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명유래 ▶ 앙성면
| |
【 TOP 】
유 래 |
⊙ 앙성-면(仰城面)【면】충주시 13면의 하나.1903년 3월1일 행정구역 변경에 의하여 앙암면과 복성면 2개면을 병합하여 그 이름을 따서 앙성면이라 하고, 단암(丹岩), 중전(中田), 강천(江泉), 모점(毛店), 목미(木尾), 영죽(永竹), 지당(智當), 본평(本坪), 용포(龍浦), 용대(龍垈), 사미(沙美), 마련(馬蓮), 돈산(敦山), 능암(陵岩), 조천(釣川)의15개 리로 개편 관할함. 동쪽은 가금면(可金面), 남쪽은 노은면(老隱面), 서쪽은 경기도 여주군(驪州郡) 점동면(占東面)과 음성군(陰城郡) 감곡면(甘谷面), 북쪽은 소태면(蘇台面)과 강원도 원성군(原城郡) 부론면(富論面)과 닿고있음. ⊙ 강천-리(江泉里)【리】본래 충주군 앙암면(仰岩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서음리(西音里), 강정리(江亭里), 고촌리(庫村里), 학미동(鶴尾洞), 천포리(泉浦里)의 이름을 따서 강천리라 하여 앙성면에 편입됨. ⊙ 능암-리(陵岩里)【리】본래 충주군 복성면(福城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능동(陵洞)과 죽암리(竹岩里) 일부를 병합하여 능암리라 해서 앙성면에 편입됨. ⊙ 단암-리(丹岩里)【리】본래 충주군 앙암면(仰岩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말암리(末岩里), 검단리(檢丹里), 중방리(中方里)와 서암리(西岩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검단과 말암의 이름을 따서 단암리라 하여 앙성면에 편입. ⊙ 돈산-리(敦山里)【리】본래 충주군 복성면(福城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돈담리(敦潭里), 산정리(山亭里), 사이동(沙伊洞), 연동(連洞)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돈담과 산정의 이름을 따서 돈산리라 하여 앙성면에 편입됨. ⊙ 마련-리(馬連里)【리】본래 충주군 복성면(福城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마장리(馬場里), 다랑골, 주막거리, 지게미테, 연동(蓮洞)의 일부를 병합하여 마장과 연동의 이름을 따서 마련리라 하여 앙성면에 편입됨. ⊙ 모점-리(毛店里)【리】본래 충주군 앙암면(仰岩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동막리(東幕里), 모정리(毛亭里), 사점리(沙店里), 학미동(學尾洞)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모정과 사점의 이름을 따서 모점리라 하여 앙성면에 편입됨. ⊙ 목미-동(木尾洞)【마을】본래 충주군 앙암면(仰岩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율목동(栗木洞), 학미동(鶴尾洞), 사점리(沙店里), 천포리(泉浦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율목과 학미의 이름을 따서 목미동이라 하여 앙성면에 편입됨.
⊙ 본평리(本坪里)【리】본래 충주군 복성면(福城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본복리(本福里), 유량리(有良里), 당평리(唐坪里)의 일부를 병합하여 본복과 당평의 이름을 따서 본평리라 하여 앙성면에 편입됨. ⊙ 사미-동(沙美洞)【리】본래 충주군 복성면(福城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풍미동(豊美洞), 사이동(沙伊洞), 산정리(山亭里), 연동(蓮洞)의 일부를 병합하여 사이와 풍미의 이름을 따서 사미동이라 하여 앙성면에 편입됨. ⊙ 영죽-리(永竹里)[영죽]【리】본래 충주군 앙암면(仰岩面)의 지역으로 영죽(永竹)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가는골, 큰골, 요꼴, 너른이, 뒷골, 산막(山幕), 음촌 (陰村), 양촌(陽村)을 병합하여 영죽리라 하여 앙성면에 편입됨. ⊙ 용대-리(龍垈里)【리】본래 충주군 복성면(福城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내룡리(內龍里), 하남리(河南里), 신대리(新垈里), 궁평리(弓坪里), 용당리(龍堂里), 풍미리(풍미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내룡과 신대의 이름을 따서 용대리라 하여 앙성면에 편입됨. ⊙ 용포-리(龍浦里)【리】본래 중원군 복성면(福城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갈티리(葛峙里), 월포리(月浦里), 용당리(龍堂里), 의 일부를 병합하여 용당과 월포의 이름을 따서 용포리라 하여 앙성면에 편입됨. ⊙ 중전-리(中田里)【리】본래 충주군 앙암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의해 중방리(中方里), 서음리(西音里), 저전리(楮田里), 강정리(江亭里)의 일부를 병합하여 중전리라하여 앙성면에 편입됨. ⊙ 조천리(釣川里)【리】본래 중원군 복성면(福城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조대리(釣臺里), 벌천리(伐川里), 비내, 사기점, 청산이골을 병합하여 조대와 벌천의 이름을 따서 조천리라 하여 앙성면에 편입됨.
