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여수넘버원
 
 
 
 

지난주 BEST회원

 

지난주 BEST회원

 

지난주 BEST회원

 
 
 

최근 댓글 보기

 
최신 댓글이 없습니다.
 
 

카페 통계

 
방문
20250326
3
20250327
7
20250328
3
20250329
2
20250330
1
가입
20250326
0
20250327
0
20250328
0
20250329
0
20250330
0
게시글
20250326
0
20250327
0
20250328
0
20250329
0
20250330
0
댓글
20250326
0
20250327
0
20250328
0
20250329
0
20250330
0
 
 

자주가는 링크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제주공
    2. 탄이
    3. 여름여름
    4. 금빛날개
    5. 쏘호
    1. strong608
    2. vkclsh
    3. jjd529
    4. 블루스카
    5. 바람의향기
 
 

친구 카페

 
등록된 친구카페가 없습니다
 
카페 게시글
●……― 생활정보방 스크랩 친인척 호칭알아보기
소리 추천 0 조회 157 08.01.01 15:59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호칭이란 무엇인가?

  호칭(呼稱)의 사전적인 의미는 '이름 지어 부름, 또는 그 명칭'이다. 호칭은 사람을 부를 때 쓰는 말로 관계호칭(關係呼稱)과 직접호칭(直接呼稱)이 있다.

 

    ①  관계호칭은 호칭을 보고 상호 간이 어떤 관계인지를 나타내는 호칭이다. 예를 들어 부(父) 또는 모(母)라고 하면 어느 집의 상황만이 아닌 이 세상의 낳아준 사람임을 말하는 것이다.

 

   ②  직접호칭은 대상자에게 직접 생활 속에서 부르는 호칭이다. 예를 들면 나를 낳은 분을 아버지(父) 또는 어머니(母)라고 생활 속에서 부르는 말이다.

 

촌수란 무엇인가?

 촌수(寸數)는 친인척의 상호 관계를 수치를 통하여 멀고 가까움의 형식으로 이해하기 위한 해석 방법이다. 이 촌수 방식은 우리의 고유한 관계 분석용 도구로 알려져 있으며 기록상으로는 12세기 고려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 기록에는 촌(寸)이라는 말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없으나, 상호 관계를 따질 경우에 친 가족의 범위만 벗어나도 여러 사람을 거쳐 상대방의 위치를 알게 되는 구조를 생각해 볼 때 나와 상대방 사이에 나타나는 여러 사람을 한 마디씩으로 해석하여 상대방까지 몇 마디를 거쳐 갔는지를 살펴보고 수치로 환산하였을 경우 상대방과 나와의 가깝고 먼 상태를 보다 쉽게 이해하였을 것으로 쉽게 수긍이 간다

 

      부부는 촌수가 없다.


     부모와 자식 사이는 1촌이다.


     형제 자매 사이는 2촌 관계이다.


     촌수의 촌(寸)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결 마디를 의미하고, 지나온 마디의 수가 촌수이다.


 

 

자기집

아버지 부친(父親) 가친(家親) 나를 낳아주신 분
어머니 모친(母親) 자친(慈親) 나를 길러주신 분
할아버지 조부(祖父) 아버지의 아버지
할머니 조모(祖母) 아버지의 어머니
증조 할아버지 증조부(曾祖父) 한 할아버지 할아버지의 아버지
증조 할머니 증조모(曾祖母) 한 할머니 할아버지의 어머니
고조 할아버지 고조부(高祖父) 높은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의 아버지
고조 할머니 고조모(高祖母) 높은 할머니 증조할아버지의 어머니
남편 부(夫) 가장(家丈) 지애비, 아비
아내 처(妻) 내자(內子) 지어미, 자기 부인
아들 가아(家兒) 돈아(豚兒) 내가 낳은 사내아이
며느리 자부(子婦) 아들의 아내
딸 여식(女息) 내가 낳은 여자아이
사위 서랑(胥郞) 딸의 남편
형 장형(長兄) 사백(舍伯) 사중(舍仲) 손위형제
형수 큰 형수(長兄嫂) 형의 부인
아우 사제(舍弟) 동생 손아래 동생
제수 제수(弟嫂) 아우의 아내
누이 가매(家妹) 언니 손위 남매
자형 자형(姉兄) 매형(妹兄) 누이의 남편
누이동생 매(妹) 가매(家妹) 손아래 자매
매제 매부(妹夫) 매제(妹弟) 누이동생의 남편
큰 아버지 백부(伯父) 중백부(仲伯父) 아버지의 큰형
큰 어머니 백모(伯母) 중백모(仲伯母) 아버지의 형수
작은 아버지 숙부(叔父) 계부(季父) 삼촌(三寸) 아버지의 동생
작은 어머니 숙모(叔母) 아버지의 제수
당숙 당숙(堂叔) 종숙(從叔) 아버지의 사촌형제
당숙모 당숙모(堂叔母) 종숙모(從叔母) 아버지 사촌의 부인
재당숙 재당숙(再堂叔) 재종숙(再從叔) 아버지의 육촌의 형제
재당숙모 재당숙모 재종숙모 아버지 육촌의 부인
종조부 종조부(從祖父) 할아버지의 형제
종조모 종조모(從祖母) 할아버지의 형수, 제수
종형제 사촌형제(四寸兄弟) 아버지의 조카
종수 사촌형수, 제수 아버지의 조카며느리
재종형제 육촌형제(六寸兄弟) 당숙의 아들
재종수 육촌형수, 제수 당숙의 며느리
조카 질(姪) 조카딸(조카사위) 형, 아우의 아들 딸
조카며느리 질부(姪婦) 조카의 아내
당질 당질(堂姪) 사촌의 아들
당질부 당질부(堂姪婦) 사촌아들의 아내
종손 종손(從孫) 조카의 아들
재종손 재종손(再從孫) 육촌의 손자


