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92 |
조선 건국 |
1394 |
한양 천도 |
1398 |
정도전의 난 |
1403 |
주자소를 두고 동활자를 만들다. |
1419 |
대마도 정벌 |
1434 |
김종서의 육진 개척 |
1441 |
측우기 제작 |
1446 |
한글 창시 |
1470 |
경국대전 완성 |
1481 |
동국여지승람 |
1498 |
무오사화 |
1504 |
갑자사화 |
1506 |
중종반정 |
1510 |
삼포왜란 |
1519 |
기묘사화 |
1545 |
을묘사화 |
1555 |
을묘왜변 |
1592 |
임진왜란 |
1597 |
정유재란 |
1623 |
인조반정 |
1624 |
이괄의 난 |
1627 |
정묘호란 |
1636 |
병자호란 |
1811 |
홍경래의 난 |
1860 |
최제우, 동학을 세우다. |
1866 |
병인양요 |
1871 |
신미양요 |
1876 |
강화도 조약 |
1882 |
한미수호통상조약, 임오군란 |
1884 |
갑신정변 |
1885 |
거문도 사건 |
1894 |
동학농민운동 |
1895 |
을미사변 |
1896 |
아관파천 |
1897 |
국호를 대한으로 고침 |
1905 |
을사조약 |
1910 |
한일합병조약 |
1919 |
삼일운동 |
1930 |
광주학생운동 |
1945 |
해방 |
1393년 2월 국호를 조선으로 바꿈.
1394년 10월 한양천도(漢陽遷都)
1398년 8월 제1차 왕자의 난 일어남, 정도전, 남은 등 죽임을 당함
1398년 (태조 7)년 9월 태조, 방과(芳果)에게 왕위를 물려줌(定宗)
1400년 (정종 2)년 1월, 제2차 왕자의 난 발생
1400년 11월 정종, 방원(芳遠)에게 왕위를 물려줌(太宗)
1401년 (태종 1)년 7월 신문고(申聞鼓)설치
1406년 (태종 6)년 3월 선교양종이 사사(寺社) 242개만 남기고 나머지는 없앰.
사찰의 토지와 노비를 제한하고, 나머지는 몰수함.
1414년 (태종 14)년 경기좌우도를 경기도로 개편 : 전국 8도 체제가 완성됨.
1416년 (태종 16)년 8월 승려들에게 도첩을 지급함 : (度牒制)
1420년 (세종 2)년 3월 집현전(集賢殿)을 설치함
1425년 (세종 7)년 2월 처음으로 동전을 사용
1425년 4월 저화 사용을 금지하고 동전만 사용하도록 함
1429년 (세종11)년 정초(鄭招), 『농사직설(農事直說)』을 편찬함
1434년 (세종 16)년 6월 장영실(蔣渶實), 자격루(自擊漏 : 물시계. 시간이 되면 종을 침)를 만듦.
이 해, 동북면에 6진(六鎭) 설치
1443년 (세종 25)년 2월 계해조약(癸亥條約)체결 : 통신사(通信使)가 쓰시마 도주와 세견선(歲遣船)
50척으로 정함.
1443년 12월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1445년 (세종 27)년 4월 정인지(鄭麟趾), 권제(權踶) 등,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10권을 편찬하여 올림.
1446년 (세종 28)년 9월 훈민정음 반포
1447년 (세종 29)년 7월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완성.
이해 안견(安堅)이 「몽유도원도」 그림.
1452년 (문종 2)년 2월 김종서 등 『고려사절요』 편찬 : 연대순으로 정리한 고려 역사책.
5월 단종(端宗) 즉위.
1455년 (단종 3)년 윤6월 단종, 수양대군(世祖)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上王)이 됨.
1456년 (세조 2)년 6월 성삼문, 박팽년 등이 상왕의 복위를 도모하다 처형됨(死六臣).
1457년 (세조 3)년 6월, 단종을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하여 영월에 유배,
10월 영월에서 노산군(단종)사망.
1463년 (세조 9)년 11월 홍문관(弘文館) 설치.
1467년 (세조 13)년 5월 이시애의 난(李施愛亂) 발생.
1468년 (세조 14)년 10월 남이(南怡), 반역죄로 처형됨.
1470년 (성종 1)년 11월 『경국대전(經國大典)』 교정(校訂) 완성됨.
1478년 (성종 9)년 12월 서거정(徐居正), 『동문선(東文選)』을 편찬함.
1482년 (성종 13)년 8월 폐비 윤씨(廢妃 尹氏)에게 사약을 내림.
1498년 (연산군 4)년 7월 무오사화(戊午士禍) 발생, 10월 김종직(金宗直)의 문집을 모아 불태움.
1504년 (연산군 10)년 10월 갑자사화(甲子士禍) 발생.
1506년 (연산군 12)년 9월 중종 반정 : 박원종(朴元宗) 등, 왕을 폐하고(晋城大君)을
왕으로 옹립(中宗). 폐왕을 연산군(燕山君)에 봉함.
1510년 (중종 5)년 4월 삼포왜란(三浦倭亂) 발생.
1512년 (중종 7)년 8월 임신조약(壬申條約) 체결.
1517년 (중종 12)년 6월 축성사(築城司)를 비변사(備邊司)로 개칭.
1517년 12월 기묘사화(己卯士禍) 발생
1519년 (중종 14)년 4월 조광조의 건의에 따라 현량과(賢良科) 실시.
1522년 (중종 17)년 12월 소격서(昭格署)를 설치 : 도교 의식에 따라 하늘에 제사지내는 기관
조광조 등이 소격서는 이단이며,
하늘에 지내는 제사는 천자만 할 수 있다고 주장하여 1518년 폐지.
이때 부활되었다가 선조대에 다시 폐지됨.
1530년 (중종 25)년 8월 이행(李荇),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편찬 :
조선 전기 지리지의 완성본. 백과 사전식으로 지방의 정치,경제,역사,행정,
사회,민속,인물 등을 기록했고, 각 도의 지도도 수록함.
1539년 (중종 34)년 4월 영조문(迎詔門)을 영은문(迎恩門)으로 개칭 :
명나라 사신이 머무는 모화관(慕華館) 앞의 문 이름을 명나라가
영은문으로 바꿀 것을 요구.
1896년 사대의 상징이라 하여 영은문을 헐고 그 자리에 독립문을 세움.
1543년 (중종 38)년.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이 백운동 서원 건립 : 서원(書院)의 시초.
1545년 (인종 1)년 8월 을사사화(乙巳士禍) 발생.
1547년 (명종 2)년 2월 정미약조(丁未約條) 체결.
1550년 (명조 5)년 2월 풍기군수 이황의 요청에 따라 백운동 서원에
소수서원(紹修書院)의 편액이 하사됨
1555년 (명종 10)년 5월 을묘왜변(乙卯倭變) 일어남.
1559년 (명종 14)년 3월 임꺽정의 난(林巨正亂) 발생.
1572년 (선조 5)년 이이와 성흔(成渾) 사이에 사단 칠정(四端七情)에 관한 서신 왕래가 시작됨(-1578)
1575년 (선조 8)년 7월 동서분당(東西分黨).
1580년 (선조 13)년 정철(鄭澈), 「관동별곡(關東別曲)」을 지음.
1589년 (선조 22)년 10월 정여립 모반 사건(鄭汝立謀反事件) 발생.
1590년 (선조 23)년 3월 황윤길(黃允吉), 김성일(金誠一)을 일본에 통신사로 파견.
이 무렵, 동인이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으로 나뉨.
1592년 (선조 25)년 4.13일 임진왜란 발발
1592년 4.30일 선조, 한성을 떠나 피난길에 오름.
1592년 5.29일 사천 해전에서 거북선을 처음으로 사용.
1592년 7월 말 곽재우(郭再祐)가 경상도 의령, 현풍, 영산 등지에서 왜군 격파.
1592년 8월 금산 전투에서 조헌과 영규의 의병 전산(七百義塚).
1592년 10월 진주대첩(晉州大捷).
1592년 6월 일본군, 진주성 공격, 논개(論介) 사망.
1593년 (선조 26)년 2월 행주대첩(幸州大捷) : 함경,평안도의 일본군, 한성으로 퇴각.
1594년 (선조 27)년 2월 훈련도감(訓練都監) 설치.
1597년 (선조 30)년 1월 정유재란(丁酉再亂) 발발.
1598년 (선조 31)년 11월 노량 해전 : 이순신 함대, 일본 수군을 대파시킴. 이순신(李舜臣) 전사.
1605년 (선조 38)년 4월 유정(惟政), 일본에서 포로 3000여 명을 데리고 돌아옴.
1607년 (선조 40)년 이 해 허균(許筠)이 『홍길동전』을 지음.
1608년 (선조 41)년 2월 광해군(光海君) 즉위. 이 해 경기도에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함.
1610년 (광해군 2)년 8월 허준(許浚), 『동의보감(東醫寶鑑)』을 완성함.
1618년 (광해군 10)년 1월 인목대비의 호를 삭탈하고 서궁(西宮)이라 칭함.
1619년 (광해군 11)년 3월 명에 보낸 원군 패배, 도원수 강홍립(姜弘立)은 금에 항복.
1623년 (광해군 15)년 3월 인조 반정 발생 :
이귀(李貴)를 비롯한 서인이 광해군(光海君)을 쫓아내고 인조(仁祖)를 추대함.
1626년 12월 병자호란(丙子胡亂) 발발.
1627년 (인조 5)년 1월 정묘호란(丁卯胡亂) 일어남.
1636년 (인조 14)년 2월 후금이 보낸 국서를 받지 않고 거절함.
1652년 (효종 5)년 이 해, 효종의 북벌정책(北伐政策)이 본격적으로 추진됨.
1653년 (효종 4)년 8월 네덜란드인 하멜(Hamel, H) 일행의 제주도 표착이 보고됨 :
1666년 탈출하여 『하멜표류기』를 씀.
