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니퍼가 남긴 인사말 입니다..
영어에 자신이 있으신 분들께서는 원문으로 읽으시고(ㅎㅎㅎ)
아니면 조금 더 밑으로 내려보시면 번역문이 있습니다...
---------------------------------------------------------------------------------
Korea was a small dream. I always wanted to visit, live or teach somewhere in Asia but I never thought it would actually happen. Ten years later I’m in the final month of my year in Korea and part of me doesn’t want to go home… Like most people who travel, I’ve had some interesting experiences, seen fascinating places and met many wonderful people. I am the luckiest girl in Korea; fortune put me where I needed to be. Teaching classes at Global 학원, the LG Learning Center, at other LG and Samsung factories as well as other companies has provided a great opportunity to talk about culture, politics and the issues of daily life in Korea. All the students and teachers I’ve met have been very hard working both in class and in their company, which is something I’ve also seen among the musicians I’ve encountered. Working hard and playing hard appear to be main facets of Korean life and nothing could prepare me for the amount of hard work and play I was about to put in for the next year! Along with the many other things I was discovering in Korea my second month opened into a whole new realm of Korean culture. On a windy Saturday afternoon my co-worker Eric introduced me to a former student and 말뚝이 member, 김은하, who was moving to 인동 that day. We walked with her and her two children to an unassuming practice room. She played a little 장구 and I tried to follow along but I was terrible! However, it was so comfortable to watch – I’d never really seen anyone but our teacher, my friend and some university Korean exchange students play. Soon some middle school students arrived and we played Young Nam. I sounded terrible but it felt fantastic to play something familiar and it was heaven to hear because I hadn’t had time, since I graduated from university, to play with my friend and our teacher in America. There was a young woman (whose name I’ve never really known) leading the group then another teacher (I believe her name is Mrs. 류) came and we played again and they both started to help me with technique. They also told me there was a practice the next day. This is the first wonderful example experience of the troubles, freedoms and interesting confusions created by my inability to speak Korean! The next day’s practice would be a one-day, all-day, on-the weekend, once-a-month practice with a teacher from Seoul, Mr. Lee Bong Woo. I understood the practice would start at 10:00 in the morning but I couldn’t understand when it ended. It sounded as though it would last from 10:00 am until 10:00 pm but that didn’t make sense to me. I’d never had a practice for twelve hours before but that’s exactly what it was! It was heaven to be in a room with about twenty people all doing the same wave-like, heavily rhythmic movements and being smothered in an external heartbeat vibrating through your bones. In this kind of “trial by fire” (my hips and knees hurt so much but I got used to it!) I started to remember why I came to Korea: I came here for the music. That day I think I met almost everyone – so many people I’m sorry I can’t remember each one! I remember meeting 이 정 헌 for his personality, 이봉우 because he was the teacher, 김대호 because he was very kind and brought my very own drum that night, Mrs. 이 because she was the woman in charge, Mr. 구 because he tried (and tries) so hard to help me and so many others. I especially remember meeting 노진규 because he became not only my translator and cultural teacher but also my good friend. I look back and it makes me very happy. This started a truly folk experience for me. I’ve come from a background of structured lessons, classes and rehearsals through schools and teachers. Here was the “old school” way. Here was people teaching people anything and everything they could in whatever way they could. At the same time I was taking beginner lessons at City Hall which provided a good opportunity for me to work slowly on technique then change to a more aggressive practice at 말뚝이. I was learning and remembering so much that for the first month my head was swimming and I would fall asleep at night with 자진모리 and 휘모리 running through my head. It was becoming a very big part of my life. Culturally, it was wonderful watching personal interactions among players, husbands and wives, parents and children because all of it was different. Mainly, it was difficult to tell who was married to who because couples in general never seem to “hang onto each other” in Korean society whereas in Western society someone can