시집

시아버님 시부(媤父) 시아버지 남편의 아버지
시어머니 시모(媤母) 시어머니 남편의 어머니
시숙 시숙(媤叔) 서방님 남편의 형, 시아주버니
동세 동시(同媤) 형님 남편의 형수
동서 동서(同胥) 남편형제의 아내
시동생 기혼은 서방님, 미혼은 도련님 남편의 아우
시누이 시매(媤妹), 기혼손위는 형님, 손아래는 아우, 미혼은 아가씨 남편의 자매, 아가씨

 

외가집

외할아버지 외조부(外祖父) 어머니의 아버지
외할머니 외조모(外祖母) 어머니의 어머니
외숙 외숙(外叔) 외삼촌(外三寸) 어머니의 남자형제
외숙모 외숙모(外叔母) 외삼촌의 부인
외사촌 외종(外從)형제 외삼촌의 아들
외종수 외종수(外從嫂) 외삼촌의 며느리
외당질 외당질(外堂姪) 외당질여 외사촌의 아들 딸
외당질부 외당질부 외사촌의 며느리
진외당숙 진외당숙(陳外堂叔) 아버지의 외사촌

 

고모집


고모 고모(姑母) 아버지의 여자 형제
고모부 고모부(姑母夫) 고숙(姑叔) 고모의 남편
당고모 당고모(堂姑母) 아버지의 사촌누이
재당고모 재당고모(再堂姑母) 아버지의 육촌누이
내종형제 내종사촌(內從四寸) 고모의 아들 딸
대고모 대고모(大姑母) 왕고모 아버지의 고모

 

처가집


장인 장인(丈人) 빙장 아내의 아버지
장모 장모(丈母) 빙모 아내의 어머니
처백부 처백부(妻伯父) 아내의 큰아버지
처백모 처백모(妻伯母) 아내의 큰어머니
처숙부 처숙부(妻叔父) 아내의 작은아버지
처숙모 처숙모(妻叔母) 아내의 작은어머니
처남 처남(妻男) 아내의 남자 형제
처남댁 처남댁(妻男宅) 처남의 부인
처조카 처질(妻姪) 처조카딸 처남의 아들 딸
처조카며느리 처질부(妻姪婦) 처 조카의 아내
처형 처형(妻兄) 아내의 언니
처제 처제(妻弟) 아내의 동생
동서 동서(同胥) 아내형제의 남편

 

이모집


이모 이모(姨母) 어머니의 여자형제
이모부 이모부(姨母夫) 이숙(姨叔) 이모의 남편
이종 이종사촌(姨從四寸) 이모의 아들
이종수 이종수(姨從嫂) 이종사촌의 부인이종
이질 이질(姨姪) 이질여(姨姪女) 이종의 아들 딸
이질부 이질부(姨姪婦) 이질의 아내

 

사돈간

사돈 바깥사돈(아들과 며느리 양가 아버지의 호칭)
사부인 안사돈(아들과 며느리 양가 어머니의 호칭)
사장 (사돈의 아버지 또는 안사돈이 바깥사돈에 대한 존칭)
노사장 (사돈의 아버지 또는 할아버지)
노사부인 (안사돈의 어머니 또는 할머니)
사돈도령 (안사돈이 사돈의 미혼 아들에 대한 호칭)
사돈댁 색시 (사돈의 미혼한 딸, 사돈새아씨의 약칭)

 
다음검색
댓글
  • 08.01.01 21:51

    첫댓글 척봐두 좋은 정보네요....우리 실생활에 쓰이는 ^&^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