忠淸北道(충청북도) 忠州郡(충주군) 仰城面(앙성면)
種別(종별) 地名(지명) 諺文(언문) 備攷(비고)
里洞名(리동명) 永竹里(영죽리) 영죽리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竹(대 듁)으로 나옴.
仝 江泉里(강천리) 강천리
仝 丹岩里(단암리) 단암리
仝 中田里(중전리) 중젼리 주(註):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田(받 뎐)으로 나옴.
仝 毛店里(모점리) 모점리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店(져제 덤)으로 나옴.
仝 木尾洞(목미동) 목미동
仝 智堂里(지당리) 지당리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堂(집 당)으로 나옴.
仝 本坪里(본평리) 본평리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坪(드르 평)으로 나옴.
仝 龍浦里(용포리) 용포리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浦(개 보)로 나옴.
仝 龍垈里(용대리) 용대리(대())
p24
種別(종별) 地名(지명) 諺文(언문) 備攷(비고)
里洞名(리동명) 沙美洞(사미동) 사미동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沙(몰애 사)로 표기되어 있음.
仝 馬蓮里(마련리) 마련리
仝 敦山里(돈산리) 돈산리(산())
仝 陵岩里(능암리) 능암리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陵(두듥 릉)으로 표기됨.
仝 釣川里(조천리) 됴천리 주(註):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釣(나(끌)ㅅ글 됴)로, 川(내 쳔)으로 나옴.
部落名(부락명) 陰村(음촌) 음달말 永竹里(영죽리)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陰(가()날() 음)으로 나옴.
仝 陽村(양촌) 양달말 仝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陽(볃 양)으로 나옴.
仝 江村(강촌) 강촌 仝
仝 大谷(대곡) 큰골 仝
仝 上永竹(상영죽) 상영죽 仝
仝 蓼谷(요곡) 요골 仝
仝 泉浦(천포) 샘개(샘()개()) 江泉里(강천리)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泉(샘() 쳔)으로, 浦(개 보)로 나옴.
仝 江亭(강정) 강정 仝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亭(뎡잣() 뎡)으로 표기되어 있음.
仝 樓樂洞(누락동) 루락골 丹岩里(단암리)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樓(다각 루)으로 표기되어 있음.
仝 檢丹里(검단리) 검단리 仝
仝 末衣岩(말의암) 오바우 仝 주(註): 원문에는 末衣岩(말의암)으로 적혀 있는데 衣(의)자가 굵게 적혀 있음. 말암(末岩) 혹은 衣岩(의암--- 옷바위)이라 불리었음.
仝 中方里(중방리) 중방골 中田里(중전리)
仝 楮田里(저전리) 닥밧말 仝 주(註):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楮(닥 뎌), 田(받 뎐)으로 나옴.
仝 毛亭(모정) 모정 毛店里(모점리)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亭(뎡잣() 뎡)으로 표기되어 있음.
仝 沙店(사점) 사기점 仝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沙(몰애 사)로, 店(져제 덤)으로 나옴.
仝 鶴尾洞(학미동) 할미울 木尾洞(목미동)
仝 下栗里(하율리) 하밤나무골 仝
p25
種別(종별) 地名(지명) 諺文(언문) 備攷(비고)
部落名(부락명) 上栗里(상율리) 우밤나무골 木尾洞(목미동)
仝 三堂里(삼당리) 삼당이 智堂里(지당리)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堂(집 당)으로 나옴.
仝 産谷(산곡) 산골 仝
仝 智庄里(지장리) 지장이 仝
仝 唐坪(당평) 당평 本坪里(본평리)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坪(드르 평)으로 나옴.
仝 本福(본복) 복성골 仝
仝 細浦(세포) 가느개(개()) 仝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浦(개 보)로 나옴.