1654년 (효종 5)년 3월 제1차 나선정벌(羅禪征伐).
1659년 (효종 10)년 5월 제1차 예송논쟁(禮訟論爭).
1674년 (현종 15)년 2월 제2차 예송논쟁(禮訟論爭).
1680년 (숙종 6)년 4월 경신환국(庚申換局) : 남인이 쫓겨나고 서인이 정권을 장악.
1683년 (숙종 9)년 4월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나뉨.
1689년 (숙종 15)년 2월 기사환국(己巳換局) : 세자책봉문제로 노론 실각, 남인 집권.
1689년 6월 송시열(宋時烈), 사약을 받음.
1693년 (숙종 19)년 이 해 안용복(安龍福)이 독도에서 일본인을 쫓아 내고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일본에 확인시킴.
1694년 (숙종 20)년 3월 갑술옥사(甲戌獄事) : 노론이 정권을 잡고 남인은 몰락함.
1701년 (숙종 27)년 10월 장희빈(張禧嬪), 사약을 받음.
1712년 (숙종 38)년 5월 백두산 정계비(白頭山定界碑)를 세움.
1725년 (영조 1)년 1월 탕평책 실시
1728년 (영조 4)년 3월 이인좌의 난(李麟佐亂) 발생.
1741년 (영조 17)년 9월 난전(亂廛)을 엄히 금지함.
1750년 (영조 26)년 7월 균역법(均役法) 실시함.
1760년 (영조 36)년 6월 『일성록(日省錄)』 기록 시작(-1910) : 국왕의 언행과 정사를 기록한 책.
세손인 정조가 일기를 쓰면서 시작. 정조 즉위후 정부의 공식문서로 기록됨.
1762년 (영조 38)년 윤5월 사도세자(思悼世子), 뒤주 속에 갇혀 죽음.
1770년 (영조 46)년 8월 『동국문헌비고』 완성 : 정치, 경제, 문화 등
각종 제도와 문물을 분류하여 설명한 책.
1776년 (영조 52)년 3월 정조(正祖)즉위.
1776년 7월 홍국영(洪國禜), 도승지로서 세도를 부림.
1776년 9월 규장각(奎章閣) 설치.
1783년 (정조 7)년. 이 무렵. 박지원(朴趾源)이 『열하일기(熱河日記)』를 지음.
1790년 (정조 14)년. 안정복(安鼎福), 『동사강목(東史綱目)』을 지음
1791년 (정조 15)년 2월, 신해통공(辛亥通共) : 금난전권을 폐지함.
1797년 (정조 21)년 이긍익(李肯翊,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편찬 :
조선태조부터 숙종대까지의 야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역사책.
1801년 (순조 1)년 9월 황사영 백서 사건(黃嗣永 帛書 事件) 일어남.
1805년 (순조 5)년 안동 김씨의 세도 정치(勢道政治) 시작.
1811년 (순조 12)년 12월 평안도 농민전쟁(平安道 農民戰爭) 일어남.
1814년 (순조 13)년 제주도에서 민란 일어남.
1817년 (순조 17)년 김정희,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밝힘.
1831년 (순조 31)년 9월 로마 교황청이 천주교 조선 교구를 설치함.
1840년 (헌종 6)년 12월 왕대비, 수렴청정을 거둠. 풍양 조씨의 세도정치가 시작됨.
1846년 (헌종 12)년 7월 김대건(金大建), 순교함.
1848년 (헌종 14)년 이양선(異樣船)이 경상, 전라, 황해, 강원, 함경 등지에 계속 나타남.
1861년 (철종 12)년 김정호(金正浩),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를 간행함.
1862년 (철종 13)년 2월 진주 민란 일어남.
1863년 (철종 14)년 11월 동학교주 최제우(崔濟愚) 체포됨.
1863년 12월 고종(高宗)즉위 :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이 정권을 장악.
1864년 (고종 1)년 3월 동학교주 최제우(崔濟愚), 대구에서 사형당함.
1864년 4월 서원, 향현사(鄕賢祠) 등에 토지와 재산을 보고하도록 명령 :
대원군의 서원 철폐 정책 시작.
1865년 (고종 2)년 4월 경복궁 중건(景福宮重建)을 지시.
1866년 (고종 3)년 1월 병인박해 시작(-3월) : 남종삼(南鐘三) 등 천주교 신자 몇천명과 프랑스인
베르뉘를 비롯한 9명의 선교사를 처형하고 천주교 서적과 판목(版木)을 불태움.
1866년 3월 민치록(憫致祿)의 딸을 왕비로 정함(憫妃).
1866년 7월 제너럴 셔먼호 사건(General Sherman) 발생.
1866년 9월 병인양요(丙寅洋擾) 발생.
1866년 7월 고종, 경복궁으로 옮김.
1868년 (고종 5)년 4월 남연군묘(南延君墓) 도굴 사건 발생.
1871년 (고종 8)년 신미양요(辛未洋擾) 발생.
1873년 (고종 10)년 최익현, 대원군을 탄핵한 뒤 제주도에 유배됨.
고종, 친정(親政)을 선포. 민씨 일파의 세도 정치 시작됨.
1875년 (고종 12)년 운요호사건 발생.
1876년 (고종 13)년 1.17-19 강화에서 조일 수호 회담 열림.
1876년 4. 4 일본에 수신사(修信使) 파견 :
김기수를 단장으로 76명이 일본의 관청과 공장을 비롯한 문물을 시찰.
1879년 (고종 16)년 12월, 지석영(池錫永)이 충주 덕산에서 처음으로 40여명에게 종두법 실시.
1880년 (고종 17)년 8.28 김홍집(金弘集) 청의 황준헌이 저술한
『사의조선책략(私擬朝鮮策略)』을 왕에게 바침.
이 해 최시형의 『동경대전(東經大全)』이 간행됨.
1881년 (고종 18)년 4.10 신사유람담(紳士遊覽團) 파견.
1881년 6월 최시형 『용담유사(龍潭遺詞)』간행.
1882년 (고종 19)년 4.6 조.미 수호통상조약 조언.
1882년 6.9 임오군란(壬午軍亂) 발생.
1882년 7.17 제물포조약(濟物浦條約) 체결됨.
1882년 8.1 민비 환궁.
1882년 8월 박영효가 일본으로 가는 배 안에서 태극기 고안(1883.1.27, 국기로 공식인정)
1882년 10월 조.중 상민수륙무역장정(朝中商民水陸貿易章程) 조인.
1882년 12.5 독일인으로 텐진 주재 독일 영사를 지낸 묄렌도르프(Mollendorff. P.G.von)를 외교
및 재정 고문으로 초빙.
1883년 (고종 20)년 10.1 박문국, 한성순보(漢城旬報) 발간.
1884년 (고종 21)년 10.7 갑신정변(甲申政變) 발발.
1884년 10.24 김옥균을 비롯한 갑신정변 주모자들이 일본으로 망명.
1885년 (고종 22)년 2.19 미국 선교 의사 알렌(Alen. H.N.)세브란스 병원의 전신인 광혜원(廣惠院)설립.
1885년 3.1 거문도 사건(巨文島事件) 발발.
1885년 8.3 미국인 선교사 아펜젤러(Appenxeller, H.G)가
최초의 근대식 중고등 교육 기관인 배재학당 설립.
1886년 (고종 23)년 4.28 이화학당(梨花學堂) 설립.
1889년 (고종 26)년 9.14 함경도 감사 조병식(趙秉式)이 함경도에 방곡령(防穀令) 실시.
1892년 (고종 29)년 11.1 동학교도 삼례 집회(參禮集會)를 개최.
1893년 (고종 30)년 3.11 동학교도 보은 집회(報恩集會)를 개최.
1894년 (고종 31)년 1.10 갑오농민전쟁(甲午農民戰爭) 발발. 고부관아 점령.
1894년 3.21 농민군, 고부 백산에서 봉기.
1894년 4.6-7 농민군, 황토현에서 관군과 보부상의 연합부대를 물리침.
1894년 6.8-9 일본측, 조선에 내정 개혁 강요.
1894년 6.25 갑오개혁(甲午改革) 시작.
1894년 6-7월 농민군 집강소(執綱所)를 설치하고 폐정 개혁안(廢政改革案)을 실시.
1894년 9.13 농민군 2차 봉기(農民軍二次蜂起).
1894년 11.28 전봉준(全琫準), 전라도 순창에서 체포됨.
1895년 (고종 32)년 4.1 유길준(兪吉濬), 『서유견문록(西遊見聞)』간행.
1895년 8.20 을미사변(乙未事變) : 명성황후(明星皇后) 죽음.
1895년 11.15 단발령(斷髮令)을 내림.
1896년 (고종 33)년 1월 각지에서 을미의병(乙未義兵) 봉기.
1896년 2.11 아관파천(俄館播遷) 발생.
1896년 4.7 독립신문(獨立新聞) 창간 : 발행인 서재필(徐載弼).
1897년 (고종 34)년 8.14 연호 광무(光武)로 고침.
1897년 10.11 국호를 대한제국(大韓帝國)으로 결정.
1897년 12.24 손병희 동학 3대 교주가 됨.
1898년 (고종 35)년 2.22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죽음
1898년 3.10 독립협회, 서울 종로에서 대중정치 집회인 만민 공동회 개최 :
열강의 이권침탈 철회를 주장.
1898년 4.9 배재 학당 협성회가 최초의 일간 신문인 <매일신문> 창간.
1898년 5.29 서울 종현(鐘峴) 성당(현재의 명동 성당)준공.
1898년 9.5 장지연, 남구억이 <황성신문>을 발행.
1898년 10.29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개최 : ‘헌의 6조(獻議六條)’를 올림.
1898년 11.4 정부, 독립협회의 해산과 주요 인물 검거를 명령함.