usually tell who is dating or married because they are always together. I found this wonderfully freeing. The other interesting thing was I sometimes couldn’t tell whose child was whose because the children kind of migrated from person to person which contributed to a strange and surprising community feel. All this had a much more “family” feel instead of my western “we’re practicing for two hours then going to our next appointment” kind of experience and so it took a while to get used to. With so many people, and none of them my actual English students, there were some communication problems but nothing a lot of body language or a quick phone call couldn’t fix. For some time I regretted not using this opportunity to really focus on language but I realized after a while music must be felt and I was kind of glad to not be bogged down in technical language. I was in a unique position to learn the language of music naturally. Not only was mood preserved and facilitated but also musical and cultural growth was nurtured and enhanced by this kind of linguistic isolation. It was kind of like meditating or being a baby who doesn’t exactly understand what’s going on but does understand how things are or are not flowing. I never ever felt left out because of lack of communication. On the contrary, it was wonderful for me to only feel and not think. But I also imagine it was sometimes more difficult for everyone else and for their patience I am truly grateful! Through much effort across language, time and energy obstacles I have been able to have some fantastic experiences not many foreigners, and sometimes not many Koreans, have had: performing as the 각시, going to 울진 with musicians, playing music at a temple with 노진규 and other musicians, my one week lesson with 이봉우 선생님, 지신밟기 and visiting a musical instrument factory in 거창 with Mr. 김대호. Not to mention all the accidental gatherings, tea meetings, performances, practices and meeting people from a local 택견 studio as well as the people of 고씨공방. There are so many people I’ve met and yes I will forget some but many, many people I simply can’t forget even if I never knew their names. There are so many places I’ve been whose names I’ll never know or how I got there but I’ll remember how it felt, how the sky looked, how the ground felt, the cool night air, the moon in the sky and the kindness and joy of the people around me. It is honestly very surreal for me to think about how much has happened in the almost twelve months I’ve been here. I hope I can return next year because there is so much more to learn and do. People ask me what some of my best experiences have been in Korea and my answers are almost always me being with many people (some of whom I’ll never know) in a field, or a restaurant, or someone’s house, or 말뚝이 or the rainy KIT university parking lot at a birthday party… playing music. I can never truly express how lucky I feel or how happy I am to have been in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to have ended up in 말뚝이. Thank you everyone so much for making me a part of your family!
----------------------------------------------------------------------------------
한국은 작은 꿈이었습니다. 저는 늘 아시아의 어느 곳을 방문해보거나 살아보거나 혹은 가르쳐보고 싶었는데 실제로 이런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는 생각해 보지 못했습니다. 십년이 지난 지금 한국에서의 마지막 달을 보내고 있으며 내 마음 한 편에는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은 마음도 일어납니다. 여행을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저도 흥미로운 경험을 했고, 멋진 곳도 보았고, 좋은 사람들도 많이 만났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제일 운이 좋은 사람입니다. 왜냐하면 행운이 나를 내가 있어야 할 곳에 데려다 주었으니까요. 글로발 어학원, LG 연수원, 그리고 LG, 삼성과 같은 회사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것이 한국에서의 문화, 정치 그리고 일상적인 문제들을 얘기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제가 만난 모든 학생들과 선생님들은 수업과 직장에서 매우 열심히 일하고 있었고, 제가 만난 음악가들 사이에서도 이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열심히 일하고 열심히 노는 것이 한국 생활의 주요 일면인 거 같았는데, 한국에서 생활하는 동안 내가 얼마나 열심히 일하고 놀았는지는 예측해 볼 수가 없었습니다. 두번째 되던 달에 많은 다른 것들과 더불어 한국 문화의 모든 새로운 영역들을 발견하기 시작했습니다. 어느 바람부는 토요일 오후 나의 동료 에릭이 그의 예전 학생이면서 말뚝이 멤버인 김 은하씨를 소개해 주었고 그녀는 그날 인동으로 이사를 하였습니다. 우리는 그녀와 그녀의 두 아이들과 함께 걸어서 연습실로 갔습니다. 그녀는 장구를 연주했고 나도 따라 연주하려 했지만 저의 연주는 형편없었습니다. 그러나, 그냥 보는 것으로도 너무도 편안함을 느꼈습니다.- 나의 선생님, 친구 그리고 한국인 교환 학생들 외에는 어느 누구도 이렇게 연주하는 걸 본적이 없었습니다. 곧 몇몇 중학생들이 왔고 우리는 영남을 연주했습니다. 나의 연주는 엉망이었지만 익숙한 것을 연주하는 것으로도 너무 환상적이었으며, 대학을 졸업한 후로는 미국에서 나의 친구와 선생님이랑 연주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연주를 듣는 것이 천국과 같았습니다. 그 그룹을 이끌어 나가고 있는 한 젊은 여자가 있었고 – 난 그 분의 이름은 모르고 있었습니다. – 그런 후 내 기억에 Mrs. '류'라는 이름을 가진 또 한 사람의 선생님이 오셔서 우린 다시 연습을 시작하였고 두 분 모두 기술적으로 나를 도와주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다음 날 연습에 대해서도 말 해 주셨습니다.
