,
목조주택이 탄소저금통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목재를 장기간,
대량으로 활용할 수 있는 목조주택의 보급 확대를 위해 목조주택 표준모델을 개발·보급하고 있다.
또한, 국산목재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건축 신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다.
신기후체제에 대응하기 위해 목재를 건축소재로 활용하자는
도시목조화 운동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연간 목조주택 착공 수는 1만 동으로 전체 건축 착공 수의 1% 수준이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 건축에 투입되는 목재의 대부분은 수입목재로 탄소저장량 산정대상이 아니다.
도서관, 주민센터 같은 공공건축물부터 국산목재를 활용한 목조건축으로 시공한다면,
더 나아가 범국민적 목조건축 문화를 정착해나가는 큰 기반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