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Suttanipata 제 3 [ 큰 장 ]
제3 [ 큰 장 ]
이십칠경 1) 출가 經/ 146 [405-424]
이십팔경 2) 정진 經/ 151 [425-449]
이십구경 3) 훌륭하게 말해진 것 經/ 157 [450-454]
삼십경 4) 불을 섬기는 사람 뿐다리카 經/ 160 [455-486]
삼십일경 5) 젊은 마가의 물음 經/ 171 [487-509]
삼십이경 6) 방랑하는 수행자 사비야 經/ 179 [510-547]
삼십삼경 7) 바라문 세라 經/ 193 [548-573]
삼십사경 8) 화살 經/ 208 [574-593]
삼십오경 9) 젊은이 바셋타 經/ 213 [594-656]
삼십육경 10) 비난하는 사람 코칼리야 經/ 229 [657-678]
삼십칠경 11) 홀로 가는 수행자 나라카 經/ 238 [679-723]
삼십팔경 12) 두 가지 관찰 經/ 249 [724-765]
The Suttanipata 제 3 [ 큰 장 ]
72經中 스물일곱번째經[1. 출가 經 ]405-424
405
눈이 있는 사람은 어째서 출가를 했는지, 그는 무엇을 생각한 끝에 출가를 선택했는지,
그의 출가에 대해서 나는 이야기하리라.
406
'집에서 사는 생활은 비좁고 번거로우며 먼지가 쌓인다.
그러나 출가는 널찍한 들판이며 번거로움이 없다'고 생각해 출가한 것이다.
407
출가한 다음에는 몸으로 짓는 나쁜 행위를 멈추었다. 말로 짓는 악행도 버리고 아주 깨끗한 생활을 하였다.
408
눈 뜬 사람은 마가다국의 서울, 산으로 둘러싸인 왕사성으로 갔다.
수려한 모습을 가진 그는 탁발하기 위해 그곳으로 간 것이다.
409
마가다 왕 빔비사라는, 높은 다락 위에서 그를 보았다.
수려한 모습을 가진 그를 보고 신하들에게 말했다.
410
"그대들은 저 사람을 보아라. 아름답고 건장하고 깨끗 할 뿐 아니라, 당당하게 앞만을 본다.
411
그는 눈을 아래로 두고 정신을 모으고 있다. 저 사람은 천한 집 출신이 아닌 것 같다.
뛰어가 그를 따르라. 저 수행자는 어디로 가는가."
412
왕의 신하들은 그의 뒤를 따라갔다. '저 수행자는 어디로 가는 것일까. 그는 어디에 사는 것일까?' 하면서.
413
그는 모든 감각을 억제하여 잘 다스리고 바르게 깨닫고 조심하면서
집집마다 음식을 빌어 잠깐 동안에 바리때를 채웠다.
414
거룩한 분은 탁발을 끝내고 그 도시 밖으로 나와 판다바산으로 향했다.
아마 그는 그곳에 살고 있는 모양이다.
415
고타마가 자기의 처소에 가까이 이른 것을 보자, 왕의 신하들은 그에게로 가까이 갔다.
그리고 한 신하는 왕궁으로 돌아가 왕에게 아뢰었다.
416
"대왕이시여, 그 수행자는 판다바 산 앞쪽에 있는 굴 속에 호랑이나 황소처럼, 그리고 사자처럼 앉아 있습니다."
417
신하의 말을 듣자 빔비사라 왕은 화려한 수레를 타고 판다바 산으로 길을 재촉했다.
418
왕은 수헤로 갈 수 있는 곳까지 달려간 뒤 수레에서 내려 걸어 올라가 그 곁에 앉았다.
419
왕은 기뻐하면서 인사를 나눈 후 이렇게 말했다.
420
"당신은 젊음이 넘치는 인생의 봄입니다.
용모도 수려한 것으로 보아 귀한 왕족 태생인 것 같습니다.
421
코끼리 떼를 앞세운 날쌘 군대를 당신께 선물로 드리겠으니 그것을 받아 주십시오.
나는 당신의 태생을 알고 싶으니 말해 주시겠습니까?"
422
"왕이여, 저쪽 히말라야 기슭에 한 정직한 민족이 있습니다.
예전부터 코살라국의 주민으로 부와 용기를 갖추고 있습니다.
423
성은 '태양의 후예"라 하고, 종족은 '석가족'이라 합니다. 왕이여, 나는 그런 집에서 출가했습니다.
욕망을 채우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424
모든 욕망에는 근심이 있고, 출가는 평화롭다는 것을 알아 힘써 정진합니다.
내 마음은 이것을 즐기고 있습니다."
The Suttanipata 제 3 [ 큰 장 ]
72經中 스물여덟번째經[2. 정진 經 ]425-449
425
네란자라 강 기슭에서 평안을 얻기 위해 힘써 수행하고 명상하는 나에게,
426
악마 나무치가 위로의 말을 건네며 다가왔다.
"당신은 여위었고 안색이 나쁩니다. 당신은 죽음에 임박해 있습니다.
427
당신이 죽지 않고 살 가망은 천에 하나입니다. 당신은 살아야 합니다.
생명이 있어야만 착한 일도 할 수 있지 않습니까.
428
당신이 베다를 배우는 사람으로서 맑은 수행을 하고
성화에 제물을 올리는 공덕을 쌓는다 해서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429
힘써 정진하는 길은 가기 힘들고 행하기 힘들며 도달하기도 어렵습니다.
이같은 시를 읊으면서 악마는 눈 뜬 분 곁에 섰다.
430
악마가 이렇게 말하자, 스승(부처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게으름뱅이의 친구여, 악한 자여! 그대는 세속의 선업을 구해서 여기에 왔지마,
431
내게는 세속의 선업을 찾아야 할 필요가 털끝만큼도 없다.
악마는 선업의 공덕을 구하는 자에게 가서 말하라.
432
내게는 믿음이 있고 노력이 있고 지혜가 있다.
이처럼 정진하는 나에게 너는 어찌하여 삶의 집착을 말하는가.
433
힘써 정진하는 데서 일어나는 이 바람은 강물도 마르게 할 것이다.
그러니 오로지 수행에만 정진하는 내 몸의 피가 어찌 마르지 않겠는가.
434
몸의 피가 마르면 쓸개도 가래침도 마를 것이다. 살이 빠지면 마음은 더욱더 밝아지리라.