이것은 내가 한국어를 말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들, 자유로움, 또는 약간의 혼동 중에서 아주 재미있는 경험이 되었습니다. 그 다음 날의 연습은 서울에서 온 이 봉우 선생님과 함께 하는 하루, 주말, 또는 한 달에 한번의 기회가 될 수도 있는 연습이었습니다. 나는 그 연습이 아침 10시에 시작하는 것을 알았으나 몇 시에 끝나는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아침 10시부터 밤 10시까지 연습하는 것 같았지만 나로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일이었어요. 한번도 그렇게 오랜 12시간동안 연습해 본적이 없었으나 그 날은 그렇게 12시간을 연습하였습니다. 20여명의 사람들과 강한 리듬의 움직임과 뼈 속 깊이 울리는 외부의 박동 소리에 스며 드는 일련의 행위들을 다 같이 하면서 나에게는 그 방이 천국처럼 느껴졌습니다. 불로 만들어진 길 속에서 – 사실 그 날 내 엉덩이와 무릎이 무척 아팠으나 이내 익숙해졌고– 내가 한국에 온 이유를 기억하기 시작했습니다. 그것은 바로 음악을 위해 온 것이었습니다.
그 날 나는 많은 사람들을 만났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개개인을 모두 기억할 수는 없습니다. 나는 이 정헌씨를 만났고, 이 봉우 선생님, 친절하고 바로 내 장구를 가지고 왔던 김 대호씨, 책임자였던 Mrs. 이, 여러 모로 날 도와 주려 했던 Mr. 구, 그리고 그 외 다른 사람들을 많이 만났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통역자이자 문화적인 스승이며 또한 좋은 친구였던 노 진규씨를 만난 것이 생각납니다. 되돌아 생각하면 정말 나를 행복하게 만드는 순간들 이었습니다.
이것이야 말로 나에게 진정으로 민요의 경험을 하게 된 시작이었습니다. 나는 학교와 선생님들을 통해 틀에 박힌 수업이나 강의를 들어왔었으나 이곳은 마치 아주 오래된 학교와 같았습니다. 이 곳에서는 사람들이 그들이 할 수 있는 최대의 것도 그들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방법으로 서로를 가르쳐 왔습니다. 동시에 시청에서 초급반을 수강했는데 이 수업으로 나는 천천히 무용 기술을 익히게 되었고 좀 더 적극적으로 말뚝이를 연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처음부터 너무 많은 동작을 배우고 익히느라 머리가 항상 어지러웠고 잠이 들 때도 자진모리나 회 모리 가락이 귀에서 맴돌았습니다. 춤이 내 생활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문화적으로 볼 때, 회원들 중 남편과 아내, 부모와 아이들 사이를 바라보는 것도 너무나 달라 보였기 때문에 나로서는 무척 흥미로웠습니다. 서양 사회에서 항상 함께하고 있어 누가 누구랑 데이트를 하는지 결혼을 했는지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것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항상 같이 있는 것 같지가 않아서 누가 누구랑 결혼했는지 알아 보는 게 무척 힘들었습니다. 나는 여기서 놀라운 자유로움을 발견했습니다. 또 다른 재미있었던 점은 아이들이 어느 집 아이인지 알아 보는 게 힘들었습니다. 왜냐하면 애들이 서로 서로 어울리면서 이상하면서도 놀라운 공동체를 만들어 가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모든 일들은 더욱 더 가족이란 느낌 이상을 갖게 했습니다. 서양에서는 주로, “ 그래, 여기서 두 시간 동안 연습이 끝나면 다음 장소로 옮겨야 돼” 라는 식이여서 다른 사람이나 환경에 익숙해지기 까지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많은 사람들, 특히 나와 영어 수업을 하지 않는 사람들 속에서 다소 의사 소통의 문제는 있었지만 많은 바디랭귀지나 짧은 전화로 해결되는 듯 했습니다. 