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된 모습 없는 그 곳에 진짜 모습이 있다 / 종광 스님
부처님 육신통은 여섯 가지 경계에 미혹하지 않는 것
삼계가 오직 마음이며 만법은 의식이 만든 환영일 뿐
有一般禿比丘하야 向學人道호대 佛是究竟이니
於三大阿僧祇劫에 修行果滿하야 方始成道라하니
道流야 儞若道佛是究竟인댄 緣什麽하야 八十年後에
向拘尸羅城 雙林樹間하야 側臥而死去며 佛今何在오
明知 與我生死不別이니라 儞言, 三十二相八十種好가
是佛이라하니 轉輪聖王도 應是如來라 明知是幻化로다
해석) “일반적으로 머리 깎은 비구들이 학인들에게 말하기를
부처야말로 최고의 궁극적인 경지이니 삼대 아승지겁 동안 수행을 해
그 결과가 다 채워짐으로 비로소 도를 이룬 것이다 라고 한다.
여러분! 그대들이 만약 부처를 최고의 궁극적인 경지라 여긴다면
어찌하여 부처님께서 80년 후에 쿠시나가라성의
사라쌍수 사이에서 옆으로 누워 돌아가셨는가?
그 부처님은 지금 어디에 계신단 말인가?
분명히 알아야 한다. 부처님과 우리의 생사가 다르지 않다.
그대들은 32상80종호가 부처님이라고 말할 것이다.
그렇다면 마땅히 전륜성왕도 여래이어야 한다.
마땅히 알아야 한다. 그것은 환영이고 허깨비이다.”
강의) 부처님이 되기 위해서는 오랜 세월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입니다.
무수한 생을 다시 태어나며 선업을 쌓고 수행한 결과
부처님이 됐다는 기록은 경전에도 나옵니다.
특히 상좌부 불교에서는 이런 가르침을 중시하고 실제 수행의 과정에서도
충실히 따르려고 노력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목표로 삼고 있는 그 부처님은 지금은 돌아가시고 계시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부처님은 어디에 계시는 것일까요.
이렇게 말하면 혹자는 32상80종호가 부처님이라고 말하겠지만
전륜성왕도 32상80종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전륜성왕이 부처님입니까.
이렇게 우리의 관념 속에 들어있는 부처님의 모습은 모두가 허상이고 환영에 지나지 않습니다.
부처님도 우리와 생사(生死)가 다르지 않다는 말을 잘 기억해야 합니다.
古人이 云, 如來擧身相은 爲順世間情이라 恐人生斷見하야
權且立虛名이로다 假言三十二하고 八十也空聲이니
有身은 非覺體요 無相이 乃眞形이로다
해석) “옛사람이 이르기를, 여래가 갖추신 몸의 모습은
세상의 인정에 순응하기 위한 것이다.
사람들이 아무 것도 없다는 단견(斷見)을 일으킬까
두려워 방편으로 세운 헛된 이름이다.
가짜로 32상을 말한 것이고 80종호도 헛소리다.
육신은 깨달음의 본체가 아니며,
고정된 모습이 없는 그 곳에 진짜 모습이 있다.”
강의) 옛사람은 중국 양나라 때 비승비속(非僧非俗)으로 살았던 부대사(497~569)입니다.
부대사가 ‘금강경’에 송(頌)을 붙였는데 32상80종호를 비롯해서
법신·화신·보신 등 부처님을 찬탄하는 모든 이름들은
사람들의 인정에 따른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부연하자면 부처님께서 ‘비어있다(空). 없다(無)’ 이렇게 말하니까
그 근본 뜻은 헤아리지 못하고 단견(斷見)을 일으켜
모든 것을 아무 것도 없는 허무한 것으로 여기는 까닭에
방편으로 헛된 이름을 세운 것일 뿐입니다.
그러나 육신이나 모양은 깨달음의 당체가 아님을 잘 알아야 합니다.
고정된 모습이 없는 그 곳에 진짜 모습이 있는 것입니다.