내 생각과 지혜와 하나된 마음은 더욱더 편안하게 될 것이다.
435
나는 이토록 큰 고통을 받으면서도 이토록 편안히 살고 있다.
그러므로 내 마음은 어떤 욕망도 돌아보지 않는다. 보라, 이 마음과 몸의 깨끗함을!
436
너의 첫째 군대는 욕망이고, 둘째 군대는 혐오이며, 셋째 군대는 굶주림, 넷째 군대는 집착이다.
437
다섯째 군대는 권태와 수면, 여섯째 군대는 공포, 일곱째 군대는 의혹, 여덟째 군대는 겉치레와 고집이다.
438
그릇된 방법으로 얻은 이득과 명성과 존경과 명예와, 또 한 자기를 칭찬하고 남을 경멸하는 것.
439
나무치여, 이것들이 바로 너의 군대이다. 검은 악마의 공격군이다.
용감한 사람이 아니면 너를 이겨 낼 수가 없지만, 용감한 사람은 너를 이겨서 즐거움을 얻는다.
440
내가 문자풀을 입에 물 것 같은가? 나에게 목숨은 전혀 중요하지 않다.
나는 굴욕적으로 사는 것보다는 싸워서 죽는 편이 오히려 낫겠다.
441
어떤 수행자나 바라문들은 너의 군대에게 패배하여 더이상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덕 있는 사람들조차 갈 길을 알지 못한다.
442
악마의 군대가 코끼리를 타고 사방을 포위하고 있으니, 나는 그들을 맞아 싸우리라.
나를 이곳에서 물러나게 하지는 못하리라.
443
신들도 세상 사람도 너의 군대를 꺽을 수 없지만, 나는 지혜를 가지고 그것을 깨뜨린다.
마치 굽지 않은 흙단지를 돌로 깨뜨려 버리듯.
444
자유롭게 생각하고 굳은 신념을 가지고 이 나라 저 나라로 두루 다닐 것이다. 여러 제자들을 거느리고.
445
그들은 내 가르침을 실천하면서 게으르지 않게 노력하고 있다.
그들은 근심할 것이 없고 욕망이 없는 경지에 도달하리라."
446
악마는 말했다.
"우리들은 칠 년 동안이나 당신을 한걸음 한걸음 따라다녔다.
그러나 항상 조심하고 있는 정각자에게는 뛰어들 틈이 없었다.
447
까마귀가 기름을 발라 놓은 바위 둘레를 맴돌며 '이곳에서 말랑말랑한 것을 얻을 수 없을까.
맛좋은 먹이가 없을까' 하며 날아다니는 것과 마찬가지였다.
448
그곳에서 맛있는 것을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까마귀는 날아가 버렸다.
바위에 가까이 가 본 그 까마귀처럼, 우리는 지쳐서 고타마를 떠나간다."
449
근심에 잠긴 악마의 옆구리에서 비파가 뚝 떨어졌다.
그만 그 야차는 기운 없이 그 자리에서 사라지고 말았다.
The Suttanipata 제 3 [ 큰 장 ]
72經中 스물아홉번째經[3. 훌륭하게 말해진 것 經 ]
450-454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날 거룩한 스승께서는 사왓티의 제타 숲, 외로운 사람들에게 먹을 것을 나누어 주는 장자의 동산에 계셨다. 그때 스승은 여러 사문沙(모래 사)門(문 문)들을 불렀다.
"사문들이여." "거룩한 스승이시여." 사문들은 스승께 대답했다.
스승께서는 말씀하셨다. "사문들이여, 네 가지의 특징을 갖춘 말은 훌륭하게 설해져 조금도 잘못되지 않았다.
모든 지혜로운 이들이 보아도 결점이 없어 비난받지 않을 것이다.
그 네 가지란 무엇인가. 수행자가 훌륭하게 설한 것만을 말하고 잘못 설해진 것은 말하지 않으며,
진리만을 말하고 진리 아닌 것은 말하지 않으며, 좋은 것만 말하고 좋지 않은 것은 말하지 않으며, 진실만을 말하고 거짓된 것은 말하지 않는다고 하자. 이 네 가지 특징을 갖춘 말은 훌륭하게 설해진 말이다. 모든 지혜로운 이들이 보아도 결점이 없어 비난받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이 말씀하신 후, 행복한 스승께서는 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450
"훌륭한 사람들은 이렇게 말했다. 가장 옳은 말을 하라. 이것이 첫째이다.
진리를 말하고 진리 아닌 것은 말하지 말라. 이것이 둘째다. 좋은 말을 하고 좋지 않은 말은 하지 말라.
이것이 셋째다. 진실을 말하고 거짓을 말하지 말라. 이것이 넷째다."
이때 방기사 장로는 자리에서 일어나, 옷을 왼쪽 어깨에 걸치고 스승이 계신 곳을 향해 합장하고 말했다.
"문득 생각나는 일이 있습니다. 행복한 분이시여." "어디 말해 보라, 방기사여."
스승은 말씀하셨다. 방기사 장로는 스승 앞에서 알맞은 시로써 스승을 찬양했다.
451
"'자기를 괴롭히지 않고 남을 해하지 않는 말만을 하여라.' 이것이야말로 참으로 잘 설해진 말씀입니다.
452
'좋은 말만을 하여라.' 이것은 기꺼이 환영받을 말입니다.
느낌이 나쁜 말을 쓰지 않고 기분 좋은 말만을 하는 것입니다.
453
진실은 참으로 불멸의 말입니다. 이것은 영원한 법칙입니다.
착한 사람들은 진실에, 사물에, 또는 이치에 안주하고 있습니다.
454
절대 평화에 이르기 위해서, 고통을 끝내기 위해서,
부처님이 설하신 말씀은 여러 말 가운데서 가장 뛰어난 것입니다."
The Suttanipata 제 3 [ 큰 장 ]
72經中 삼십번째經
[4. 불을 섬기는 사람 순다리카 經 ]455-486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꼬살라국 순다리까강변에 살고 계셨다.
마침 그때 바라문인 순다리카 바라드와자는순다리카 강변에서 성스러운 불을 만들어 공양을 올리고 있었다.
그런데 바라문인 그는 불 공양이 끝나자 자리에서 일어나 사방을 두루 살피면서 말했다.