가끔씩은 좀 더 언어에 집중하지 않은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했지만 나는 시간이 지나면 음악을 반드시 이해할 것이라 여겼고 전문 기술용어에 발목을 잡히지 않은게 오히려 다행이라 생각했습니다. 나는 그냥 자연스럽게 음악 용어들을 익혀 나갈 수 있었습니다. 오히려 언어의 장벽으로 인해 분위기를 더 느끼고 쉽게 다가 갔을 뿐만 아니라 음악적 문화적 성장도 함께 고무되었습니다. 이것은 명상을 하는 것이나 또는 아기가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이해 하지는 못하지만 이런 일들이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를 이해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것 같았습니다. 언어장벽과 의사소통의 문제로 소외당했다거나 외톨이가 되었다고 느낀 적은 단 한 번도 없었습니다. 오히려 생각을 통하지 않고 바로 느낄 수 있어서 저에겐 더 멋진 경험이었습니다. 그렇지만 가끔씩 다른 모든 이들이 좀 힘들었을 것이라 생각되며 제게 보여주셨던 인내심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언어, 시간 그리고 체력적인 부분들을 극복하기 위해 쏟아 부었던 그 많은 노력을 통하여 나는 많은 외국인들과 때로는 한국인들로 경험해보지 못한 환상적인 경험들을 할 수 있었습니다. 각시로 분하여 공연했던 일, 다른 음악가들과 울진에 갔던 일, 노 진규씨 외 다른 음악가들과 함께 절에서 연주했던 일, 일주일 동안 있었던 이 봉우 선생님과의 수업, 김 대호씨와 같이 거창에 있는 악기공장에 방문했던 일. 이 외에도 일일이 다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았던 모임들, 차를 마시며 가졌던 모임들, 공연들, 고씨공방 사람들 뿐 아니라 지역 택견도장에서 온 사람들과의 만남과 연습 등 정말 다 일일이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경험들입니다. 이제껏 많은 사람들을 만났습니다. 아마도 모든 것을 다 기억 하지는 못 하겠지요. 그러나 내가 그 이름들을 다 기억하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아주 많은 사람들을 그렇게 쉽게 잊지는 못할 겁니다. 내가 가 봤던 수 많은 곳들- 그곳의 이름이 뭔지 그리고 어떻게 그곳에 갔는지는 다 알 수 없지만 그곳의 느낌과 하늘의 모습 그리고 그 땅의 느낌, 상쾌했던 밤공기, 밤하늘의 달과 나와 함께 했던 많은 사람들의 친절과 기쁨은 영원히 기억할 겁니다. 내가 머물렀던 12개월동안 어떻게 그렇게 수 많은 일들이 일어 날 수 있었을까를 생각해 보면 내겐 솔직히 현실의 일이 아닌 환상처럼 느껴집니다. 내년에 다시 돌아 와 더 많은 것들을 배우고 경험 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사람들은 한국에서 경험했던 체험들 중 가장 좋았던 기억에 대하여 많이 물어 봅니다. 그러면 나는 야외에서, 식당에서, 어떤 이의 집에서, 말뚝이에서 혹은 음악을 연주하며 생일파티를 했던 그 비오는 날 KIT(금오공대) 주차장에서 많은 사람들과 함께 있었던 나 자신이라고 대답합니다. 내가 있어야 할 시간과 장소에 머물렀고 마지막까지 말뚝이와 함께 할 수 있어서 나는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운이 좋은 사람이며 행복한 사람입니다. 가족의 일부로써 늘 대해주신 모든 분들께 정말 감사 드립니다. |
첫댓글 원문에서 한글로 쓰여진 부분은 제가 틀린 글자를 바로 잡아 올렸습니다...(그리고 내용중에 김은하씨가 인동으로 이사했다는 내용은 ->'그날 인동으로 갔다'라는 표인인듯 싶습니다..)
많은 만남은 아니지만 말뚝이를 통해서 알게된 제니퍼가 떠난다니까 웬지 많이 서운하네요. 늘 웃으면서 힘들었을텐데도 열심히 하는 모습이 참 보기 좋았어요. 어디에 있든지 항상 건강하길 바라며, 고국에 돌아가서도 한국의 음악을 접할 기회가 있게 되길 바래요. 잘 가세요.
제니퍼 ^^ 건강하구요... 좋은사람 만나서 행복하게 살았으면 하네요.. 울 말뚝이 식구들 잊지 마시구요.. 안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