‘금강경’에 범소유상(凡所有相) 개시허망(皆是虛妄)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즉견여래(卽見如來)라는 사구게(四句偈)가 있습니다.
형상 있는 모든 것은 다 허망한 것이니 만약 형상 속에서 형상 아닌 것을 보면
곧 여래를 보게 된다는 뜻입니다. 즉 보이는 것이 진실이 아닙니다.
진실은 보이는 모습 너머에 있습니다.
아니 보이는 모습 그대로 진리이면서 또한 그 모습을 넘어서 있습니다.
우리가 비록 중생이지만 본질은 부처인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儞道호대 佛有六通하야 是不可思議라하니
一切諸天과 神仙阿修羅와 大力鬼도 亦有神通하니
應是佛否아 道流야 莫錯하라 祇如阿修羅가
與天帝釋戰하야 戰敗에 領八萬四千眷屬하고
入藕絲孔中藏하니 莫是聖否아 如山僧所擧는
皆是業通依通이니라
해석) “그대들은 부처님께는 여섯 가지 신통이 있으시니 참으로 불가사의하다고 말한다.
그런데 여러 천신들과 신선과 아수라와 큰 힘이 있는 귀신들도 역시 신통이 있다.
그렇다면 이들도 마땅히 부처라고 해야 하지 않겠는가.
여러분! 착각하지 마라. 아수라들이 제석천과 싸우다 패하자
팔만사천의 권속들을 거느리고 연근의 구멍 속으로 들어가 숨었다고 하는데
이들도 성인이라 해야 하지 않겠는가?
내가 예를 든 것은 모두 업의 신통이거나 무엇에 의지한 신통들이다.”
강의) 불교에서는 육신통(六神通)을 이야기합니다.
천안통(天眼通), 신족통(神足通), 천이통(天耳通), 숙명통(宿命通),
타심통(他心通), 누진통(漏盡通)이 그것입니다.
모두 부처님께서 구족하신 신통력인데,
천안통은 멀리 있는 것에서 미래의 것까지를 보는 것을 말하고
신족통은 어디든지 마음대로 갈 수 있는 능력이며
천이통은 남이 듣지 못하는 것을 다 듣고
숙명통은 과거의 것들을 다 보며
타심통은 말하지 않아도 마음을 읽어내는 것입니다.
거론한 다섯 가지 신통은 부처님뿐만 아니라 천신들도 가지고 있으나
마지막 누진통은 유일하게 부처님만이 가지고 있는 신통이라고 합니다.
누진(漏盡)은 새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번뇌가 다해 새지 않으니 더 이상 증득할 것이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그런데 만약 신통으로 부처님의 존재를 증명하려 한다면 문제가 생깁니다.
이런 신통은 부처님뿐만 아니라 천신과 신선과 아수라 등도 가지고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구족한 신통이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이런 신통을 의미할까요.
임제 스님이 지금 예로 든 신통은 노력을 통해서,
혹은 무언가에 의지해서 생긴 신통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생기는 것이 업의 신통이고
물건이나 의식을 매개로 생기는 신통이 의통입니다.
그러면 부처님의 육신통은 무엇일까요.
夫如佛六通者는 不然하야 入色界不被色惑하며
入聲界不被聲惑하며 入香界不被香惑하며
入味界不被味惑하며 入觸界不被觸惑하며
入法界不被法惑하니라 所以로 達六種色聲香味觸法이 皆是空相이라
不能繫縛此無依道人하야 雖是五蘊漏質이나 便是地行神通이니라
해석) “무릇 부처님의 육신통이란 그런 것이 아니다.
물질의 경계에 들어가지만 물질에 미혹 당함이 없고
소리의 경계에 들어가지만 소리에 미혹 당함이 없고,
냄새의 경계에 들어가지만 냄새에 미혹 당함이 없고
맛의 경계에 들어가지만 맛에 미혹 당함이 없고
감촉의 경계에 들어가지만 감촉에 미혹 당함이 없고
법의 경계에 들어가지만 법의 경계에 미혹 당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색·성·향·미·촉·법, 이 여섯 가지가
모두 텅 비어있음을 완전히 깨달았기에 어디에도 매이지 않는
무의도인을 결코 속박할 수 없다.