"이 남은 음식을 누구에게 줄까?" 그는 멀지 않은 곳에 거룩한 스승이 나무 아래서 머리까지 가사를 둘러쓰고 앉아 있는 것을 보았다. 그는 왼손에는 남은 음식을 들고, 바른손에는 물병을 들고 스승에게 갔다. 스스은 그의 발소리를 듣고 머리에 둘렀던 것을 벗었다. 순다리카 바라드바자는 '이분은 머리를 깍은 분이다. 이분은 삭발한 분이다'하며 되돌아가려고 했다. 그러다가 그는 이렇게 생각했다. '설사 머리를 깎았다 할지라도 어떤 사람은 바라문일 수도 있다. 가까이 가서 그의 출신을 물어 보리라.' 그는 스승께 가까이 가서 물었다. "당신의 출신은 무엇입니까?"
스승은 바라문인 순다리카 바라드바자에게 시로써 말씀하셨다.
455
"나는 바라문도 아니고 왕족도 아니오. 나는 바이샤족 사람도 아니고 다른 아무것도 아니오. 나는 어떤 계급에도 속하지 않고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지만, 깊은 생각을 하며 세상을 두루 다니오.
456
나는 가사를 걸치고 집이 없으며, 수염과 머리를 깎고 마음을 편안히 하고, 세상 사람들에게 누를 끼치지 않고 다니고 있소. 바라문이여, 당신이 내게 출신을 묻는 것은 당치 않소."
457
"바라문이 바라문을 만났을 때는 '당신은 바라문이 아닙니까'하고 묻는 법입니다."
"만일 당신 자신이 바라문이거든 바라문이 아닌 내게 대답하시오. 나는 당신에게 세 구절 스물넉 자로 된 저 사비트리 찬가를 묻겠소."
458
"이 세상에서 성자나 왕족, 바라문이나 일반인들은 무엇 때문에 신에게 여러 가지 공물을 바치는 것입니까?"
스승께서는 대답하셨다.
"베다에 통달한 궁극에 이른 사람이 제사 때 어떤 세속인의 공물을 받는다면, 그 제사는 의미 있는 것이오."
459
바라문이 말했다. "나는 베다에 뛰어난 사람을 이렇게 보았기 때문에, 그 사람에 대한 나의 공물은 성취된 것입니다. 이전에는 당신 같은 사람을 만나지 못해 다른 사람이 남은 음식을 먹었습니다."
460
스승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므로 바라문이여, 당신은 의로운 사람이며 의를 구해 왔으니 가까이 와서 물으시오.
아마도 이곳에서 평안하고 성냄이 엇고, 괴로움과 욕심이 없는 지혜로운 사람을 만날 것이오."
461
"고타마시여, 저는 제사를 즐기고 있습니다. 제사를 지내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저는 제대로 알지를 못합니다.
제게 가르쳐 주십시오. 어디에 바치는 공물이 효과가 있는가를."
"그럼 바라문이여, 귀를 기울이시오. 나는 당신에게 진리를 설하리다.
462
출생을 묻지 말고 행위를 물으시오. 불은 온갖 섶에서 일어나는 것. 천한 집에서 태어난 사람이라도 믿음이 깊고 부끄러워할 줄 알고 뉘우치는 마음으로 행도을 삼각면 고귀한 사람이 되는 것이오.
463
진실을 가지고 자제하고 모든 감각을 절제하며 베다의 뜻에 통달하고 깨끗이 수행하는 사람들.
그들에게 때때로 공양을 바치시오. 복과 덕을 구하는 바라문은 그들을 공양해야 합니다.
464
모든 욕망을 버리고 집 없이 살아가며, 자기 분수를 잘 알아 절제하고' 베틀의 북처럼 곧은 사람들.
그들에게 때때로 공양을 바치시오. 복과 덕을 구하는 바라문은 그들을 공양해야 합니다.
465
탐욕을 떠나 모든 감각을 조용히 다스리고, 달이 라후의 손길에서 벗어나듯이 걸림이 없는 사람들.
그들에게 공양을 바치시오. 복과 덕을 구하는 바라문은 그들을 공양해야 합니다.
466
집착하는 일 없이 항상 마음을 다스려 내것이라고 고집했던 모든 것을 버리고 세상을 거니는 사람들.
그들에게 때때로 공양을 바치시오. 복과 덕을 구하는 바라문은 그들에게 공양해야 합니다.
467
모든 욕망을 버리고 욕심을 이겨 생사의 끝을 알고 평안에 돌아가,
맑고 시원하기가 호수처럼 완전한 사람(여래如來)는 공양을 받을 만합니다.
468
완전한 사람은 평등한 자(과거에 눈이 열린 사람들, 여러 부처님들)와 같고, 평등하지 않은 사람과는 멀리 떨어져 있소. 그는 끝없는 지혜를 가지고 이 세상에서도 저 세상에서도 때도 묻지 않소. 완전한 사람은 공양을 받을 만합니다.
469
거짓과 교만과 탐욕을 떠나 내것이라고 집착하거나 욕망과 성냄이 없고, 마음이 고요하여 근심의 때를 버린 바라문인 완전한 사람은 공양을 받을 만합니다.
470
마음의 집착을 이미 끊고 아무것에도 붙들리지 않으며,
이 세상에서나 저 세상에서나 걸림이 없는 완전한 사람은 공양을 받을 만합니다.
471
마음을 한결같이 안정시켜 거센 흐름을 건너고 가장 뛰어난 지혜로써 진리를 알고 번뇌의 때를 소멸해 최후의 몸을 가지고 있는 완전한 사람은 공양을 받을 만합니다.
472
생존의 더러움과 거친 말씨도 모두 버렸소. 그는 베다에 통달한 사람이고, 모든 일에 해탈하였소.
완전한 사람은 공양을 받을 만합니다.
473
집착을 뛰어넘어 집착이 없고, 교만한 마으이 가득한 사람들 가운데 있으면서 교만한 마음이 없으며,
밭이나 땅과 함께 괴로움을 잘 알고 있는 완전한 사람은 공양을 받을 만합니다.
474
욕망에 끌리지 않고 진리를 찾아 멀리 떠나고 남들이 가르치는 다른 견해를 초월하여
아무것에도 걸리지 않은 완전한 사람은 공양을 받을 만합니다.
475
모든 사물의 이치를 깨달아 이미 그것으로 인한 고통이 존재하지 않소. 평안에 돌아가 집착을 버리고 해탈한
완전한 사람은 공양을 받을 만합니다.
