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승 수(獸)자는 의부(義符)로 개 견(犬,犭)자에 성부(聲符)로 짐승 축(嘼)자를 했습니다. 짐승 축(嘼)자는 길들인 짐승을 표시한 것 같습니다. 즉 가축을 뜻하는 글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짐승 축(嘼)의 옛 글자를 보면 윗부분 입 구(口)자 두 개 한 부분이 짐승을 제압하느라고 짐승에게 장치한 소의 멍에 같은 모양을 했습니다. 짐승 수(獸)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야수(野獸) 금수(禽獸) 수의(獸醫) 수류(獸類) 괴수(怪獸) 해수(海獸) 맹수(猛獸)
나를 수(輸)자는 의부(義符)로 수레 차(車)자에 성부(聲符)로 점 점 유(兪)자를 했습니다. 점점 유(兪)자는 합할 집(亼)자 아래에 달 월(月)자를 하고 큰 도랑 괴(巜)자를 했습니다. 그러나, 옛 글자를 보면 배가 점점 앞으로 나아감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달 월(月)자는 배 주(舟)자의 변형입니다. 큰 도랑 괴(巜)자는 물을 그린 글자입니다. 배가 물에 떠서 점점 앞으로 나아간다는 표시입니다. 옷 입을 수(䠼)자도 점점 유(兪)자가 들어 있어서 ‘수’로 읽습니다. 수입(輸入) 수출(輸出) 밀수(密輸) 수혈(輸血) 수송(輸送) 운수(運輸) 공수(空輸)
따를 수(隨)자는 의부(義符)로 언덕 부(阜,阝)자에 성부(聲符)로 따를 수(遀)자를 했습니다. 따를 수(遀)자는 간다는 뜻이 있는 쉬엄쉬엄 갈 착(辶)자에 왼 좌(左)자를 하고, 아래에 육 달 월(月,肉)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왼손 좌(左)자는 남아도는 고기를 나타낸 글자입니다. 따를 수(遀)자는 수나라 수(隋)자 오른쪽 글자와 같은 글자가 들어 있습니다. 수나라 수(隋)자는 제사고기 나머지 타(隋)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제사고기 나머지 타(隋)자는 언덕에서 제사를 모시고 남은 고기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왼 좌(左)자는 고기가 남았다는 표시입니다. 무엇이나 왼쪽에 두는 것은 남았다는 말이지요. 이 글자를 보면 수(隋)나라는 제사를 매우 풍성하게 지냈던 것 같습니다. 수인(隨人) 수반(隨伴) 수필(隨筆) 수원(隨員) 수행(隨行) 수종(隨從) 추수(追隨)
구할 수(需)자는 비 우(雨)자 아래에 말이을 이(而)자를 했습니다. 이(而)자는 빗줄기가 계속 쏟아지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이어서 비가 내린다는 말이지요. 이렇게 비가 쉬임 없이 내릴 때 비가 그치기를 기다리는 수(需)자입니다. ‘기다린다’는 것은 무엇을 구한다는 뜻이지요. 수요(需要) 수세(隨世) 수사(需事) 수모(需母) 수급(需給) 실수(實數) 특수(特需)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