비록 오온으로 이뤄져 번뇌의 덩어리이면서도
땅을 걸어 다니는 그 자체로 신통인 것이다.”
강의) 임제 스님께서 밝힌 부처님의 신통은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오는 여섯 가지 경계인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에
전혀 미혹당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것이 육신통입니다.
부처님은 이들 경계들이 텅 비어 공함을 투철하게 깨달았기에
무의도인이 될 수 있었고 또한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육신통이 요술이나 마술을 부리는 그런 능력이 아닙니다.
부처님께서 이런 신통을 삿된 것으로 말씀하셨습니다.
다만 각종 경계에 한 치의 미혹됨이 없으면 그것으로 바로 깨달음입니다.
이렇게만 된다면 번뇌의 뿌리인 오온(五蘊)으로 이뤄진 그 몸,
그대로 부처가 되는 신통을 부릴 수 있는 것입니다.
道流야 眞佛은 無形이요 眞法은 無相이라
儞祇麽幻化上頭에 作模作樣하야 設求得者나 皆是野狐精魅요
幷不是眞佛이니 是外道見解니라 夫如眞學道人은 幷不取佛하며
不取菩薩羅漢하며 不取三界殊勝하고 逈然獨脫하야 不與物拘니라
乾坤이 倒覆하야도 我更不疑하며 十方諸佛이 現前하야도
無一念心喜하고 三塗地獄이 頓現하야도 無一念心怖하나니
緣何如此오 我見하니 諸法은 空相일새 變卽有하고 不變卽無니라
三界唯心이요 萬法唯識이니 所以로 夢幻空花를 何勞把捉가하니라
해석) “여러분! 참된 부처는 형상이 없고 진정한 법은 모양이 없다.
그대들은 다만 허깨비 같은 환영 위에 이런저런 모양을 짓고 있다.
설사 구해서 얻을 것이 있다하더라도 모두 여우 귀신들이며
결코 참된 부처가 아니며 이것은 외도의 견해인 것이다.
무릇 진실로 도를 배우는 사람이라면 부처도 취하지 않고
보살과 나한도 취하지 않고 삼계의 뛰어난 경계도 취하지 않는다.
그런 것들과 홀로 떨어져 어떤 사물에도 구애되지 않는다.
하늘과 땅이 뒤집힌다 할지라도 나는 더 이상 의심하지 않는다.
시방의 모든 부처님이 모습을 드러내도 한 생각 기쁜 마음이 없다.
삼악도의 지옥이 갑자기 나타나도 조금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어째서 그런가?
나는 보기에 일체의 법은 텅 비어 모습이 없으니
움직이고 있을 때는 있고 움직이지 않을 때는 없는 것이다.
삼계가 오직 마음일 뿐이고 만법이 오직 의식이 만들어낸 것 일 뿐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꿈같고 환상 같고 허공의 꽃 같은 것을 어째서 애써 붙잡으려 하겠는가.”
강의) 금강경 사구게에 약이색견아(若以色見我) 이음성구아(以音聲求我)
시인행사도(是人行邪道) 불능견여래(不能見如來)라는 말이 있습니다.
만약 모습으로 나를 보거나 음성으로 나를 구하면 이 사람은 사도를 행하는 것으로
능히 여래를 보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부처님은 모습 속에 있지 않고 생각 속에 있지 않고 소리 속에 있지 않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을 생각 속에서 모습을 짓고 소리로 부처님을 찾으려 합니다.
환상을 따라가면서 수행이라 여기고 있습니다.
텔레비전 속의 냉장고가 형상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그 냉장고는 실재하지 않습니다.
텔레비전을 끄고 나면 환영에 불과함을 알게 됩니다.
이렇게 일체가 텅 비어 있어 공합니다.