476
번뇌의 속박과 이 세상에 태어남이 멸해 버린 궁극의 경지를 보고 육체의 욕망을 남김없이 끊고, 맑고 고요해서 결점과 티가 없이 투명하고 완전한 사람은 공양을 받을 만합니다.
477
자기 자신을 깊이 관찰하고 마음이 안정되고 신체가 곧아 스스로 편히 머물러 동요하지 않으며,
마음이 거칠지 않고 의혹이 없는 완전한 사람은 공양을 받을 만합니다.
478
어리석음으로 말미암아 일어나는 장애가 아무것도 없고 모든 것에 대해 알고 있으며 마지막 인간의 몸을 가지고
더없이 완벽한 깨달음을 얻은--이것만으로도 사람은 깨끗해진다--완전한 사람은 공양을 받을 만합니다."
479
"당신과 같은 베다에 뛰어난 사람을 만났으니, 저의 공양은 참 공양이 될 수 있습니다. 하늘의 신께서 증인이 되어 살펴 주십시오. 스승이시여, 원컨대 저의 공양을 받아 주십시오. 스승이시여, 저의 공양을 받아 주십시오."
480
"시를 읊어 얻은 것을 나는 먹을 수 없습니다. 바라문이여, 이것은 바르게 보는 사람들의 법이 아닙니다. 시를 읊어 얻은 것을 눈 뜬 사람들은 받지 않습니다. 바라문이여, 이것이 바로 눈 뜬 사람들의 생활 태도입니다.
481
완전에 이른 사람, 위대한 성자, 번뇌의 더러움을 없애고 나쁜 행위를 소멸시킨 사람에게는 다른 음식을 바치시오.
그것이야말로 공덕을 바라는 이의 복밭이오."
482
"스승이시여! 보시를 받을 수 있는 사람, 제사 때 찾아가 공양을 드릴 사람을, 당신의 가르침을 통해 알고 싶습니다."
483
"격정을 떠나 마음에 흐림이 없고 모든 욕망을 벗어나 근심을 없앤 사람.
484
한계의 끝(번뇌)을 눌러 생사를 다 알고 성인의 덕을 몸에 갖춘 그러한 성인이 제사 때 찾아오면
485
찌푸리지 말고 그에게 합장하여 인사하시오. 음식을 가지고 그를 공양하시오.
이러한 보시는 뜻을 이루게 하고 많은 보답을 가져올 것이오."
486
"눈을 뜬 당신은 공양을 받기에 마땅합니다. 당신은 으뜸가는 복밭이고 온 세상의 보시를 받으실 분입니다.
당신께 드린 공양은 많은 보답을 가져올 것입니다."
바라문 순다리카 바라드바자는 스승께 말씀드렸다. "훌륭하십니다, 고타마시여, 훌륭하십니다, 고타마시여,
마치 넘어진 사람을 일으켜 주듯이, 가려진 것을 벗겨 주듯이, 길을 잃은 자에게 길을 가리켜 주듯이, 그리고 '눈있는 이는 빛을 보리라'하면서 암흑 속에서 등불을 비춰주듯이, 고타마께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법을 보여 주셨습니다.
저는 고타마 당신께 귀의합니다. 그리고 진리와 도를 닦는 수행자의 모임에 귀의합니다.
저는 고타마께 출가하여 완전한 계율을 받겠습니다." 그리하여 바라문 순다리카 바라드바자는 스승께 출가하여 완전한 계율을 받았다. 그러더니 얼마 후에 이 장로 순다리카 바라드바자는 홀로 멀리 떠나 게으르지 않고 힘써 정진한 끝에 더없이 맑고 깨끗한 행의 궁극을---많은 사람들이 바로 그것을 얻기 위해 집을 떠나 집 없는 상태가 된 것인데--이 생에서 스스로 깨달아 이를 증명하고 실천하면서 세월을 보냈다. '태어나는 일은 이제 끝났다. 맑고 깨끗한 수행은 이미 완성되었다. 할 일을 다 마쳤다. 이제 두 번 다시 이런 생사를 받지 않는다'라고 깨달았다. 그래서 순다리카 바라드바자 장로는 성인의 한 사람이 되었다.
The Suttanipata 제 3 [ 큰 장 ]
72經中 삼십일번째經 [5. 젊은 마가의 물음 經 ]487-509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날 거룩한 스승께서는 왕사성의 수리봉에 계셨다. 그때 마가 청년은 스승이 계신 곳으로 가서 인사를 드렸다. 기쁘고 기억에 남을 만한 인사를 나눈 뒤 곁에 앉아 스승께 말했다.
"고타마시여, 저는 보시를 실행하는 시주이며 누구에게나 구하는 대로 베풉니다. 법에 따라 재물을 벌어 들이고 법에 의해서 얻은 재물을 한 사람에게도 주고 두 사람에게도 주고 세 사람, 네 사람, 다섯 사람, 여섯 사람, 일곱, 여덟, 아홉, 열 사람, 스무 사람, 서른, 마흔, 쉰 사람에게도 주고 백 사람에게도 주며 더 많은 사람에게도 나누어 줍니다. 고타마시여, 내가 이렇게 주고 이와 같이 바친다면 얼마나 많은 복과 덕을 얻겠습니까?" "젊은이여, 그대가 참으로 주고 그와 같이 바친다면 많은 복과 덕을 얻게 될 것이다. 누구든지 진정으로 나누어주는 시주이거나, 관대하여 구하는 대로 베풀며, 정당하게 재산을 얻고 그 재산을 한 사람 내지는 백 사람에게 나누어 주며, 더 많은 사람에게 나누어 주는 사람은 많은 복과 덕을 얻게 될 것이다." 마가 청년은 시로써 물었다.
487
마가 청년이 말했다. "가사를 입고 집 없이 다니는 너그러우신 스승 고타마께 저는 묻겠습니다. 보시를 구하는 이에게 보시하는 사람, 복과 덕을 구하고 복과 덕을 위해 공양을 바치는 사람이 남에게 음식을 베풀 때 누구에게 바치는 제물이 가장 깨끗합니까?"
488
스승은 대답하셨다. "마가여, 보시를 구하는 이에게 보시하는 사람, 복과 덕을 구하고 복과 덕을 위해 공양을 바치는 사람은, 이 세상에서 남에게 음식을 베풀 때 그것을 받는 사람들을 기쁘게 해주어야 한다."