1898년 12.25 정부, 군대를 동원하여 만민 공동회(萬民共同會)를 해산.
1899년 (고종 36)년 12.4 <독립신문> 폐간.
1901년 (고종 38)년 5.28 제주도 대정군에서 이재수의 난(李在守亂) 발생.
1901년 8월 국가(國歌) 재정 : 독일인 에케르트 작곡.
1901년 11.16 목포 부두 노동자 동맹 파업.
1903년 (고종 40)년 5.25 용암포 사건(龍巖浦事件) 발생.
1904년 (고종 41)년 2.23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체결.
1904년 9월 송병준의 일진회와 이용구의 진보회가 일진회(一進會)로 통합됨.
1905년 (고종 42)년 7.29 가쓰라.태프트 밀약 성립.
1905년 8.12 제2차 영일동맹
1905년 9.5 포츠머드 강화 조약
1905년 11.17 을사조약(乙巳條約) 체결.
1905년 11.20 장지연이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 발표.
1905년 11.30 시종무관장 민영환, 을사조약에 반대하여 자결.
1906년 (고종 43)년 2.1 일제에 의한 통감부(統監府) 설치.
1906년 7.22 이인직(李人稙), 신소설 『혈의 누』를 만세보에 연재하기 시작 :
최초의 신소설. 일본 작품을 표절했다는 의혹을 받음.
1907년 (고종 44)년 1.29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 시작됨.
1907년 4월 고종, 헤이그 밀사 파견.
1907년 7.16 이완용, 송병준이 헤이그 밀사 파견을 이유로 고종에게 퇴위를 강요.
1907년 7.20 순종(純宗) 즉위.
1907년 7.24 한일 신협약(韓日新協約) : 정미7조약 체결
1907년 8월 전국 각지에서 항일의병봉기 : 정미의병(丁未義兵).
1907년 11.29 신민회(新民會) 설립.
1907년 12.6 13도 창의군(十三道倡義軍) 결성.
1908년 (고종 45)년 3.23 전명운, 장인환 스트븐스 저격.
1908년 11.1 최남선, 최초의 월간 종합지 『소년』 창간 : 최초의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 발표.
1908년 12.28 동양척식주식회사 설립.
1909년 (고종 46)년 10.26 안중근(安重根) 이토 히로부미 사살.
1910년 (고종 47)년 4.15. 주시경(周時經) 『국어문법』간행.
1910년 4월 이시영, 이동녕, 양기탁이 서간도 요령성 삼원보에 독립 운동을 위한 자치 기관인
경학사(耕學社)와 군사교육기관 신흥강습소 설치.
1910년 8.29 한일 합병조약 공포됨. 총리대신 이완용이 통감 테라우치 마사타케와 한국 통치권을
일본 왕에게 양도하는 문서에 서명함.
1910년 9.10 황현(黃玹) 자결함.
1910년 9.1 <황성신문>, <대한민보> 폐간됨. : <대한매일신보>는 <매일신보>로 고쳐
총독부 기관지로 삼음.
1392년(태조 1년, 壬申)
2월 정몽주가 신률(新律)을 올림.
4월 정몽주(鄭夢周, 1337-1392)를 격살함.
7월 16일 개경(開京) 수창궁(壽昌宮)에서 국왕으로 즉위하여 왕조 창건.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에 홍영통(洪永通), 좌시중(左侍中)에 배극렴(裵克廉),
우시중(右侍中)에 조준(趙浚)을 임명함.
7월 고려 공양왕(恭讓王)을 광주(廣州)로 추방하고,
8월에 공양군(恭讓君)으로 봉하여 강원도 간성군(杆城郡)으로 옮김.
8월 한양(漢陽) 천도를 결정했다 중지함.
8월 계자(季子) 방석(芳碩, 강비소생)을 세자로 삼음.
8월 개국공신(開國功臣)을 정함.
이숭인(李崇仁, 1349-1392) 죽음.
1393년(태조 2, 癸酉)
2월 공주(公州) 계룡산(鷄龍山)으로 천도를 결정하고 공사를 시작.
2월 국호를 조선(朝鮮)이라 정함.
2월 삼군총제부(三軍摠制府)를 폐지하고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를 설치함.
11월 각 도(道)의 계수관(界首官)을 정함.
12월 계룡산의 수도 건설을 중지함.
1394년(태조 3, 甲戌)
4월 공양군 부자(父子)와 왕씨(王氏)를 모두 살해함.
5월 정도전(鄭道傳)이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을 편찬하여 올림.
5월 시중(侍中)을 정승(政丞)으로 개칭.
8월 도읍지를 한양(漢陽)으로 정함.
9월 신도궁궐조성도감(新都宮闕造成都監)을 설치함.
11월 한양(漢陽)으로 천도. * 정도전, 신도가(新都歌)를 지음.
1395년(태조 4, 乙亥)
1월 정도전 등이 고려사(高麗史) 37권을 편찬.
6월 한양부(漢陽府)를 한성부(漢城府)로 개칭함.
6월 정도전이 경제문감(經濟文鑑)을 편찬.
7월 각 주부군현(州府郡縣)에 권농관(勸農官)을 둠.
9월 종묘(宗廟)와 경복궁(景福宮) 완공.
윤9월 도성조축도감(都城造築都監)을 설치.
10월 새로운 궁궐로 경복궁(景福宮)으로 함.
10월 천문도(天文圖)인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가 작성됨.
12월 과거식(科擧式)을 정함.
12월 노비변정도감(奴婢辨定都監)을 설치.
1396년(태조 5, 丙子)
1월 서울의 도성(都城) 공사를 시작하여 9월에 완성.
4월 한성부의 5부(五部) 방(坊) 이름을 정해 표(標)를 세움.
7월 권근(權近) 등이 명에 압송됨.
8월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妃) 죽음.
12월 김사형(金士衡) 등이 왜구 근거지인 일기(壹崎), 대마도(對馬島)를 정벌.
숭례문(崇禮門, 남대문) 건립을 시작함.
목은 이색(牧隱 李穡, 1328-1396) 죽음.
1397년(태조 6, 丁丑)
3월 문묘(文廟) 준공됨.
4월 왜구(倭寇) 나가온(羅可溫)이 병선 24척을 이끌고 투항.
4월 흥인문(興仁門, 동대문) 완공.
5월 각도병마도절제사(各道兵馬都節制使)를 폐지하고 각진첨절제사(各鎭僉節制使)를 둠.
8월 유구국(琉球國)에서 사신을 보내옴.
9월 흥천사(興天寺, 황화방 북쪽, 지금의 서울 정동)가 건립됨.
12월 정도전을 동북면(東北面) 도선무순찰사(都宣撫巡察使)로 파견.
12월 경제육전(經濟六典)을 간행함.
1398년(태조 7년, 戊寅)
1월 각품(各品)의 녹과전수(祿科田數)를 정함.
2월 정도전이 동북면(東北面, 함경도)의 주군현(州郡縣)의 이름을 정함.
3월 제주도에 축마별감(畜馬別監)을 설치.
윤5월 수군(水軍)의 관직을 정함.
7월 전국적인 양전(量田)을 실시함.
8월 제1차 왕자의 난. 정도전, 세자 방석 등 피살.
9월 5일 태조는 방과(芳果 : 定宗)에게 선위한 뒤 상왕(上王)으로 물러남.
강화(江華) 선원사(禪源寺)에 있던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을 해인사(海印寺)로 옮김.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正知國師碑) 세움.
문익점(文益點, 1329-1398) 죽음.
1399년(정종 1, 己卯)
1월 명의 연호 건원(建元)을 사용함.
3월 노비변정도감을 폐지.
3월 개경(開京)으로 환도.
5월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 편찬.
김사형이 명에서 세계지도인 역대제왕혼일강리도(歷代帝王混一疆理圖) 등을 가져옴.
1400년(정종 2, 庚辰)
1월 제2차 왕자의 난. 방간(芳幹)을 유배 보냄.
2월 정안군(靖安君) 방원(芳遠)을 왕세제(王世弟)로 삼음.
4월 사병(私兵)을 혁파함.
관제를 개혁하여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를 폐지하고 의정부(議政府)를 설치.
중추원(中樞院)을 삼군부(三軍府)로 고침.
승정원(承政院)에서 왕명출납 기능을 담당케 함.
6월 노비변정도감을 다시 설치함.
11월 13일 정종은 정안군 방원에게 전위.
* 길재(吉再)가 선산(善山)에 은거하여 학자 양성. 사학파(私學派).
1401(태종 1, 辛巳)
1월 노비변정도감을 폐지.
3월 사헌부(司憲府)에서 숭불(崇佛)의 폐해를 논함.
3월 관제를 개혁함.서정(庶政)을 총괄하던 문하부(門下府)를 의정부에 합하고, 문하부의 간쟁 기능을 사간원(司諫院)으로 독립함.
3월 의흥삼군부를 승추부(承樞府)로 고침.
7월 신문고(申聞鼓)를 설치함.
1402년(태종 2, 壬午)
1월 무과(武科)의 법을 처음으로 제정함.
4월 사사(寺社)의 토지와 노비를 몰수함.
6월 하륜(河崙) 등에게 편년삼국사(編年三國史)의 편찬을 명함.
7월 관리의 고적출척법(考績黜陟法)을 제정함.
8월 호패(號牌)를 발급함.
9월 저화(楮貨)와 오승포(五升布)를 겸용케 함.
11월 안변부사 조사의(趙思義)의 반란. 12월 처형.
1403년(태종 3, 癸未)
2월 주자소(鑄字所)를 설치하여 활자 계미자(癸未字)를 만듦.
6월 경상도 조세(租稅)를 육운(陸運)하게 함.
8월 하륜 등이 삼국사략(三國史略, 東國史略)을 편찬.
