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열공: 열심히 공부하다. → 열심히 공부하다의 줄임말
2. 출첵: 출석체크 → 출석체크의 줄임말
3. 지름신: 충동구매를 일으키는 가상의 신
→ 지르다(돈을 쓰다)의 명사형 지름과 신의 합성어
4. 므흣: 흐뭇하거나 수상쩍은 미소를 나타내는 말
5. 불펌: 허락받지 않고 스크랩하는 것을(펌질) 금지하는 것 → 不과 펌(퍼가다)의 합성어
6. 펌킨족: 펌질을 좋아하는 사람을 나타내는 말→ 펌과 KIN(즐겁다) 그리고 종족, 집단을 나타내는 족의 합성어
7. 반삭: 거의 삭발하는 것 → 반삭발의 줄임말
8. 쿨럭: 민망하거나 기가 막힐 때 쓰는 감탄사. → 기침소리 콜록에서 유래
9. 쩔: 레벨이 높은 사람이 레벨이 낮은 사람과 팀이 되어 레벨을 올려줌
10. 어&48085;: 어머나의 애교스런 말 → 어&48085;이 엄마의 경상도 사투리
11. 샤방: 반짝반짝 빛이 난다는 뜻의 의태어, 꽃미남이나 미소년의 등장에 많이 쓰임
12. 뽀샵질: 포토샵으로 사진을 꾸밈. → 포토샵질의 줄임말
13. 셤: 시험 → 시험의 줄임말
14. OO: 몰래 사진을 찍는 것 → 도둑촬영의 줄임말
15. 오링: 돈을 모두 잃다, 돈을 모두 쓰다라는 의미 → 올인에서 나온 말.
16. 즐겜: 즐겁게 게임하세요라고 쓰이는 게임 인사. → 즐겁게 게임하다의 줄임말
17. 익게: 익명게시판, 이름 또는 닉네임을 숨기고 쓸 수 있는 게시판 주로 고민상담용→ 익명게시판의 줄임말
18. 오나전: 원래 완전의 오타였으나 완전 대신 일부러 오나전이라고 많이 쓰게 됨.→ 완전의 오타였습니다
19. 조낸: 정말, 매우, 굉장히의 뜻을 가짐 → 원래 존내의 오타
20. OTL = OTZ : 좌절하다. → 좌절금지라는 뜻에서 OTL금지로 쓰였는데 요즘은 OTL로..
21. 채금: 대화가 금지되어 말을 쓸 수 없을 때 쓰는 채팅용어 → 채팅금지의 준말
22. 팀플: 팀을 이루어서 게임을 하는 것 → 팀플레이의 준말
23. 갠전: 개인끼리 게임을 하는 것 → 개인전의 준말
하이루, 방가방가, ㅎ2 ; 인사말
즐 ; 너나 즐겁게 놀아
* 다른 말과 함께 쓰이면 긍정의 뜻으로도 사용됩니다.
예) 즐딕 : 엠파스에서 즐겁게 지식검색 하세요. 즐감(ㅈㄱ) ; 즐겁게 감상하세요.