489
마가 청년이 말했다. "보시를 구하는 이에게 보시하는 사람, 복과 덕을 구하고 복과 덕을 위해 공양을 바치는 사람이, 이 세상에서 남에게 음식을 베풀 때 마땅히 보시받을 사람이 누구인지 제게 말씀해 주십시오, 스승이시여."
490
"참으로 집착 없이 세상을 걸어가고 아무것도 가진 것 없이 자기를 다스리는 완전한 사람.
그들에게 때때로 공양을 바치라. 복과 덕을 구하는 바라문은 그들을 공양하라.
491
모든 속박을 끊고 자제하고 해탈하여 괴로움과 욕심이 없는 사람들. 그들에게 때때로 공양을 바치라.
복과 덕을 구하는 바라문은 그들을 공양하라.
492
모든 속박에서 벗어나 자제하고 해탈하여 괴로움과 욕심이 없는 사람들. 그들에게 때때로 공양을 바치라.
복과 덕을 구하는 바라문은 그들을 공야하라.
493
탐욕과 혐오와 어리석음을 버리고 번뇌의 더러움에서 벗어나 깨끗한 수행을 하는 사람들.
그들에게 때때로 공양을 바치라. 복과 덕을 구하는 바라문은 그들을 공양하라.
494
거짓도 없고 교만도 없고 탐욕을 떠나 내것이라고 집착하지도 않고 욕망을 가지지도 않은 사람들.
그들에게 때때로 공양을 바치라. 복과 덕을 구하는 바라문은 그들을 공양하라.
495
참으로 온갖 집착에 붙잡히지 않고 이미 거센 흐름을 건너 내것이라는 집착이 없이 다니는 사람들.
그들에게 때때로 공양을 바치라. 복과 덕을 구하는 바라문은 그들을 공양하라.
496
이 세상이나 저 세상이나 어떠한 세상에 있어서도 갖가지 생존에 대한 집착이 없는 사람들.
그들에게 때때로 공양을 바치라. 복과 덕을 구하는 바라문은 그들을 공양하라.
497
모든 욕망을 버리고 집 없이 다니며 자신을 절제하고 베틀의 북처럼 똑바른 사람들.
그들에게 때때로 공양을 바치라. 복과 덕을 구하는 바라문은 그들을 공양하라.
498
탐욕을 떠나 모든 감각을 안정시켜 달이 월식에서 벗어 나듯이 붙들리지 않는 사람들.
그들에게 때때로 공양을 바치라. 복과 덕을 구하는 바라문은 그들을 공양하라.
499
마음이 평화롭고 탐욕을 떠나 성내지 않으며 이 세상에서 생존의 모든 요소를 버리고 갈 곳이 없는 사람들.
그들에게 때때로 공양을 바치라. 복과 덕을 구하는 바라문은 그들을 공양하라.
500
생과 사를 남김없이 버리고 모든 의혹을 넘어선 사람들. 그들에게 때때로 공양을 바치라.
복과 덕을 구하는 바라문은 그들을 공양하라.
501
자기를 의지처로 하여 세상을 다니고 아무것도 가진 것없이 모든 것으로부터 해탈한 사람들.
그들에게 때때로 공양을 바치라. 복과 덕을 구하는 바라문은 그들을 공양하라.
502
'이것이 마지막 생존이고 다시는 생을 받지 않는다'라고 이 세상에서 분명히 알고 있는 사람들.
그들에게 때때로 공양을 바치라. 복과 덕을 구하는 바라문은 그들을 공양하라.
503
베다를 잘 알고 고요한 마음을 즐기며 생각이 깊고 깨달음을 얻어 많은 사람을 귀의시킨 사람들.
그들에게 때때로 공양을 바치라. 복과 덕을 구하는 바라문은 그들을 공양하라."
504
"참으로 제 질문은 헛되지 않았습니다. 참으로 보시받을 사람을 가르쳐 주셨습니다. 스승이시여,
당신께서는 이 모든 일들을 이 세상에서 분명히 알고 계십니다. 당신께서는 이 이치를 잘 알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505
마가 청년이 다시 말했다. "보시를 구하는 이에게 보시하는 사람, 복과 덕을 구하고 복과 덕을 위해 공양을 바치는 사람이, 이 세상에서 남에게 음식을 베풀 때 완전한 제사가 어떤 것인지를 저에게 가르쳐 주십시오, 스승이시여."
506
거룩한 스승은 대답하셨다. "마가여, 제사를 지내라. 제사를 지내는 사람은 어떤 경우라도 마음을 깨끗이 하라.
제사 지낼 사람이 전념할 일은 오로지 제사뿐이다. 그는 편안히 머물러 사악함을 버린다.
507
그는 탐욕에서 떠나 사악함을 누르고 한없는 자비심을 일으켜 밤낮으로 게으르지 않아서 그 마음이 사방에 가득 차게 한다."
508
"누가 깨끗해지고 해탈하는 것입니까. 누가 붙들려 얽매이는 것입니가. 무엇으로 인해 사람은 스스로 범천계에 이릅니까? 성인이시여, 몰라서 묻는 것이니 일러 주십시오. 스승이시여, 저는 지금 범천을 눈앞에 보았습니다.
진실로 당신은 범천과 같은 분이십니다. 밝은 빛을 지니신 분이여, 어떻게 하면 범천계에 태어날 수 있겠습니까?"
509
스승은 대답하셨다. "마가여, 세가지 조건을 갖춘 완전한 제사를 지낼 수 있는 사람은 보시받는 사람들을 기쁘게 한다. 보시를 베푸는 사람이 이처럼 바르게 제사를 지내다면 범천계에 태어날 것이다."
이와 같이 말씀하셨을 때, 마가 청년은 스승께 아뢰었다. "훌륭한 말씀입니다, 고타마시여, 훌륭한 말씀입니다, 고타마시여, 마치 넘어진 사람을 일으켜 주듯이, 덮인 것을 벗겨 주듯이, 길 잃은 이에게 길을 가르쳐 주듯이, 또는 '눈이 있는 사람은 빛을 보리라'하고 어둠 속에서 등불을 비춰 주듯이, 당신 고타마께서는 여러 가지 방편으로 진리를 밝혀 주셨습니다. 저는 당신께 귀의합니다. 그리고 진리와 도를 닦는 수행자들의 모임에 귀의합니다.