1404년(태종 4, 甲申)
6월 노비를 사사로이 주고받음을 금함.
1405년(태종 5, 乙酉)
3월 육조(六曹)의 직제를 정비하고, 의정부의 서무(庶務)를 육조에 귀속시킴.
9월 충청, 경상, 전라의 하삼도(下三道)를 양전(量田)함.
10월 다시 한양으로 천도.
10월 이궁(離宮)인 창덕궁(昌德宮) 완공.
권근의 예기천견록(禮記淺見錄) 간행.
조준(趙浚, 1346-1405). 자초 무학(自超 無學, 1327-1405) 죽음.
1406년(태종 6, 丙戌)
3월 선종(禪宗)과 교종(敎宗)의 사찰을 정하고 토지와 노비수를 제한함.
5월 경성(鏡城), 경원(慶源)에 무역소(貿易所)를 설치함.
6월 각 향교(鄕校)의 생도(生徒) 및 토지의 액수를 정함.
1407년(태종 7, 丁亥)
1월 백관(百官)의 녹과(祿科)를 다시 정함.
2월 문묘(文廟)를 새로 지음.
7월 왜인(倭人)과의 무역을 정함.
8월 속육전수찬소((續六典修撰所)를 설치함.
대마도에 사신을 보내 곡식을 내림.
1408년(태종 8, 戊子)
1월 제주에 감목관(監牧官)을 둠.
5월 태조 승하함.
8월 공노비(公奴婢)의 신공(身貢)을 정함.
11월 명(明)의 사신 황엄(黃儼)이 진상(進上) 처녀를 데리고 감.
1409년(태종 9, 己丑)
1월 의약활인법(醫藥活人法)을 정함.
8월 하륜 등에게 태조실록(太祖實錄)을 편찬하게 함.
10월 11도에 도절제사(都節制使)를 둠.
양촌 권근(陽村 權近, 1352-1409) 죽음.
1410년(태종 10, 庚寅)
2월 여진족이 경원에 침입.
2월 주자소에서 서적을 간행 판매하게 함.
4월 경원부(慶源府)를 경성(鏡城)으로 옮김(-1417년).
7월 저화(楮貨) 통행의 법을 다시 시행.
8월 의례상정소(儀禮詳定所)를 설치함.
* 해인사(海印寺)에 팔만대장경 간행을 명함.
1411년(태종 11, 辛卯)
3월 원단(圓壇)의 제의(祭儀)를 정함.
3월 경원진(慶源鎭)을 폐지함.
6월 서울에 남부학당(南部學堂)을 설치.
9월 종묘(宗廟)의 제의(祭儀)를 정함.
11월 조운(漕運) : 충주 금천창(金遷倉)이 이룩됨.
윤12월 개거도감(開渠都監)을 설치하여
다음해 2월 한성의 개천(開川) 공사를 완료.
1412년(태종 12, 壬辰)
2월 혜정교(惠政橋)부터 창덕궁까지 800여칸의 시전(市廛)을 개설.
4월 경복궁의 경회루(慶會樓) 완공.
5월 종친(宗親)의 반서(班序와) 반록(頒祿)의 제도를 정함.
6월 단군(檀君)과 기자(箕子)를 사전(祀典)에 올림.
7월 의흥부를 폐지하고 병조(兵曹)에서 군정(軍政)을 관장케 함.
7월 주자소에서 십칠사(十七史)를 간행함.
8월 고려의 역대 사적 신비집(神秘集)을 불태움.
10월 광화문(光化門)에 종(鐘)을 만들어 걸음.
11월 조운법(漕運法)을 시행함.
1413년(태종 13, 癸巳)
1월 동서 양계(兩界)를 양전(量田)함.
1월 과거(科擧)의 좌주문생제(座主門生制)를 폐지함.
1월 창덕궁 돈화문(敦化門)의 대종(大鐘)이 완성.
2월 경제육전을 인쇄 반행(頒行)함.
3월 태조실록(太祖實錄) 15권 완성.
3월 해인사의 팔만대장경을 간행.
4월 제사(諸祀)의 제도를 정함.
4월 외방 각관의 노비 수를 정함.
7월 수군(水軍)의 만호(萬戶) 천호(千戶)의 칭호를 정함.
9월 호패법(號牌法)을 정해, 12월에 처음으로 호패(號牌)를 차게 함.
10월 동북면을 영길도(永吉道), 서북면을 평안도(平安道)로 개칭함.
* 해인사에서 대장경을 찍어냄.
1414년(태종 14, 甲午)
1월 경기좌우도(京畿左右道)를 경기도(京畿道)로 함.
1월 돈령부(敦寧府)를 설치함.
3월 무과(武科)도 문과와 같이 삼장통고법(三場通考法)을 사용케 함.
4월 노비변정도감을 둠. 10월에 폐지.
4월 육조 기능의 강화 : 의정부의 서사(庶事)를 육조(六曹)에 귀속함.
5월 노비사목(奴婢事目)을 정함.
7월 성균관(成均館)의 명륜당(明倫堂)에서 처음으로 백일장(白日場) 실시.
8월 하륜 등에게 고려사(高麗史)를 개수하게 함.
10월 호패를 바꿈.
1415년(태종 15, 乙未)
4월 공장(工匠)과 상고(商賈)의 수세법(收稅法)을 정함.
5월 제주에 왜구 침입.
7월 조지소(造紙所)를 설치함.
8월 김제 벽골제(碧骨堤)를 중수함.
10월 맥전(麥田)의 세법(稅法)을 정함.
10월 이전 천전(吏典 遷轉)의 법을 정함.
12월 각 역(驛)의 거리를 계산하여 이정표(里程標)를 세우게 함.
12월 혁파된 사사(寺社)의 노비를 사재감(司宰監)에 소속시킴.
12월 길주(吉州), 영흥(永興)의 2성이 완성됨.
* 대명분류률(大明分類律)이 간행됨.
1416년(태종 16, 丙申)
1월 조관의 관복제(冠服制)를 정함. 외방 주군리(州郡吏)의 관복(冠服)을 개정함.
6월 호패제와 검교직(檢校職)을 폐지.
7월 자성(慈城) 하장동(下長洞)에 여연군(閭延郡)을 설치. 서북 사군(西北 四郡) 설치의 시작.
8월 도첩제(度牒制) 실시.
9월 영길도를 함길도(咸吉道)로 고침.
* 하륜의 동국략운(東國略韻) 간행.
* 하륜(河崙, 1347-1416) 죽음.
1417년(태종 17, 丁酉)
1월 각 도에 잠소(蠶所)를 설치함.
5월 금은(金銀)을 왜인에게 판매하는 것을 금하고 은 채굴을 장려함.
7월 과전의 1/3을 하삼도(下三道. 경상, 충청, 전라도)로 옮겨 지급함.
8월 군기감(軍器監)에 화약감조방(火藥監造方)을 설치함.
8월 경성의 경원부를 부가참(富家站, 富寧)으로 옮김(-1434년)
11월 참서(讖書)를 금지함.
11월 풍해도(豊海道)를 황해도(黃海道)로 고침.
12월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 간행.
* 경주에서 이승휴(李承休)의 제왕운기(帝王韻記)를 간행.
1418년(태종 18, 戊戌)
1월 종친(宗親)이하의 예장(禮葬)에 석실(石室)을 금지하고 회격(灰隔)을 쓰게 함.
1월 처음으로 백관(百官)이 사모(紗帽)를 씀.
6월 세자 양령대군(讓寧大君)을 폐하고 충령대군(忠寧大君)을 세자로 함.
8월 태종이 충령대군(세종)에게 선위.
9월 창덕궁 인정전(仁政殿)이 완공.
11월 중수태조실록(重修太祖實錄) 완성.
1419년(세종 1, 己亥)
5월 봉화령(烽火令)을 정함.
5월 왜구 50척 충청도 비인(庇仁)에 침입 격퇴함.
6월 삼군도체찰사(三軍都體察使) 이종무(李宗茂)가 대마도를 정벌.
9월 변계량(卞季良) 등에게 고려사(高麗史)의 개수를 명함.
9월 제주에 양전(量田)을 시행함.
11월 사사(寺社)의 노비를 폐지함.
* 길재(冶隱 吉再, 1353-1419) 죽음.
1420년(세종 2, 庚子)
윤1월 향리(鄕吏) 면역(免役)의 법을 정함.
윤1월 대마도를 경상도에 편입할 것을 대마도주에게 통고.
3월 집현전(集賢殿)을 설치함.
8월 함길도에서 금을 채굴함.
11월 활자 경자자(庚子字)를 제조.
* 이무렵 평안도에 수전(水田) 경작이 보급됨.
1421년(세종 3, 辛丑)
1월 유관(柳觀), 변계량 등이 수교고려사(수校高麗史)를 올림.
1월 일본 사신의 내왕로를 지정함.
3월 주자소(鑄字所)에서 인쇄법(印刷法)을 개량함.
5월 삼군(三軍)을 오위법(五衛法)으로 고치고, 8월에 모든 군사를 오위에 예속시킴.
10월 원자(元子) 향(珦)을 세자로 책봉함. 서연(書筵)을 개설함.
12월 사죄삼복계(死罪三覆啓)의 법을 엄수케함.
1422년(세종 4, 壬寅)
1월 도성(都城) 수축을 시작하여 2월에 마침.
2월 성문도감(城門都監)을 설치함.
8월 육전수찬색(六典修撰色)을 설치함.
9월 여진족이 경원부 등지에 침입.
10월 주자(鑄字)를 다시 함.
11월 태종 승하함.
1423년(세종 5, 癸卯)
2월 남산에 봉화대(烽火臺)를 쌓음.
4월 명에서 말(馬) 1만필을 요구함.
7월 일본 사신이 토산물을 바치고 대장경을 구해감.
7월 함길도에 행상(行商)을 금함.
