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가 근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조개 껍데기가 한 송이의 아름다운 꽃으로 피어났다. 조개 껍데기의 색깔과 모양을 잘 살린 이 작품은 조개 껍데기도 훌륭한 공예 재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포털사이트 네이버 붐 게시판에 ‘아침마담’이란 ID의 네티즌은 조개 껍데기을 이용해 만든 독특한 공예 작품을 소개했다.
그는 현재 자신이 살고 있는 곳은 드라마 <해신>의 촬영 장소로 유명한 ‘완도’이며, 최근 이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조개 껍데기로 만든 공예 작품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고 말했다. 인터넷에 올린 조개꽃 작품은 ‘아침마담’이란 네티즌의 어머님이 직접 만든 작품이라고 전했다.
‘조개 꽃’ 작품을 만드는데 쓰이는 조개의 종류는 무척 다양했다. 나전칠기의 재료로 사용되는 전복 껍데기를 이용해 만든 작품도 있고, 까만 빛깔의 홍합 껍데기로 만든 조개 꽃 작품도 눈에 띈다. 특히, 분홍조개로 만든 조개 꽃 작품은 마치 장미 꽃다발을 보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네티즌 ‘아침마담’은 특별히 다른 색을 첨가하지 않아도, 조개 껍데기 천연의 색깔이 자연스러운 멋을 낸다고 설명했다. 또한, 조개 껍데기의 색을 그대로 살렸기 때문에 자꾸만 봐도 질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조개 껍데기로 만들었다는 사실이 믿기 힘들 정도로 화려한 이 ‘조개 꽃’ 작품을 어떻게 만들었을지 무척 궁금했다. 이에 ‘아침마담’이란 네티즌에게 몇가지 궁금한 점들을 물어보았다.
만드는 과정에 대해 '아침마담'은 “제일 먼저 조개를 채취 후 조갯살을 분리하고, 조개 껍데기를 락스로 깨끗이 세척한 다음 건조시킵니다. 그리고 실리콘을 이용해 조개껍데기로 꽃모양을 만들고, 여기에 꽃대를 장착해 조화와 어울리게 장식을 하면 됩니다”라고 설명했다.
조개 껍데기로 꽃모양을 만드는 일이 쉽지 않을것 같다는 질문에는 “조개꽃 1개를 만드는데 2~30분도 안 걸리며, 숙련된 사람들은 더 빨리 만든다”고 말했다. 오히려 조개를 채취하고 건조, 선별하는 작업이 가장 어려운 작업이며, 보통 2~3일 정도 걸린다고 한다.
몇몇 네티즌들은 새끼 전복을 이용해 작품을 만드는 것이 불쌍하다고 말했는데, ‘아침마담’은 “전복 양식장에서 자연폐사한 껍데기를 이용한 것이고, 다른 조개껍데기들도 안에 들어있는 조갯살을 모두 까먹고 남은 것들을 이용해 만든 것”이라고 답변했다.
그는 조개를 이용한 꽃 작품 이외에도 넓은 쟁반에 조개 껍데기을 붙여서 만든 독특한 작품도 선보였다. 조개 껍데기의 크기대로 쟁반에 이어 붙이니, 조개 꽃 작품과는 또 다른 멋진 공예 작품이 탄생했다.
작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조개를 크기대로 구하는 것도 무척 어려운 일일텐데, 조개 껍데기를 크기별로 하나하나 정성껏 붙여놓은 모습에서 많은 정성이 필요한 작업이라는 것을 알게 해준다.
그는 “이 밖에도 여러 작품이 있는데, 손님들에게 선물로 주는 바람에 못 올린 작품들도 많다”면서 조개 껍데기로 작품을 만들면서 집 꾸미는 재미에 푹 빠져있다고 말했다.
네티즌들은 조개 껍데기로 이렇게 멋진 작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에 대해 무척 신기하게 생각했다. 네티즌 ‘jea3976’은 “자연 속의 재료를 가지고 넘 멋진 작품을 만들었다”면서 보통 솜씨가 아닌 것 같다고 칭찬했다. ‘경뚜기’라는 네티즌도 “그냥 버리는 조개들로 예쁜 장식품을 만들다니 대단하다”는 댓글을 남겼다.
네티즌 중에는 사진 속 조개 꽃을 구할 수 없냐고 물어보기도 했다. 네티즌 ‘아침마담’은 “그냥 손님들에게 선물로 주는 것이고, 판매는 아직 생각해 보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마을의 관광 상품으로 만든다면 판매도 가능할 것 같다”면서 “여기 저기서 판매 문의가 많이 들어와 마을 쪽에서도 판매하는 쪽으로 점점 고려해 보고 있다”고 답변했다.
그냥 버려질 수도 있는 조개 껍데기로 이런 멋진 작품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에 네티즌들은 신기해하며, 이 게시물은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네티즌 ‘아침마담’도 “섬 주민들이 취미로 즐기던 것인데, 많은 사람들이 함께 작품을 봐줘서 기쁘다”라고 말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4/47_cafe_2007_10_13_23_13_4710d28ca649d)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4/35_cafe_2007_10_13_23_13_4710d28d21efa)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34/43_cafe_2007_10_13_23_13_4710d28dbc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