당신 고타마께서는 저희들을 재가 수행자로서 받아 주십시오. 오늘부터 목숨이 다할 때까지 귀의하겠습니다."
The Suttanipata 제 3 [ 큰 장 ]
72經中 삼십이경經[6. 방랑하는 수행자 사비야 經 ]
510-547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날 거룩한 스승께서는 왕사성 죽림원에 있는 다람쥐 사육장에 머물고 계셨다.
그때 방랑하는 수행자 사비야에게 한 신이 말했다. "사비야여, 사문이건 바라문이건 그대가 질문을 했을 때 분명히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이 있거든 그대는 그 밑에서 깨끗한 수행을 닦아라.
방랑하는 수행자 사비야는 그 신에게 그와 같은 말을 듣고 다음의 여섯 스승을 찾아가 물었다. 즉 뿌라나 깟사빠,막칼리 고살라, 아지따 께사깜발리, 빠꾸다 깟짜야나, 벨랏티족의 아들인 산자야, 나따족의 아들 니간타 인데, 그들은 사문이나 바라문으로서 많은 무리들을 이끄는 단체의 스승이었다. 명성이 있는 교파의 지도자이며 많은 사람들로부터 성인이라고 숭배를 받고 있었다.
그들은 방랑하는 수행자 사비야에게 질문을 받았지만, 만족스런 대답을 하지 못했다. 그뿐 아니라, 화를 내고 혐오와 근심의 빛을 감추지 못했으며, 도리어 사비야에게 반문을 했다. 그래서 사비야는 이렇게 생각했다.
'이 사문과 바라문들은 많은 무리를 이끄는 단체의 스승이며 명성이 있는 교파의 지도자로서 많은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내게서 질문을 받고도 만족스런 대답을 못했다. 뿐만 아니라, 화를 내고 혐오와 근심의 빛을 감추지 못했으며, 내게 도리어 반문을 했다. 나는 그만 집으로 돌아가 세속적인 욕망이나 누릴까 보다. 그러다가 사비야는 다시 이렇게 생각했다.
'여기 계신 사문 고타마도 많은 무리를 이끄는 단체의 스승이며 명성이 있는 교파의 지도자로서 많은 사람들로 부터 성인이라 숭배받고 있다. 고타마를 찾아가 물어 봐야겠다. 그러면서 사비야는 이런 생각도 했다.
'여기 있는 사문과 바라문들은 모두 장로이고 경험을 많이 쌓았으며 출가한 지도 퍽 오래되었따. 그런데도 내게 해답을 주지 못했는데, 어찌 사문 고타마가 내 물음에 똑똑히 답해 줄 수 있을까. 사문 고타마는 아직 젊고 출가한 지도 오래되지 않았는데...그러다가 사비야는 또 이렇게 생각했다.
'사문이 젊다고 해서 그를 우습게 보거나 경멸해서는 안된다. 그는 젊지만 사문이다. 그에게는 큰 신통과 위력이 있다. 나는 고타마에게 가서 물어 보리라. 그리하여 사비야는 왕사성을 향해 길을 떠났다. 죽림원 다람쥐 사육장에 계시는 거룩한 스승을 뵈었다. 기쁘고 기억에 남을 만한 인사를 나눈 뒤 한쪽에 앉아 스승께 시로써 물었다.
510
"의문이 있어 질문하고자 이곳에 왔습니다. 저를 위해 그 의문을 풀어 주십시오. 제가 물으면 차례대로 법에 따라 분명하게 대답해 주시겠습니까?"
511
스승은 대답하셨다. "당신은 질문을 하려고 멀리서 왔소. 당신을 위해 그것을 풀어 주리다.
당신이 물으면 차례대로 법에 따라 분명하게 대답해 주겠소.
512
사비야여, 무엇이든지 마음에 있는 것을 물어 보시오. 나는 낱낱이 물음에 대답해 드리리다.
이때 사비야는 생각했다.'참으로 놀라운 일이다. 정말 희한한 일이다. 내가 다른 사문이나 바라문에게서 들을 기회조차 얻지 못했는데, 사문 고타마께서는 그 기회를 주시는구나. 그는 기뻐하면서 스승께 물었다.
513
사비야가 물었다. "어떤 사람을 수행자라 부릅니까. 어떤 사람을 온화한 사람이라 할 수 있습니까. 어떤 사람을 자신을 절제한 사람이라 할 수 있습니까.
어떤 사람을 눈 뜬 사람이라 부릅니까. 스승이시여, 이것을 제게 설명해 주십시오.
514
스승은 대답하셨다. "사비야여, 스스로 도를 닦아 완전한 평화에 이르고 의혹을 뛰어넘고 생과 사를 버리고 청정한 수행을 하며 이 세상에 거듭 태어나지 않는 사람. 그를 '수행자'하 합니다.
515
모든 일에 차분히 마음을 가라앉혀 이 세상 아무것에도 해를 끼치지 않으며 거센 흐름을 건너 세속의 때에 더럽혀지지 않고 육체적 욕망이 일어나지 않는 사문. 그를 '온화한 사람'이라 합니다.
516
온 세상에서 안팎으로 모든 감각을 잘 다스리고 이 세상과 저 세상이 싫어 멀리하며,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수양하는 사람, 그는 자기를 '절제한 사람'입니다.
517
사비야가 물었다. "어떤 사람을 바라문이라 합니까. 어떤 사람을 사문이라 합니까. 어떤 사람을 목욕하는 사람이라고 부릅니까. 어떤 사람을 용이라고 부릅니까? 스승이시여, 제 물음에 대답해 주십시오."
519
스승은 말씀하셨다. "사비야여, 모든 악을 물리치고 때묻지 않고, 마음을 잘 가라앉혀 스스로 안정시키며, 윤회를 넘어서 완전한 자가 되어 걸림이 없는 사람, 그를 '바라문'이라 합니다.
520
절대 평화의 세계에 들어가 선과 악을 버리고 때묻지 않으며, 이 세상과 저 세상을 알고 생과 사를 초월한 사람, 이런 사람이야말로 '사문'입니다.
521
온 세상에서 안팎으로 모든 죄악을 씻어 버리고, 시간의 지배를 받는 신과 인간 속에 살면서도 시간에 얽매이지 않는 사람, 그를 '목욕하는 사람'이라 부릅니다.