8월 주자소에서 통감속편(通鑑續編)을 간행함.
9월 화폐 조선통보(朝鮮通寶)를 주조함.
10월 사사(寺社)를 새로 건립하는 것을 엄금함.
10월 재인(才人), 화척(禾尺)을 백정(白丁)으로 개칭함.
12월 유관 윤회(尹淮) 등에게 고려사를 개수케 함.
* 성석린(成石璘, 1338-1423) 죽음.
1424년(세종 6, 甲辰)
2월 전라, 경상도에 주전소(鑄錢所)를 둠.
4월 불교를 선종(禪宗)과 교종(敎宗) 양종 36사(寺)로 통합함.
8월 수교고려사(수校高麗史) 완성.
9월 금속화폐 조선통보를 주조케 함.
11월 변계량에게 지지(地志)를 편찬케 함.
11월 악기도감(樂器都監)에서 악기를 제조함.
1425년(세종 7, 乙巳)
4월 저화를 없애고 동전(銅錢)을 사용케함.
흥천사 종을 남문으로 옮김.
일본 사신이 대장경판을 다시 구함.
처음으로 문신이 도진무(都鎭撫)에 임명됨.
7월 왕지(王旨)를 교지(敎旨)로 함.
8월 경기도 남양(南陽)에서 경석(磬石) 발견. 박연(朴堧)의 악률(樂律)정리 시작.
9월 평양에 단군사당(檀君祠堂)을 건립.
* 이종무(李宗茂) 죽음.
1426년(세종 8, 丙午)
2월 화주(和州)를 영흥대도호부(永興大都護府)로 정함.
2월 한성부에 큰 화재. 방화법(防火法)을 제정. 6월에 수성금화도감(修城禁火都監) 설치.
4월 가산몰관(家産沒官)의 법을 폐지함.
5월 각 도의 국둔전(國屯田), 관둔전(官屯田)을 폐지.
수성금화도감(修城禁火都監)을 둠.
8월 정종실록(定宗實錄)을 완성.
11월 고구려 백제 신라 등 삼국 시조(始祖)의 사당을 세움.
12월 속육전(續六典) 및 등록(謄錄)을 편찬.
12월 사가독서제(賜暇讀書制) 실시.
1427년(세종 9, 丁未)
1월 관둔전을 다시 설치함.
4월 야인(野人)의 조경일수(朝京日數)를 정함.
5월 박연이 새로 제작한 석경(石磬)을 올림.
6월 철전(鐵錢)을 주조함.
8월 강화에 목장을 설치함.
11월 신백정(新白丁)과 평민을 같이 거주하게 함.
1428년(세종 10, 戊申)
1월 왜인이 동(銅)과 명주와의 교역을 청함.
2월 대마도에 대한 사미(賜米)를 200석으로 결정함.
윤4월 정초(鄭招) 등에게 속육전(續六典)을 개수케 함.
윤4월 군적(軍籍)을 6년마다 하기로 함.
5월 호적(戶籍)의 법규와 격식을 정함.
7월 종학(宗學)을 세움.
9월 신백정을 평민과 함께 갑사(甲士)에 취재(取才)로 뽑음.
10월 결부제(結負制)를 정함.
12월 안변대도호부(安邊大都護府)를 둠.
12월 일본에 통신사(通信使)를 보냄.
1429년(세종 11, 己酉)
4월 가묘제례(家廟祭禮)의 법을 정함.
4월 경복궁의 사정전(思政殿) 완공.
6월 단오(端午)의 석척전(石擲戰)을 금지하고 석척군(軍) 폐지.
6월 왜관(倭館) 무역의 금지물목을 정함.
8월 명(明)에 금은세공(金銀歲貢)의 면제를 요청함.
10월 상고행상납세법(商賈行商納稅法)을 전국에 시행.
12월 음악 : 송(宋)의 제도에 따라 편종(編鐘)을 주조.
* 정초(鄭招)가 농사직설(農事直說)을 편찬.
1430년(세종 12, 庚戌)
2월 농사직설을 전국에 반포.
3월 예조(禮曹)와 의례상정소(儀禮詳定所)에서 제사의 음악, 악기, 가사(歌詞),
무악(舞樂), 무인(舞人)의 복식 및 단제(壇制), 제기(祭器) 등을 개정함.
7월 공법(貢法)의 타당성을 각 도에 물음.
9월 각 도에 수차(水車) 관개(灌漑)를 장려함.
9월 경성에 출입하는 승려에게 인신첩자(印信帖字)를 발급함.
12월 아악보(雅樂譜) 완성.
* 변계량(卞季良, 1369-1430) 죽음.
1431년(세종 13, 辛亥)
2월 명에 사신을 보내 산법(算法)을 배우게 함.
3월 태종실록(太宗實錄)을 완성.
4월 경복궁 광화문(光化門) 완공.
4월 절이외의 연등(燃燈)을 금지함.
5월 4품이상을 대부(大夫), 5품이하를 사(士)라 칭하게 함.
8월 무당의 야제(野祭)를 금함.
11월 유구국 사신이 옴.
* 이직(李稷, 1362-1431) 죽음.
1432년(세종 14, 壬子)
1월 맹사성(孟思誠) 등이 신찬팔도지리지(新撰八道地理誌)를 편찬.
3월 삼군도총제(三軍都摠制)를 폐지하고 판중추원(判中樞院)을 설치함.
7월 明에 소(牛) 6천마리를 보냄.
7월 영북진(寧北鎭)과 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를 설치.
10월 신백정(新白丁) 자제의 향학(鄕學) 입학을 허용함.
* 경기도 양전(量田)을 실시함.
1433년(세종 15, 癸丑)
1월 황희(黃喜) 등이 신찬경제속육전(新撰經濟續六典) 완성.
1월 율학청(律學廳)을 설치함.
화포방용술(火砲放用術)을 개선하여 수성(守城)이외에 야전(野戰)에서도 사용하도록 함.
4월 최윤덕(崔潤德)이 압록강 방면의 여진족 이만주(李滿住)를 정벌하고
6월에 자성군(慈城郡) 설치. 서북 사군(四郡)의 설치.
대마도에서 토산물을 바치고 범종과 책을 구해감.
8월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을 전라, 강원도에서 간행하게 함.
9월 민속 가요를 수집케함.
* 정초(鄭招), 박연(朴堧) 등이 혼천의(渾天儀)를 완성.
1434년(세종 16, 甲寅)
1월 부거(富居)의 경원부(慶源府)를 경원(慶源)으로 옮김(-1449년). 동북 육진(六鎭) 설치 시작됨.)
3월 광화문에 신종(新鐘)을 설치.
7월 물시계 신루(新漏)를 사용.
7월 활자 갑인자(甲寅字)를 주조.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갑인자로 인쇄하여 간행.
9월 공신도감(功臣都監)을 충훈부(忠勳府)로 고침.
10월 해시계 앙부일구(仰釜日晷)를 둠.
* 정초(鄭招) 죽음.
1435년(세종 17, 乙卯)
2월 1품부터 서인(庶人)까지의 혼례의식(婚禮儀式)을 정함.
3월 호적(戶籍)의 등제(等第)를 제정.
7월 회령에 회령부(會寧府)를 설치함.
9월 주자소(鑄字所)를 경복궁내로 옮김.
9월 함길도에 목면(木棉)을 심게함.
10월 마패(馬牌)를 새로 제작함.
* 화약무기인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 발명.
1436년(세종 18, 丙辰)
2월 경성군(鏡城郡)을 경성부(鏡城府)로 승격시킴.
3월 왜인 206명의 삼포(三浦) 거주를 허락함.
4월 권도, 동국연대가(東國年代歌)를 편찬.
6월 공법상정소(貢法詳定所)를 설치.
9월 회령부에 축성.
12월 납활자 병진자(丙辰字)를 주조함.
* 운부군옥(韻府群玉) 간행.
* 윤회(尹淮, 1380-1436) 죽음.
1437년(세종 19, 丁巳)
1월 울산(蔚山)을 도호부(都護府)로 함.
3월 함길도 갑산성(甲山城)을 쌓음.
4월 공성현(孔城縣)을 경흥군(慶興郡)으로 승격함.
4월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를 만듦.
6월 주자가례(朱子家禮)의 분황례(焚黃禮)를 가묘(家廟)에서 행하게 함.
8월 금은(金銀)의 가격을 정함.
8월 문무관(文武官)의 전선법(銓選法)을 개정함.
9월 이천 등이 압록강 방면의 여진을 정벌.
10월 경원, 경흥의 성(城)이 완성.
* 경복궁에 천문관측대인 간의대(簡儀臺) 설치.
1438년(세종 20, 戊午)
1월 장영실(蔣英實)이 주관하여 경복궁안에 흠경각(欽敬閣)을 준공함.
1월 귀화한 여진인에게 양녀(良女)를 주게함.
4월 충의위(忠義衛), 별시위(別侍衛), 내금위(內禁衛), 삼군(三軍) 갑사(甲士)의
수령천전법(守令遷轉法)을 제정.
7월 경상, 전라도에 공법을 시행.
11월 김시습(金時習)의 금오신화(金鰲神話) 간행.
* 자동물시계인 옥루(玉漏)를 만듬.
* 맹사성(孟思誠, 1360-1438) 죽음.
1439년(세종 21, 己未)
1월 사맹삭(四孟朔) 반록(頒祿)을 시행.
7월 성주(星州)와 전주(全州)에 사고(史庫)를 설치함.
9월 명에 사신을 보내 예악제도(禮樂制度)의 책을 구해옴.
10월 여진인의 상경(上京)을 제한함.
* 허조(許稠, 1369-1439) 죽음.
1440년(세종 22, 庚申)
3월 결혼연령을 남 16세, 여 14세이상으로 정함.
5월 경상, 전라도에 공법을 시행함.
7월 다시 공법을 상정(詳定)케 함.