仝 葛峙(갈티) 갈터 龍浦里(용포리) 주(註): <갈티>가 맞을듯하나 <갈터>로 표기되어 있음. 峙자는 현대에 '치'로 읽으나 과거에 '티'로 발음하였음.
仝 月浦(월포) 달개(개()) 仝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月(달() 월)로, 浦(개 보)로 나옴.
仝 龍堂里(용당리) 용당이 仝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堂(집 당)으로 나옴.
仝 內龍里(내용리) 안용당이 龍垈里(용대리)
仝 新垈(신대) 새터(새()) 仝
仝 河南(하남) 하남이 仝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南(앏 남)으로 나옴.
仝 宮坪(궁평) 궁들 仝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坪(드르 평)으로 나옴.
仝 豊美(풍미) 풍미 沙美洞(사미동)
仝 沙伊谷(사이곡) 사리골 仝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沙(몰애 사)로 표기되어 있음.
仝 馬場(마장) 마장 馬蓮里(마련리)
仝 蓮谷(연곡) 연골 仝
仝 敦潭里(돈담리) 동담 敦山里(돈산리) 주(註): <돈담>이 맞을듯하나 <동담>으로 표기되어 있음.
仝 山亭里(산정리) 산정 仝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亭(뎡잣() 뎡)으로 표기되어 있음.
仝 陵洞(능동) 능골 陵岩里(능암리)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陵(두듥 릉)으로 표기됨.
仝 公峴(공현) 공현 仝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峴(고개 현)으로 나옴.
p26
種別(종별) 地名(지명) 諺文(언문) 備攷(비고)
部落名(부락명) 細坡(세파) 세파 陵岩里(능암리)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陵(두듥 릉)으로 표기됨.
仝 陽村(양촌) 양촌 仝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陽(볃 양)으로 나옴.
仝 釣台(조태) 조터골 釣川里(조천리) 주(註): 台(대)는 臺(대)의 간체자(簡體字)로 <별 태>자로 음을 따서 <태>로 읽을수도 있음.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釣(나끌() 됴)로 표기됨.
仝 伐川(벌천) 비내(내()) 仝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川(내 쳔)으로, 川(내 쳔)으로 나옴.
市場(시장) 江川市(강천시) 강천시 江川市(강천시) 주(註): 비고란에 江川市(강천시)로 표기되어 있음.
仝 龍浦市(용포시) 용포시 龍浦里(용포리)
峙名(치명) 永竹峙(영죽티) 영죽고개(개()) 永竹里(영죽리)
仝 大谷峙(대곡티) 큰골고개 仝
仝 三堂峙(삼당티) 삼당이고개(개()) 木尾里(목미리)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堂(집 당)으로 나옴.
仝 伐川峙(벌천티) 비내고개(내(),개()) 釣川里(조천리)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川(내 쳔)으로 표기되어 있음.
河川名(하천명) 龍堂川(용당천) 용당이개울(개()) 龍浦里(용포리) 주(註):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堂(집 당)으로 나옴.
洑名(보명) 新洑(신보) 새보(새()) 仝
仝 中洑(중보) 중보 仝
仝 下洑(하보) 하보 仝
古蹟(고적) 彌勒(미력) 미력 智堂里(지당리) 주(註): 彌勒(미륵)은 현대 한국어에서 <미륵>으로 읽으나 이 당시에는 <미력>으로 읽었을 가능성이 높음.
|
첫댓글 앙성면은 앙암면과 복성면에서 한 자씩 따온 이름인데 앙암(仰岩)은 고개를 쳐들어 바위를 바라보다는 뜻입니다.
앙성면에 실제로 가면 이 말뜻을 알 수 있습니다. 보련산, 국망산, 오갑산, 양지말산, 새바지산, 옥녀봉으로 길쭘하게 둘러싸인 곳입니다.
앙성면에서 비내길이 요즘 유명한데 비내는 한자로 벌천(伐川)입니다. 벌내가 비내인데 이와 관련 확신있는 어떤 설명도 못 들어 보았습니다.
이 곳에 가보면 강 한가운데로 큰 벌판이 펼쳐져 있습니다. 벌내는 큰 벌이 있는 강(내)이란 뜻이고 비내는 내에 물이 가득해야 하는데 비어 있고 한가운데 벌이 펼쳐져 있으므로 <비어있는 내, 빈내>가 <비내>로 정착한 것 같습니다.
비스듬히 기울어진 내라고 <비내>라고 하였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억지 주장 같습니다.
이곳에서 하류로 더 가면 비내섬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