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에 온가족이 한 곳에 모이면 서로간에 정확한 호칭을 몰라 결례를 하는 수가 있다.
특히 객지생활을 하는 며느리의 경우 어쩌다 한번씩 보게 되는 시댁 친지의 촌수를 잘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호칭 또한 어색해서 당황하기 십상이다.
친척이 많이 모이는 명절을 친인척간의 호칭을 익히는 계기로 삼아봄직하다.
며느리 입장에서 남편을 시부모에게 말할 때 잘못하는 경우가 많다. 자녀가 없을 경우 '그이`, 자녀가 있을 경우 '아범` '애비`라고 하면 무난하다.
가까운 친지중에는 시누이 남편 호칭에 실수가 많아서 보통 고모부·시매부 등으로 부르는 경우가 흔하나 이는 잘못된 것. '아주버님` '서방님`이 바람직하다.
손위 시누이 남편일 경우 "아주버님"이라고 부르거나 혹은 성을 붙여 "o..서방님",
손아래일 경우는 "o..서방님"이라고 부른다.
아이 이름을 붙여 ' o.. o..아버지`라고 부르는 것도 예부터 불러 오던 풍습으로 잘못된 것은 아니다.
시댁식구 호칭중 시누이 남편을 제외하면 비교적 잘 알려져 있는편
남편의 조부모는 '할아버님` '할머님`이라고 부르면 되고 ,
백(숙)부모는 '큰(작은)아버님`이라고 부른다.
남편의 형은 '아주버님`이고,
남동생은 미혼일 경우 '도련님`,
기혼이면 '서방님`이라 한다.
남편 형의 아내는 '형님`,
남동생의 아내는 '동서`이고,
남편의 사촌형제와 아내를 부르는 것도 같은 원칙을 적용하면 된다.
또 누나 남편은 매형아닌 자형이라고 한다.
요즘 흔히 쓰는 호칭중 반드시 바로잡아야 할 것이 몇가지 있다.
남편을 '아빠` 혹은 '오빠`, 시동생을 '삼촌`이라 부르는 것 등이다.
친아버지 혹은 친오빠를 부를 때 쓰는 아빠나 오빠를 남편에게 쓰는 것은 커다란 실례.
또 자녀가 쓰는 호칭을 그대로 따 시동생을 삼촌이라 부르는 것도 고쳐야 할 호칭중 하나다.
한편 남자의 경우 처가식구를 부를 때 아내의 부모는 '장인어른` '장모님`이 원칙이나 '아버님` '어머님`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또 아내의 오빠는 '처남` 혹은 '형님`,
남동생은 '처남`이라 불러야 하고
손위 처남의 아내는 '아주머니`
손아래면 '처남의댁`이라 칭한다
카페 게시글
지혜모음방
가족호칭은 이렇게
성렬이
추천 0
조회 218
07.03.01 18:16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