8월 여주 신륵사(新勒寺) 중수.
9월 평안도 강변에 행성(行城)을 쌓음. 1441년 완공.
11월 온성군(穩城郡)을 새로 설치함.
* 유사눌(柳思訥, 1375-1440) 죽음.
1441년(세종 23, 辛酉)
1월 대마도주가 법화경(法華經)을 구해 감.
5월 온성군(穩城郡)과 종성군(鐘城郡)을 도호부(都護府)로 고침.
7월 충청도에 공법을 시행.
8월 세계 최초의 철제 측우기(測雨器)를 설치하고, 양수표(量水標)를 세움.
1442년(세종 24, 壬戌)
6월 종친의 이씨성(李氏姓)과의 혼인을 금함.
6월 승도입적법(僧徒入籍法)을 폐지함.
8월 권제(權足+是) 등 고려사(高麗史)를 편찬함.
1443년(세종 25, 癸亥)
2월 통신사 변효문(卞孝文)이 대마도주와 세견선(歲遣船)을 50척으로 약정함.
4월 세자(문종)에게 섭정(攝政)을 시킴.
5월 경흥군(慶興郡)을 부(府)로 승격함.
6월 내의원(內醫院) 설치.
8월 자성(慈城) 토성동(土城洞)에 우예군(虞芮郡)을 설치함. 서북 사군(四郡) 설치 완료.
11월 전제상정소(田制詳定所)를 설치함.
11월 일본 사신이 대장경과 청자기(靑磁器)를 요청. 청자기를 얻어감.
12월 훈민정음(訓民正音) 28자(자음 17자, 모음 11자)를 창제함.
1444년(세종 26, 甲子)
1월 양전계산법(量田計算法)을 제정.
1월 집현전에서 고금운해(古今韻解)를 언해함.
6월 결부파속제(結負把束制)를 다시 시행함.
10월 집현전에서 오례의주(五禮儀注)를 편찬함.
11월 전분육등(田分六等) 연분구등(年分九等)의 법을 정함.
* 칠정산내외편(七政算內外篇) 간행. 중수대명력(重修大明曆) 간행.
1445년(세종 27, 乙丑)
3월 치평요람(治平要覽) 편찬.(1441년에 시작함)
4월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10권 완성.
7월 충순위(忠順衛)를 설치함.
10월 의방유취(醫方類聚) 365권 완성됨.
* 최윤덕(崔潤德, 1376-1445) 죽음.
1446년(세종 28, 丙寅)
4월 함경도에 삼수군(三水郡)을 설치함.
9월 훈민정음(訓民正音)을 반포함.
10월 공문서(公文書)에 훈민정음을 사용.
10월 새로 만든 척(尺)으로 도량형제도를 개정함.
11월 정음청(正音廳)을 설치함.
* 신개(申槪, 1374-1446) 죽음.
1447년(세종 29, 丁卯)
2월 화포(火砲)를 만듦.
2월 용비어천가 주해(龍飛御天歌註解)를 완성함.
4월 부녀자가 절에 가는 것을 금지함.
4월 안견(安堅)이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를 그림.
7월 석보살절(釋譜詳節),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이 편찬됨.
8월 숭례문을 중수함.
9월 신숙주(申叔舟) 등이 동국정운(東國正韻), 사성통고(四聲通攷)를 편찬함.
1448년(세종 30, 戊辰)
4월 원손(元孫) 홍위(弘暐 : 단종)를 세손(世孫)으로 봉함.
5월 사창(社倉)을 대구군(大丘郡)에 시험적으로 설치.
7월 전라도의 전품(田品)을 정함.
7월 성균관 및 사학 유생이 불당건립에 반대하여 동맹휴학.
9월 총통등록(銃筒謄錄)을 각 도에 나누어줌.
12월 내불당(內佛堂) 건립.
1449년(세종 31, 己巳)
2월 춘추관에 고려사의 개찬을 명함.
7월 부거현(富居縣)을 부령부(富寧府)로 승격함. 동북 육진(六鎭) 설치 완료.
12월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 간행.
1450년(세종 32, 庚午)
1월 양성지(梁誠之)가 비변십책(備邊十策)을 건의함.
2월 세종이 승하함. 문종 즉위.
3월 동국병감(東國兵鑑) 편찬.
3월 일본국 사신의 요청으로 대장경 1부를 보냄.
7월 활자 경자자(庚子字)를 주조함.
7월 평안도를 좌,우도(左,右道)로 나눔.
12월 각 도의 지도(地圖)를 제작함.
1451년(문종 1, 辛未)
1월 경치 충청도 수군 3천명으로 도성을 수축함.
2월 화차(火車)를 제조. 3월에 화차를 추가 제조하여 군기감(軍器監)에 50량,
의주(義州) 등 양 계지방 각읍에 20량씩을 비치케 함.
5월 정척(鄭陟)이 양계지도(兩界地圖)를 만들어 올림.
8월 김종서(金宗瑞) 등이 신찬고려사(新撰高麗史)를 완성하여 올림.
11월 승려의 왕성 출입을 금함.
1452년(문종 2, 壬申)
2월 김종서 등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35권을 편찬.
5월 문종 승하, 세자(단종) 즉위.
6월 수양대군(首陽大君)의 역대병요(歷代兵要) 완성.
6월 정몽주를 왕씨사당(王氏祠堂)에 배향.
6월 경연에서 가례(家禮) 상례(喪禮)를 진강케함.
11월 정음청(正音廳) 폐지.
* 황희(黃喜, 1363-1452) 죽음.
1453년(단종 1, 癸酉)
6월 박연이 세종어제악보(世宗御製樂譜)를 발간.
10월 계유정란(癸酉靖難). 수양대군이 김종서(金宗瑞, 1390-1453) 등을 살해하고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로서 정권을 잡음.
10월 양성지가 조선도도(朝鮮都圖), 팔도각도(八道各圖) 등의 지도를 만듦.
10월 이징옥(李澄玉)이 종성(鍾城)에서 반란을 일으킴.
10월 평안좌우도를 다시 평안도로 합함.
* 하연(河演, 1376-1453) 죽음.
1454년(단종 2, 甲戌)
2월 양성지가 황극치평도(皇極治平圖)를 편찬.
3월 세종실록(世宗實錄) 163권을 편찬.
3월 권근의 예기천견록(禮記淺見錄) 입학도(入學圖) 등을 간행하여 경연에서 진강함.
12월 문무관의 상복(常服), 흉배(胸背)를 제정.
1455년(단종 3, 세조 1, 乙亥)
4월 평안도 우예(虞芮) 여연(閭延) 무창(茂昌)의 3군을 폐하고 귀성군(龜城郡)을 다시 설치.
4월 명에서 의서(醫書)를 구함.
6월 단종이 수양대군(세조)에게 선위. 단종은 상왕(上王)이 됨.
6월 정인지(鄭麟趾)가 영의정이 됨.
8월 양성지에게 지리지(地理誌)를 편찬케함.
11월 문종실록(文宗實錄)을 편찬.
* 사성통고(四聲通攷) 간행.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 완성.
1456년(세조 2, 丙子)
3월 양성지가 편의이십사사(便宜二十四事)를 상소함.
6월 성삼문(成三問, 1418-1456) 등 사육신(死六臣)이 단종 복위를 도모다가 처형됨.
6월 집현전(集賢殿), 경연(經筵)을 폐지.
12월 원구단(圓丘壇) 설치.
1457년(세조 3,丁丑)
6월 상왕(단종)을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하여 영월(寧越)로 유배보냄.
10월 노산군(단종) 죽음.
1458년(세조 4, 戊寅)
1월 태조, 태종, 세종, 문종의 국조보감(國朝寶鑑) 7권 완성.
3월 유구국 사신 내방.
4월 호패법을 다시 시행함.
4월 해인사 대장경 50건을 각도 사찰에 분장.
10월 자성군(慈城郡)을 폐지함으로써 서북 사군(四郡)이 모두 없어짐.
* 박연(朴堧, 1378-1458) 죽음.
1459년(세조 5, 己卯)
1월 평안도의 운산군(雲山郡) 폐지. 이로써 4군이 모두 폐지됨.
2월 호패법 시행.
3월 신숙주가 회령에서 여진을 선무(宣撫)함.
4월 경흥부를 옮김.
6월 명경과(明經科) 설치.
7월 월인석보(月印釋譜) 완성.
7월 충청 경상 전라도 연변에 진(鎭)을 설치.
10월 양성지가 잠서(蠶書)를 새로 지음.
11월 병제(兵制)를 고침.
* 신석조(辛碩祖, 1407-1459) 죽음.
1460년(세조 6, 庚辰)
1월 여진족 우량합 등이 회령에 침입, 격퇴.
2월 경기와 하삼도의 각 역(驛)을 개편하고 찰방(察訪)을 둠.
7월 경국대전(經國大典) 호전(戶典) 간행.
8월 신숙주가 두만강밖 모련위(毛憐衛)의 여진을 정벌함.
9월 국학(國學)에 구재(九齋)를 둠.
11월 하삼도의 부실자(富實者) 4천5백호를 평안 강원 황해도에 이주케 함.
윤11월 전라도에서 조운선 100척을 건조함.
1461년(세조 7, 辛巳)
1월 공물(貢物) 대납(代納)을 금지.
3월 최항(崔恒) 등이 잠서(蠶書)를 언해함.
3월 북정록(北征錄) 완성.
4월 경기 전라도를 양전(量田)함.
6월 간경도감(刊經都監)을 설치함.
7월 경국대전 형전(刑典)을 완성.
10월 승려 호패법을 정함.
1462년(세조 8, 壬午)
5월 호적(戶籍)이 성적(成籍)됨.
5월 충청 전라 경상도의 군적(軍籍)을 작성.
8월 찰방(察訪)을 신설하고 역승(驛丞)을 증설.