당근 ; 당연하다
얼큰이 ; 얼굴이 큰 사람
초딩 ; 초등학생(또는 초보)
OO ; OO
OO ; OO
대딩 ; 대학생
직딩 ; 직장인
담탱 ; 담임 선생님
폐인 ; TV 드라마, 인터넷에 중독된 사람
아뒤 ; 아이디
비번 ; 비밀번호
짱나 ; 짜증난다
꽃미남 ; 예쁘게 생긴 남자
온미남 ; 나긋나긋하고 부드럽지만 때로는 남자다운 면모를 보여주는 외유내강형의 남자
슈퍼 맘 ; 직장을 다니면서 아이를 키우는 여성
빌딩타기 ; 대형빌딩에 찾아가 물품구매나 회원가입을 권유하는 것
ㅋㅌㅋㅌ ; 키득키득
ㅊㅋㅊㅋ ; 축하합니다
ㅇㅇ ; 알았다
얼짱 ; 얼굴이 예쁜 사람
몸짱 ; 몸매가 예쁜 사람
힙짱 ; 엉덩이가 예쁜 사람
1212 ; 술 마시러 가자(홀짝홀짝)
사오정 ; 40대, 50대에 정년퇴직한다는 뜻
성형놀이 ; 포토샵으로 인물 사진을 합성하거나 예쁘게 얼굴 사진을 꾸미는 행위
등수놀이 ; 댓글을 빨리 다는 순서대로 순위를 정하는 것
공포학번 ; 2004학년도 신입생
비혼모 ; 자발적으로 결혼은 하지 않고 아이만 낳아 기르는 여성
:) ; 술에 취했다는 뜻
블로그 ; 인터넷을 의미하는 웹(web)과 자료를 뜻하는 로그의(log) 합성어로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는 일종의 개인 사이트
슬로푸드 ; 집에서 만드는 음식처럼 만드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음식
디카족 ; 디지털 카메라를 항상 휴대하며 언제 어디서든 즐겨 찍는 사람
명품계 ; 유명제품의 구입을 목적으로 조직한 계 또는 그러한 계를 조직하는 사람들
눈팅 ; 인터넷 게시물에서 글쓰기, 리플달기 등을 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이 써놓은 글만 읽는 행위
원츄 ; 추천한다
강츄 ; 강력하게 추천한다
자방하시오 ; 스스로 반성하시오
방법하다 ; 혼내 주겠다
악플러 ; 인터넷 게시판에서 본문과 전혀 상관없거나 비방하는 내용의 답변을 하는 사람
외계어 ; 한글을 심하게 변형시켜 쓰는 통신언어
유리지갑 ; 봉급생활자의 지갑
아바타 ; 사이버 상에서 자신의 분신 역할을 하는 캐릭터
플래시몹 ; 이메일 등을 통해 특정한 시간·장소에 모여 짧은 시간 안에 약속된 행동을 한 뒤 흩어지는 모임
기러기 아빠 ; 아내와 아이를 외국에 보내고 국내에 혼자 사는 아빠
페트 신드롬 ; 애완동물 키우기 열풍
샐러던트 ; 직장에 다니면서 자투리 시간을 이용하여 공부하는 사람
힐리스족 ; 바퀴 달린 신발을 타는 사람
점오배족 ; 명절 때 평소보다 높게 쳐주는 아르바이트 때문에 귀향길을 포기한 대학생들
아침형 인간 ; 아침 일찍 일어나 운동이나 취미활동을 하는 사람들
귀차니즘 ; 모든 일이 귀찮아서 움직이기 싫음
얼리어답터(early-adopter) ; 신제품을 남보다 빨리 구입하여 써보는 사람들
1. OTL 2004년을 강타한 신조어 1위는 바로 OTL. 네티즌들이 좌절을 뜻하는 이 단어에 열광하는 것을 보면, 2004년이 사회경제적으로 얼마나 어려운 한 해였는지 알 수 있다. OTL은 O(머리), T(팔과 몸), L(다리) 를 형상화해 머리를 땅에 엎드리고 무릎을 꿇은 사람의 모습을 표현한다. OTL의 일본유래설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으나, 일본에서는 OTZ와 GTL을 많이 사용한다.
2. 을용타 2003년 12월 7일 동아시아연맹컵 중국전에서 이을용 선수가 중국 공격수 리이의 뒤통수를 때려 퇴장한 사건이 있었다. 중국선수가 이을용 선수의 부상 후유증으로 통증이 남아 있는 발목을 걷어차 일어난 사건으로, 당시 이을용 선수와의 몸 싸움 중 넘어진 중국 선수가 지나치게 '오버액션'을 해 화제가 되기도 했었다. 2004년 중국의 고구려 역사왜곡에 분노한 네티즌들이 다양한 버젼의 을용타 이미지를 합성하여 밋밋한 정부대응을 비판했다.