522
세속에 있으면서 어떠한 죄악도 짖지 않고 온갖 얽힘을 풀어 버리고 모든 것에서 해탈한 사람, 이런 사람을 '용'이라 부릅니다. 그때 방랑하는 수행자 사비야는 스승의 말씀을 듣고 몹시 기뻐하며 환희에 차서 또다시 스승께 물었다.
523
사비야는 물었다. "무엇 때문에 밭의 승리자라 부릅니까. 무엇 때문에 뛰어난 사람이라 부릅니까. 무엇 때문에 현자라 부릅니까. 무엇 때문에 성인이라 부릅니까? 스승이시여, 제 물음에 대답해 주십시오."
524
스승은 대답하셨다. "사비야여, 하늘의 밭, 사람의 밭, 범천의 밭 등 모든 밭을 분별하고 모든 밭의 근본인 속박에서 벗어난 사람, 이런 사람이 바로 그 때문에 '밭의 승리자'라고 불립니다.
525
하늘의 곳간, 사람의 곳간, 범천의 곳간 등 모든 곳간을 분별하고 모든 곳간의 근본인 속박에서 벗어난 사람, 이런 사람이 바로 그 때문에 '뛰어난 사람'이라 불립니다.
526
안팎으로 흰 것을 알고 맑고 깨끗한 지혜가 있고 흑과 백을 초월한 사람, 이런 사람은 바로 그 때문에 '현자'라 불립니다.
527
안팎으로 바른 것과 그른 것을 알고 인간과 신의 숭배를 받아 집착의 그물을 벗어난 사람, 이런 사람은 바로 그 때문에 '성인'이라 불립니다."
그때 방랑하는 수행자 사비야는 스승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환희에 차서 또다시 스승께 물었다.
528
사비야가 물었다. "어떤 사람을 베다에 통달한 사람이라 부릅니까. 어떤 사람을 달관한 사람이라 부릅니까.
어떤 사람을 힘써 노력하는 사람이라 부릅니까. 어떤 사람을 힘써 노력하는 사람이라 부릅니까. 태생이 좋은 사람은 도대체 어떤 사람입니다까? 스승이시여, 이것들을 저에게 가르쳐주십시오."
529
스승은 대답하셨다. "사비야여, 사문이나 바라문들이 가지고 있는 모든 베다를 잘 이해해서 감수에 대한 욕심을 버리고 그 감수마저 초월한 사람, 그를 '베다에 통달한 사람'이라 부릅니다.
530
안팎으로 이름과 형태의 헛됨을 알아서 모든 병의 근원인 속박에서 벗어난 사람, 그런 사람을 바로 '달관한 사람'이라 부릅니다.
531
이 세상에서 모든 죄악을 떠나 지옥의 고통을 초월하고 부지런히 노력하는 사람, 힘을 다해 정진하는 현자, 그런 사람을 '힘써 노력하는 사람'이라 부릅니다.
532
안팎으로 집착의 근원인 모든 속박을 잘라 버리고 모든 집착의 근원인 속박에서 벗어난 사람, 그러한 사람을 바로 그 때문에 '태생이 좋은 사람'이라 부릅니다." 그때 방랑하는 수행자 사비야는 스승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환희에 가득 차서 또다시 스승께 물었다.
533
사비야가 물었다. "어떤 사람을 배움이 깊은 사람이라 부릅니까. 어떤 사람을 거룩한 사람이라 부릅니까. 또 어떤 사람을 행行이 갖추어진 사람이라 부릅니까. 방랑하는 수행자란 도대체 어떤 사람입니까? 스스이시여, 저에게 가르쳐 주십시오."
534
스승은 말씀하셨다. "사비야여, 가르침을 듣고 나서는 세상의 옳고 그른 모든 이치를 잘 알고 모든 일을 정복하는 사람, 의혹이 없는 사람, 해탈한 사람, 괴로움이 없는 사람을 '배움이 깊은 사람'이라 부릅니다.
535
모든 더러움과 장애를 끊은 지혜로운 이는 사람의 모태에 들지 않습니다. 세 가지 생각과 더러움을 털어 버리고 망상 분별을 하지 않는, 그런 사람을 '거룩한 사람'이라 부릅니다.
536
이 세상에서 여러 가지 할 일을 다하고 항상 이치를 알며 어떤 일에도 집착하지 않고 해탈하여 성냄이 없는 사람, 그를 "행이 갖추어진 사람"이라 부릅니다.
537
위로나 아래로, 또는 옆으로나 가운데로 모름지기 괴로움이 생기는 행위를 피하고, 법을 잘 알아 그대로 행동하고, 거짓과 교만한 마음과 탐욕과 성냄과 이름과 형태를 없애 버리고, 얻을 것을 얻은 사람, 그를 '방랑하는 수행자'라 부릅니다."
그때 방랑하는 수행자 사비야는 스승의 말씀을 듣고 몹시 기뻐하며 환희에 가득 차서 자리에서 일어나 옷을 왼쪽 어깨에 걸치고, 스승께 합장하며 다음과 같은 시로써 스승을 찬양하였다.
538
"사문들이 논쟁하고 있는 이름과 문자에 의해 생겨난 예순세 가지 다른 생각을 이기고, 지혜 많은 분은 거센 흐름을
건너셨습니다.
539
당신은 괴로움을 모두 없애고 피안에 이른 분입니다. 당신은 참사람이고 깨달은 분입니다. 당신은 번뇌의 때를 씻어 버린 분입니다. 당신에게는 빛이 있고 이해가 있고 지혜가 많이 있습니다. 괴로움을 없앤 분이시여, 당신은 저를 구해 주셨습니다.
540
당신은 저에게 의혹이 있는 것을 아시고 저를 의혹에서 건져 주셨습니다. 저는 당신께 예배 드립니다.
성인이시여, 성인의 길을 다하신 분이여, 마음이 거칠지 않은 태양의 후예시여, 당신은 인자하십니다.
541
제가 품었던 의문을 당신은 분명히 밝혀 주셨습니다. 눈이 있는 이여, 성인이시여, 참으로 당신은 깨달은 분입니다.
당신에게는 아무것도 장애 되는 것이 없습니다.
542
당신의 번민은 모두 사라졌습니다. 당신은 시원스럽고 잘 절제하고 흔들리지 않으며 성실하게 사는 분입니다.
543
코끼리 중에 왕이시며 위대한 영웅이신 당신께서 말씀하실 때 모든 신들은 나라다와 팝바타들과 함께 기뻐합니다.