12월 흥천사 종이 완성.
* 양령대군(讓寧大君, 1394-1462) 죽음.
1463년(세조 9, 癸未)
1월 호패사목(號牌事目) 20조를 제정함.
9월 간경도감에서 신간 법화경(法華經)을 올림.
11월 정척 등이 동국지도(東國地圖)를 편술.
11월 장서각(藏書閣)을 홍문관(弘文館)으로 개칭.
12월 병학구결(兵學口訣)을 정함.
12월 성균관에서 구재학규(九齋學規)를 올림.
12월 반야심경(般若心經)을 번역함.
1464년(세조 10, 甲申)
2월 김수온(金守溫) 등이 금강경(金剛經)을 언해함.
7월 교서관(校書館)에서 삼갑전법(三甲戰法)을 간행.
8월 양성지가 군정십책(軍政十策)을 올림.
11월 전폐(箭幣)인 팔방통보(八方通寶)를 주조.
1465년(세조 11, 乙酉)
3월 원각경(圓覺經) 언해(諺解)가 완성.
4월 한성에 원각사(圓覺寺) 준공.
6월 모든 지리서(地理書)를 수집하여 간행함. 북경에서 지리대전(地理大全)을 구해오게함.
12월 김종직(金宗直)이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誌) 편찬.
* 권람(權擥, 1416-1465) 죽음.
1466년(세조 12, 丙戌)
1월 오위진무소(五衛鎭撫所)를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로 개칭.
2월 성균관에 구재(九齋)를 설치.
2월 평안도에 영원군(寧遠郡) 설치.
3월 새로 정한 주역구결(周易口訣)을 반포함.
4월 동국통감(東國通鑑) 수찬을 완료.
4월 서거정(徐居正)에게 마의서(馬醫書)를 편찬케 함.
4월 과전법(科田法)을 폐지하고 직전법(職田法)을 시행함.
1467년(세조 13, 丁亥)
1월 양성지가 해동성씨록(海東姓氏錄)을 편찬.
1월 노비변정도감을 장예원(掌隸院)으로 고침.
2월 금강산 유점사(楡岾寺)를 중창.
3월 규형(竅衡, 땅의 원근을 재는 기구), 인지의(印地儀)를 만듦.
4월 원각사 탑 완성됨.
5월 이시애(李施愛)가 길주에서 반란을 일으켜 8월에 진압.
9월 함길도를 남북도(南北道)로 나눔.
9월 강순(康純) 등이 명과 함께 압록강 방면의 여진족을 정벌하여 이만주와 그 아들을 죽임.
1468년(세조 14, 戊子)
9월 세조 승하, 세자(예종) 즉위함.
9월 신숙주(申叔舟),한명회(韓明澮) 등을 원상(院相)으로 하여 정무를 관장케 함.
10월 남이(南怡), 강순(康純) 등이 반역으로 몰려 처형됨.
10월 직전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정함.
12월 보신각 대종(大鐘) 주조함.
* 신륵사 다층대리석탑, 낙산사 칠층석탑 축조함.
* 심경언해(心經諺解) 간행.
1469년(예종 1, 己丑)
3월 삼포(三浦)의 사무역 금지.
6월 관둔전의 민간인 경작(民耕)을 허락함.
6월 양주 봉선사(奉先寺) 완성.
7월 무정보감(武定寶鑑) 만듦.
9월 최항 등 경국대전을 편찬.
11월 예종 승하, 왕자 자을산군(者乙山君) 즉위.
12월 군적 개정, 호패법 폐지.
1470년(성종 1, 庚寅)
2월 화장(火葬)의 풍속을 금지함.
4월 직전세(職田稅)를 관수관급제(官收官給制)로 함.
7월 경국대전의 이전(吏典) 병전(兵典)을 시행.
11월 경국대전을 교정함.
12월 각 도에 누에치는 잠소(蠶所)를 1개씩 설치.
* 구치관(具致寬, 1406-1470) 죽음.
1471년(성종 2, 辛卯)
6월 외친(外親) 6촌의 혼인을 금지.
6월 도성안의 염불소(念佛所)를 금지하고 무격(巫覡)을 도성밖으로 쫓아냄.
10월 신숙주가 영의정이 됨.
11월 유구국 사신이 옴.
11월 세조실록(世祖實錄)을 편찬.
12월 간경도감을 폐지.
1472년(성종 3, 壬辰)
1월 음사(陰祀)를 금지함.
1월 내수사(內需司) 장리(長利) 325개소를 혁파함.
2월 구월산(九月山) 삼성당(三聖堂)에 제사함.
3월 의학(醫學) 장려 10조를 제정함.
4월 과거(科擧)의 식년제(式年制)를 개정.
5월 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
6월 주자가례에 따른 사중삭(四仲朔) 제사 이행을 검찰함.
11월 수군(水軍)의 대립(代立)을 엄금함.
1473년(성종 4, 癸巳)
6월 경기수군절도사(京畿水軍節度使)를 설치함.
8월 사족 부녀자가 승려가 됨을 금지함.
1474년(성종 5, 甲午)
1월 경국대전 반포 시행.
1월 경상 전라도에 당목면(唐木棉)을 경작케함.
11월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완성.
12월 서거정의 동인시화(東人詩話) 간행.
12월 경복궁 근정전, 광화문에 청기와를 올림. 경회루와 종묘를 보수함.
* 최항(崔恒, 1409-1474) 죽음.
1475년(성종 6, 乙未)
2월 여진 우량합이 경원에 침입. 건주위 이만주의 잔당이 침입.
4월 황해도 평안도 영안도에 면화(棉花)를 경작케함.
5월 대소인원의 가사(家舍)제도를 강화.
* 인수대비(仁粹大妃) 한씨의 내훈(內訓) 간행.
* 어효첨(魚孝瞻, 1405-1475), 신숙주(申叔舟, 1417-1475) 죽음.
1476년(성종 7, 丙申)
1월 아오지(阿吾地)에 만호(萬戶)를 둠.
5월 원상(院相)을 폐지함.
10월 왜인이 가져온 황금의 사무역을 허가.
12월 노사신(盧思愼) 등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를 편찬.
1477년(성종 8, 丁酉)
1월 일본 통신사의 사목(事目)을 제정.
3월 일체의 사찰 건립을 금지함.
5월 의방유취(醫方類聚) 간행.
6월 유구국 사신이 옴.
7월 부녀자의 재가(再嫁) 금지를 논의.
7월 주(州), 부(府)에 사관(史官)을 두기로 함.
9월 윤자운(尹子雲)이 몽한운요(蒙漢韻要)를 올림.
10월 성균관 유생이 외출시 청금단령(靑衾團領)을 입게 함.
* 이석형(李石亨, 1415-1477), 조석문(曹錫文, 1413-1477) 죽음.
1478년(성종 9, 戊戌)
2월 홍문관 학사(學士)에게 교대로 숙직하여 시강(侍講)케 함.
3월 예문관원을 홍문관직에 배치함.
5월 유자광(柳子光) 임사홍(任士洪)을 유배보냄.
11월 서거정(徐居正) 등이 동문선(東文選) 편찬.
* 정인지(鄭麟趾, 1396-1478), 5월 윤자운(尹子雲, 1416-1478), 김질(金石+質, 1426-1478) 죽음.
1479년(성종 10, 己亥)
3월 당도종(唐稻種)을 경작시킴.
4월 일본에 통신사 파견.
5월 세조의 훈사(訓辭) 및 병법(兵法)을 편찬.
6월 왕비 윤씨(연산군 생모)를 폐함.
6월 유구국 사신이 옴.
10월 명의 사신이 건주여진(建州女眞) 정벌에 도움을 청함에,
11월에 윤필상(尹弼商)을 도원수(都元帥)로 하여 여진을 정벌.
* 구성군 준(龜城君 浚, 1415-1479) 죽음.
1480년(성종 11, 庚子)
4월 향교에 학전(學田)을 내림.
6월 유구국 사신이 옴.
1481년(성종 12, 辛丑)
3월 언문삼강행실(諺文三綱行實) 열녀도(烈女圖)를 간행 반포.
3월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50권 편찬.
8월 왜인에게서 호초(胡椒) 종자를 구함.
* 두시언해(杜詩諺解)를 간행. 정극인(丁克仁)이 상춘곡(賞春曲)을 지음.
* 김수온(金守溫, 1409-1481), 박중선(朴仲善, 1435-1481) 죽음.
1482년(성종 13, 壬寅)
2월 양성지가 서적의 간행 반포를 진언함.
4월 일본국 사신이 와서 대장경을 구해감.
7월 노사신 등에게 강목신증(綱目新增)을 찬수시킴.
8월 폐비 윤씨에게 사약을 내림.
10월 삼국사기(三國史記)를 간행 반포.
11월 내수사(內需司) 장리(長利)를 다시 세움.
* 한계희(韓繼禧, 1423-1482) 죽음.
1483년(성종 14, 癸卯)
2월 왕자(연산군)을 세자로 책봉.
3월 세조왕비 정희왕후(貞熹王后, 1418-1483) 승하함.
9월 여진족이 조정에 올 때는 영안도를 경유해서 오게함.
10월 홍문관원의 사가독서제를 부활함.
10월 건주(建州) 여진인이 옴.
12월 유구국 사신이 옴.
12월 양현고(養賢庫)를 다시 설치함.
* 강희맹(姜希孟, 1424-1483) 죽음.
1484년(성종 15, 甲辰)
1월 교서관(校書館)을 부활.
6월 진서(陣書) 1천본을 간행하여 무신에게 배포함.
9월 창경궁(昌慶宮) 준공.
10월 활자 갑진자(甲辰字) 30여만자를 주조함.
11월 서거정 등이 동국통감(東國通鑑)을 찬진.
12월 성균관에 학전(學田)를 지급함.