3. 선리플후감상 게시글 리플에서 심심찮게 보이는 등수 놀이는 각종 뉴스 사이트 100자의견 쓰기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풍경이다. 선리플후감상은 게시글 리플 등수놀이에서 1등을 차치하기 위해, 먼저 리플을 쓴 후 나중에 자료를 감상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2004년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와 수많은 리플들 속에서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자기표현 현상을 극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4. 개새 개의 머리와 새의 몸을 하고 있는 개새는, 인터넷에 떠도는 합성사진의 일종이다. 개새의 유래 또한 여러가지 설이 있다. '욕설 변형 진화설'은 단어를 축약해서 간략하게 사용하는 네티즌들이 '개OO' 라는 욕을 개새로 사용하거나, 게시판에 욕설쓰기 방지기능이 있기 때문에 개새로 쓰기 시작했다고 알려졌다. 미국 게시판설은 미국게시판에서 개와 새를 합성한 사진이 올라온 후 정작 미국에서는 별다른 반응이 없었던 반면, 우리나라에서 인기를 끌었다는 설이 있다. 디지털합성 사진의 인기와 파급력을 보여주는 신조어이다.
5. 지름신 지름신은 가지고 싶은 물건을 무의식적인 상태에서 구매하거나 사고 싶을 때 사용하는 신조어. 주로 "지름신이 강림하셨다" 등의 문장으로 사용한다. 게임이나, 프라모델, 얼리어답터, 멀티미디어 기기 유저들이 사용하던 단어가 전네티즌들 사이에서 유행했다. 사고 싶은 물건은 반드시 사야 직성이 풀리는 요즘 신세대들의 소비문화와 충동구매욕구를 대변해주는 단어다.
6. 염장질 염장지른다의 변형신조어인 염장질은, 질투나 욕구불만을 일으키는 상황이나 객체를 표현할 때 주로 쓰인다. 사용예는 "아바타아이템 사고 싶은데 염장질 나네", "염장질 커플" 등이다. 대량구매시대로 상품이 쏟아져 나오고, 유행을 모방하고자 하는 2004년 대중심리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신조어다.
7. 파문놀이 어떤 특정한 사건이나 주제 등에 대하여 해당 인물이나 단체 등의 객체를 놓고 헤드라인 뉴스처럼 파문 단어를 붙이는 놀이. 말장난에 비슷한 아무 것도 아닌 사건을 뉴스제목의 형태로 바꿔 대중매체의 보도행태와 여론몰이를 풍자했다. 신랄한 비판을 반어법으로 재치있게 표현한 초기와는 달리, 대유행을 한 2004년 그리스 올림픽 이후에는 현상을 재미있게 표현할 때 주로 사용한다. 올림픽 축구 대한민국 대 말리전, "말리 자살골, 한국 공격진이 하도 못 넣길래 내가 넣어줬다. 파문", "자살골 주인공 탐XX, 골대 안 바뀐 줄만 알았다. 파문" 등으로 사용한다.
8. 자음퀴즈 자음퀴즈는 단어의 자음만을 알려주고 그 단어를 맞추게 하는 퀴즈이다. "ㅇㄱㅈㅇㄱㄴ - 엽기적인 그녀" 등과 같이 사용하며, 긴 문장을 제시해 단어를 못 맞추게 하는 각종 편법까지 등장할 정도로 유행을 하고 있다. 모음마저 쓰기를 귀찮아하는 단어축약현상과 자음만으로 퀴즈를 내 답을 못 맞추게 만드는 재치가 돋보이는 신조어인 자음퀴즈는, 주제를 이해하지 못 하면 통 맞출 수가 없는 퀴즈로 자신들만의 문화공유 심리가 강한 네티즌 끼리문화의 단면을 보여준다.
9. 다운족 자료 업로드나 회원활동은 하지 않고 오직 다운로드만 하는 네티즌을 가리키는 신조어이다. 각종 P2P, 웹하드 서비스의 유행으로 생겨난 단어이다. '자료공유 문화'를 보여주는 말로, 자료를 업로드하는 등의 노력은 하지 않고 다운혜택만 받는 얌체족을 통칭하는 단어로 사용한다.
10. 군대리아 군대에서 일주일에 1~2번(주로 일요일, 수요일) 나오는 특식은 불고기 버거, 치즈 버거, 샐러드 버거 등의 버거류가 많다. 메뉴는 주로 햄버그('거'도 아니고 '그'다) 쌀빵 2개, 샐러드, 옥수수 스프, 소스(불고기 스테이크용이나 머스터드), 잼(딸기나 포도), 스테이크(불고기 스테이크나 치킨스테이크), 치즈,콜라(코카는 절대로 안 나옴)로 구성한다. 이를 가리키는 신조어가 군대리아로 군대 와 롯데리아를 결합시켜 탄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