이 모든 것을 마음이 만들어낸 것임을 알게되면
부처님에게도 지옥에도 마음을 빼앗기기 않게 됩니다.
2012. 10. 23
출처 : 법보 신문
첫댓글
사라쌍수 (沙羅雙樹)
낙엽고목으로 콩과의 무우수(無優樹) 및 뽕나무과의 보리수와 함께 불교의 3대성목이다.
원산지인 인도에서는 살(sal), 그 한자명을 사라(沙羅)라고 하며,
석가가 구시나가라에서 열반에 들어갔을 때,
그 사방에 이 나무가 두 그루씩 심어져 있었다는 전설에서 사라 쌍수라고 한다.
‘32상 80종호’란 부처님을 형상화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부처님만이 지닌 독특한 용모 이른바 특상을 일러 말한다.
이러한 부처님 용모의 특징은 경전마다 조금씩 다르며
실제로 불상을 조성할 적에 이 특징이 다 표현되는 것도 아니다.
본래 이러한 특상관이라는 것은 인도의 베다 시대부터 있어온 관상에서 유래한다.
32상(相)
원래 왕중의 왕인 위대한 전륜성왕과 같은
대장부(mahapurusa )의 모습이었는데,
이는 부처도 세속의 전륜성왕처럼
법계의 왕과 같은 존재이므로
그러한 독특한 모습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경마다 조금씩 달리 표현되고 있지만 현격한 차이는 없으며,
대지도론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1 발바닥이 평평한 모습(足下平安立相)
2 발바닥에 2개의 바퀴가 있는 모습(足下二輪相)
3 손가락이 긴 모습(長指相)
4 발꿈치가 넓고 평평한 모습(足廣平相)
5 손발가락에 갈퀴가 있는모습(手足指網相)
6 손발이 유연한 모습(手足柔軟)
7 발등이 복스러운 모습(足跌高滿)
8 어깨가 사슴어깨와 같은 모습(伊泥膊相)
9 손이 무릎까지 내려간 모습(正立手摩膝相)
10 말의 성기처럼 성기가 감추어진 모습(陰藏相)
11 몸의 넓이와 길이가 같은 모습(身廣長等相)
12 터럭이 위로 향한 모습(毛生上向)
13 모든 구멍에 터럭이 있는 모습(一一孔一毛生)
14 몸이 금색으로 된 모습(金色相)
15 신체주위에 광채가 빛나는 모습(丈光相)
16 더러운 흙이 몸에 묻지 않은 모습(細薄皮相)
17 두 손, 두발, 두 어깨, 정수리가 둥글고 단정한 모습
(七處降滿相)
18 겨드랑이가 보기 좋은 모습(兩腋下降滿相)
19 상체가 사자같은 모습(上身如師子相)
20 똑바로 선 모습(大直身相)
21 어깨가 둥근 모습(肩圓好相)
22 40개의 이가 있는 모습(四十齒相)
23 이가 가지런한 모습(齒齊相)
24 어금니가 흰 모습(牙白相)
25 사자 같은 얼굴모습(師子顔相)
26 맛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모습(味中得上味相)
27 혀가 긴 모습(大舌相)
28 가장 아름다운 목소리(梵聲相)
29 연꽃같은 눈(眞靑眼相)
30 소 같은 눈시울을 가진 모습(牛眼腱相)
31 주먹같은 육계가 있는 모습(頂髮相)
32 이마 중간에 흰털이 있는 모습(白毛相)
80종호(相)
32상보다 더 구체적으로 모습을 세분한 것으로
수상(隨相), 소상(小相)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1 정수리가 보이지 않음(無見頂)