1485년(성종 16, 乙巳)
1월 왜의 동(銅) 철(鐵) 무역을 관에서 관리하게 함.
1월 상인(商人)의 왜인과의 교역을 허가함.
3월 윤필상이 영의정이 됨.
4월 노사신 등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을 교정함.
7월 서거정 등 신편동국통감(新編東國通鑑) 57권을 편찬.
11월 경주(慶州) 길가의 동불(銅佛)을 헐어 군기(軍器)를 제조함.
12월 경기수군절도사(京畿水軍節度使)를 폐지함.
* 불정심다라니경언해(佛頂心陀羅尼經諺解) 간행됨. 오대진언집(五大眞言集) 간행.
1486년(성종 17, 丙午)
4월 양계(兩界)의 수령은 문무관을 교대로 임명케 함.
9월 영안도에 장성(長城)을 쌓음.
12월 김종직 등의 동국여지승람 수교(수校) 완성.
* 어세공(魚世恭, 1432-1486) 죽음.
1487년(성종 18, 丁未)
1월 각도의 공한지(空閑地)에 둔전(屯田)을 둠.
2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간행.
4월 손순효(孫順孝)가 식료찬요(食療纂要)를 지어올림.
8월 경상도의 각 포(浦)에 석보(石堡)를 쌓음.
* 정창손(鄭昌孫, 1402-1487), 한명회(韓明澮, 1451-1487) 죽음.
1488년(성종 19, 戊申)
1월 대마도주가 황금과 구슬을 진헌.
윤1월 원각사 중수.
4월 각도의 군적(軍籍)이 완성됨.
5월 유향소(留鄕所)를 다시 설치함.
8월 최부(崔溥)가 수차(水車)를 제작함.
* 서거정(徐居正, 1420-1488) 죽음.
1489년(성종 20, 己酉)
3월 이말(李末)이 만든 격수기계(激水機械)를 경기현에 설치하여 시험함.
5월 윤호(尹壕) 등이 신찬구급간이방(新撰救急簡易方)을 올림.
8월 일본 사신이 대장경을 요청함.
9월 복호(復戶)는 전세공부(田稅貢賦) 및 잡역(雜役)을 면제하게 함.
* 정난종(鄭蘭宗), 어유소(魚有沼, 1434-1489) 죽음.
1490년(성종 21, 庚戌)
1월 도첩(度牒)이 없는 승려를 충군(充軍).
2월 전국에 서적을 널리 구함.
4월 병오년 군적이 이룩됨.
5월 울산 염포성(鹽浦城),
6월 거제도 조라포성(助羅浦城),
8월 동래(東萊) 부산포성(釜山浦城),
9월 남해(南海) 평산포성(平山浦城) 등 남해안에 성을 쌓음.
10월 순천(順天) 오동포(梧桐浦, 현재의 여수)에 전라도 좌수영(左水營)을 설치함.
1491년(성종 22, 辛亥)
1월 여진족 우량합이 경흥에 침입.
3월 사사전(寺社田)의 전세(田稅)를 관에서 거두게 지급함.
3월 김중보(金仲寶)가 주사(朱砂)로 수은(水銀)을 제조함.
8월 홍문관원의 사가독서를 부활함.
10월 강변(江邊) 제진(諸鎭)에 축성을 명함.
11월 도원수 허종(許琮)이 두만강방면의 여진 우량합을 정벌.
1492년(성종 23, 壬子)
1월 소(牛)의 도살을 금지함.
2월 공사천(公私賤) 소생을 보충대(補充隊)에 편입하여 종량(從良)케 함.
3월 유구국에 대장경 1부를 보냄.
3월 왜인의 사무역을 허락함.
4월 이극균(李克均)이 편전(片箭)을 새로 제조함.
7월 대전속록(大典續錄) 완성.
7월 경기 충청도 양전.
* 평해(平海)읍성, 양산(梁山)읍성을 쌓음.
* 김종직(金宗直, 1431-1492), 남효온(南孝溫, 1454-1492) 죽음.
1493년(성종 24, 癸丑)
1월 재산 청송(聽訟)의 기간을 5년으로 함.
2월 의방요록(醫方要錄) 간행.
5월 용산강(龍山江)에 독서당(讀書堂)을 만듦.
8월 성현(成俔) 등이 악학궤범(樂學軌範)을 완성.
9월 경상 전라도 양전.
* 심회(沈澮, 1418-1493), 김시습(金時習, 1435-1493) 죽음.
1494년(성종 25, 甲寅)
2월 삼포(三浦)에 거주하는 왜인의 경작지에 과세(課稅)함.
3월 쌀값이 올라 빈민들이 봉기.
8월 강목교정청(綱目校正廳)을 다시 설치함.
12월 성종 승하, 세자(연산군) 즉위.
* 허종(許琮, 1434-1494), 이극증(李克增), 유호인(兪好仁, 1445-1494) 죽음.
1495년(연산군 1, 乙卯)
3월 노사신이 영의정이 됨.
6월 명의 사신이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 통감강목(通鑑綱目)을 바침.
10월 신승선(愼承善)이 영의정이 됨. 어세겸(魚世謙)이 우의정이 됨.
* 이극배(李克培) 죽음.
1496년(연산군 2, 丙辰)
1월 종묘 제도를 제정함.
7월 건주여진이 위원(渭原)에 침입.
9월 사가독서를 실시.
* 윤호(尹壕, 1424-1496) 죽음.
1497년(연산군 3, 丁巳)
5월 폐비 윤씨(연산군 생모)를 왕비로 추숭.
6월 문신의 사가독서제를 다시 행함.
11월 이극균이 경상우도(慶尙右道)의 지도(地圖)를 올림.
11월 공안(貢案) 개정을 정지함.
* 손순효(孫順孝, 1427-1497) 죽음.
1498년(연산군 4, 戊午)
2월 상평창(常平倉)을 설치.
2월 세조이래의 국조보감(國朝寶鑑)을 찬집.
4월 영안도(永安道)를 함경도(咸鏡道)로 개칭.
5월 호적식년(戶籍式年)을 개정함.
7월 무오사화(戊午士禍). 유자광의 무고로 김일손(金馹孫, 1464-1498) 등이 처형되고
김종직을 부관참시(剖棺斬屍)하고 사초(史草)와 김종직 문집을 불태움.
* 노사신(盧思愼, 1427-1498) 죽음.
1499년(연산군 5, 己未)
1월 성종실록(成宗實錄) 완성.
4월 여진족이 삼수(三水)에 침입.
4월 왕비 신씨(愼氏)의 명으로 해인사 대장경을 간행.
9월 평안도와 함경도 삼수군에 사민(徙民)정책을 정함.
10월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을 수정함.
* 구급이해방언해(救急易解方諺解)를 간행. 동국명가집(東國名家集) 간행.
1500년(연산군 6, 庚申)
4월 한치형(韓致亨)이 영의정이 됨.
7월 성현 등에게 역대명감(歷代名鑑)을 찬진케함.
9월 속국조보감(續國朝寶鑑)을 찬진.
11월 과부의 재가를 금함.
11월 유구국 사신이 옴.
* 농서언해(農書諺解), 잠서언해(蠶書諺解) 간행. 신미(信眉)의
목우자수심결언해(牧牛子修心訣諺解) 간행.
* 어세겸(魚世謙, 1430-1500) 죽음.
1501년(연산군 7, 辛酉)
4월 공안상정청(貢案詳定廳)을 설치.
7월 성준(成俊) 등이 서북제번기(西北諸蕃記), 서북지도(西北地圖) 등을 찬진.
9월 충청 황해관찰사의 절도사(節度使)겸임제를 폐지함.
10월 삼포의 왜(倭) 및 대마도에 칠공(漆工)을 구함.
1502년(연산군 8, 壬戌)
1월 명으로 부터 염직(染織)을 배움.
3월 김익경(金益慶)이 제조한 수차(水車)를 경기 충청도에 시험적으로 설치함.
6월 양계입거인(兩界入居人)의 내지인(內地人)과의 혼인을 엄금.
7월 함경도에 사창(社倉)을 설치.
8월 상평창(常平倉)을 경외(京外)에 설치.
9월 원자(元子)를 세자로 책봉.
* 신승선(愼承善, 1436-1502), 한치형(韓致亨, 1443-1502) 죽음.
1503년(연산군 9, 癸亥)
1월 성준이 영의정이 됨.
5월 임신최요방(姙娠最要方) 간행.
11월 경복궁과 창덕궁의 담을 높이 쌓고 담밑의 주거를 금지함.
* 이극돈(李克墩, 1435-1503), 조위(曹偉, 1454-1503) 죽음.
1504년(연산군 10, 甲子)
1월 폐비 윤씨의 시호를 제헌왕후(齊獻王后)로 추증함.
윤4월 갑자사화(甲子士禍). 김굉필(金宏弼, 1454-1504), 박은(朴誾)과 이극균, 성준 등 수십명을 죽임.
윤4월 경연을 폐지함.
7월 성균관을 유락소(遊樂所)로 만듦.
7월 언문(諺文)의 교육 학습을 금지함.
11월 서울 남산의 봉수(烽燧)를 모두 없앰.
12월 원각사를 폐지함.
12월 기녀들에게 처용무(處容舞)를 가르침.
* 성현(成俔, 1439-1504), 정여창(鄭汝昌, 1450-1504) 죽음.
1505년(연산군 11, 乙丑)
1월 조관(朝官)에게 신언패(愼言牌)를 차게 함.
1월 경연관을 진독관(進讀官)으로 고쳐 타관이 겸하게 함.
7월 관부문서(官府文書) 및 여지승람 등 서적의 사장(私藏)을 금지함.
9월 궁인(宮人)의 호(號)를 정함.
11월 종학(宗學)을 폐지.
12월 사사전(寺社田)을 폐지.
* 허침(許琛, 1444-1505) 죽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