2 코가 높고 곧으며 김(鼻直高好孔不現)
3 눈썹이 초생달 같고 짙푸른 유리색임(眉如初生月紺琉璃色)
4 귓바퀴가 쳐짐(耳輪成)
5 몸이 견실함(身堅實如那羅延)
6 뼈끝이 갈고리 같음(骨際如銅銷)
7 몸을 한 번 돌리면 코끼리왕과 같음(身一時回如象王)
8 발걸음이 4촌임(行時足去地四寸而印文現)
9 손톱은 적동색이며 얇고 윤택함(瓜如赤銅色薄而潤澤)
10 무릎 뼈는 단단하고 원만함(膝骨堅箸圓好)
11 몸이 깨끗함(身淨潔)
12 몸이 유연함 (身柔軟)
13 몸이 곧음(身不曲)
14 손가락이 길고 섬세함(指長纖圓)
15 손금이 장엄함(指文莊嚴)
16 맥이 깊음(脈深)
17 복사뼈가 보이지 않음(不現)
18 몸이 윤택함(身潤澤)
19 스스로 몸을 지탱함(身自持不委陀)
20 몸이 갖추어져 있음(身滿足)
21 정신도 갖추어져 있음 (識滿足)
22 위의(威儀)도 구족함(容儀備足)
23 있는 곳이 평안함(住處生意和悅輿語)
24 위엄스러움(威震一切)
25 즐겁게 봄(一切樂觀)
26 얼굴 크기가 적당함(面不大長)
27 용모가 단정함(正容貌不효色)
28 얼굴이 구족함(面具足滿)
29 입술이 붉음(盾赤如보婆果色)
30 목소리가 깊음(音響深)
31 배꼽이 둥글고 깊음(臍深圓好)
32 터럭이 오른쪽으로 선회함(毛右회)
33 손발이 있음(手足滿)
34 손발을 마음대로 함(手足如意)
35 손금이 분명하고 곧음(手文明直)
36 손금이 김(手文長)
37 손금이 연속됨(手文不斷)
38 보면 즐거워짐(一切惡心衆生見者知悅)
39 넓고 둥근 얼굴(面廣姝)
40 달과 같은 얼굴(面淨滿如月)
41 중생의 뜻에 따라 기뻐함(隨衆生意和悅與語)
42 터럭구멍에서 향기가 남(毛孔出香氣)
43 입에서 향기가 남(口出無上香)
44 사자 같은 모습(儀容如師子)
45 나아가고 물러남이 코끼리같음(進止如象王)
46 행동이 거위 같음(行法如계王)
47 머리는 마타라 열매와 같음(頭如摩陀羅果)
48 음성이 구족함(一切聲分具足)
49 예리한 어금니(牙利)
50 붉은 혀(舌色赤)
51 얇은 혀(舌薄)
52 붉은 터럭(毛紅色)
53 깨끗한 터럭(毛潔淨)
54 넓고 긴 눈(廣長眼)
55 구멍이 구족함(孔門相具足)
56 손발이 붉고 휨(手足赤白如蓮華色)
57 배꼽이 나오지 않음(臍不出)
58 배가 나오지 않음(腹不現)
59 가는 배(細腹)
60 기울지 않은 신체(身不傾動)
61 신체가 묵중함(身持重)
62 신체가 큼직함(身分大)
63 신체가 장대함(身長)
64 손발이 정결함(手足淨潔軟澤)
65 신체 주위에 빛이 비침(邊光各一丈)
66 빛이 몸에 비침(光照身而行)
67 중생을 평등하게 봄(等視衆生)
68 중생을 가볍게 보지 않음(不輕衆生)
69 중생에 따라 소리를 냄(隨衆生音聲不過不感)
70 설법에 차이가 없음(說法不差)
71 중생에 맞는 설법을 함(隨衆生語言而爲說法)
72 중생의 언어로 대답함(一發音報衆聲)
73 차례로 인연에 따라 설법함(次第有因緣說法)
74 다 볼 수 없음(一切衆生不能盡觀)
75 보는 이가 싫증을 안 느낌(觀者無헌足)
76 긴 머리칼(髮長好)
77 머리카락이 고름(髮不亂)
78 머리카락을 잘 틀어 올림(髮시好)
79 푸른 구슬 같은 머리칼(髮色好如靑주相)
80 덕스러운 손발 모습(手足有德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