544
고귀하신 분이시여, 당신께 예배 드립니다. 가장 뛰어난 분이시여, 당신께 예배 드립니다. 신들을 포함한 온 세상에서 당신에게 견줄 만한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545
고귀하신 분이시여, 당신께 예배 드립니다. 가장 뛰어난 분이시여, 당신께 예배 드립니다. 신들을 포함한 온 세상에서 당신에게 견줄 만한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545
당신은 깨달은 분입니다. 당신은 스승이십니다. 당신은 악마를 정복한 분이며 현자이십니다. 당신은 번뇌의 숨은 힘을 끊고, 스스로 거센 흐름을 건너셨고 또 사람들을 건네 주십니다.
546
당신은 속박을 뛰어넘었고 모든 번뇌의 더러움을 없앴습니다. 당신은 집착하지 않고 두려워 떨지 않는 사자입니다.
547
아름다운 흰 연꽃이 더러운 물에 물들지 않듯이, 당신은 선과 악 어느 것에도 물들지 않습니다. 용감한 분이시여,
두 발을 뻗으십시오. 사비야는 스승께 예배 드립니다." 방랑하는 수행자 사비야는 거룩한 스승의 두 발에 머리를 숙이고 절을 하며 말했다.
"훌륭한 말씀입니다, 고타마시여, 훌륭한 말씀입니다, 고타마시여. 마치 넘어진 사람을 일으켜 주듯이, 덮인 것을 벗겨 주듯이, 길 잃은 이에게 길을 가르쳐 주듯이, 또는 '눈이 있는 사람은 빛을 보리라'하고 어둠 속에서 등불을 비춰 주듯이, 당신 고타마께서는 여러 가지 방편으로 진리를 밝혀 주셨습니다. 저는 당신께 귀의합니다. 그리고 진리와 도를 닦는 수행자들의 모임에 귀의합니다. 저는 고타마 곁에 출가하여 완전한 계율을 받겠습니다."
"사비야여, 과거에 이교도였던 이가 내 가르침과 계율에 따라 출가하여 완전한 계율을 받고자 한다면, 그는 넉 달 동안 따로 살아야 합니다. 넉 달이 지난 후 괜찮다고 생각한다면, 여러 수행자는 그를 출가시키고 완전한 계율을 받게 해서 수행자가 되게 합니다. 그러나 이런 경우 사람에 따라 그 기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거룩한 스승이시여, 그러시다면 저는 넉 달이 아니라 네 해 동안이라도 따로 살겠습니다. 그래서 사 년이 지나 이제는 괜찮다고 생각하신다면, 여러 수행자들은 저를 출가시키고 완전한 계율을 받게 하여 수행자가 되게 해주십시오."
이렇게 해서 방랑하는 수행자 사비야는 그때 바로 스승앞에서 출가하여 완전한 계율을 받았다. 그후 얼마 되지 않아 이 장로 사비야는 사람들을 멀리하고 홀로 부지런히 정진하여, 마침내 수행의 최종적인 목표를 이 생에서 깨달아 증명하고 실천하며 살았다. '태어나는 일은 이제 끝났다. 수행은 이미 완성되엇따. 할 일을 다 마쳤다. 이제 또다시 이런 생사를 받지 않는다'하고 깨달았다. 그리하여 사비야 장로는 성인의 한 사람이 되었다.
The Suttanipata 제 3 [ 큰 장 ]
삼십삼경72經中 삼십삼경經 [7. 바라문 세라 經 ]548-573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날 스승께서는 수행자 천이백오십 인과 함께 앙굿타라파를 두루 다니시다가 아파나라고 하는 앙굿타라파의 한 마음에 들어가셨다. 머리를 땋은 수행자 케니야는 생각했다. '석가족의 아들인 사문 고타마는 석가족의 집에서 출가하여, 수행자 천이백오십 인의 큰 무리를 이끌고 두루 다니다가 아파나에 이르렀다. 그 고타마에게 다음과 같은 좋은 평판이 있다. 즉 그는 참사라, 깨달은 사람, 지혜와 덕행을 갖춘 사람, 행복한 사람, 세상을 알아 버린 사람, 더엇이 완벽한 사람, 사람들을 길들이는 이, 신과 인간의 스승, 눈 뜬 사람, 거룩한 스스이라고 불린다. 그는 스스로 진리를 깨닫고 증명하여 신, 악마, 범천을 포함한 이 세계와 사문, 바라문, 신, 인간을 포함하는
모든 살아있는 것들에게 가르침을 베푼다. 그는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마지막도 좋고, 말과 뜻이 잘 갖추어진 가르침과 원만하고 청정한 수행을 설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그토록 훌륭하고 존경받는 사람을 만나는 것은 영광스런 일이 아니겠는가.' 그래서 머리를 땋은 수행자 케니야는 스승이 계신 곳으로 가서 인사를 드렸다. 기쁘고 기억에 남을 만한 인사를 나눈 후에 한쪽에 가 앉았다. 스승께서는 머리를 땋은 수행장 케니야에게 법에 대한 말씀을 하시고 용기를 주어 기쁘게 해주셨다. 케니야는 스승께 이같이 말씀드렸다.
"고타마께서는 수행자의 무리와 함께 내일 제가 올리는 음식을 받아 주십시오." 이 말을 듣고, 스승은 케니야에게
말씀하셨다. "케니야여, 수행자의 무리는 많아서 천이백오십 인이나 됩니다. 또 당신은 바라문들을 섬기고 있지 않습니까?"케니야는 거듭 스승께 여주었다. "고타마시여, 수행자의 무리는 많아서 천이백오십 인이나 되며, 또 저는 바라문을 섬기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고타마께서는 수행자들과 함께 내일 제가 올리는 음식을 받아 주십시오."
스승은 케니야에게 거듭 말씀하셨다. "케니야여, 수행자의 무리는 많아서 천이백오십 인이나 되며, 당신은 바라문을 섬기고 있지 않습니까?" 케니야는 세번째로 스승께 여쭈었다. "고타마시여, 수행자의 무리는 많아서 천이백오십 인이나 되며, 또 저는 바라문을 섬기로 있습니다. 그렇지만 고타마께서 그들과 함께 오셔서 제가 올리는 음식을 받아 주십시오." 스승께서는 침묵으로써 승낙하셨다. 케니야는 스승께서 승낙하신 것을 알고 자리에서 떠나 자기의 암자오 갔다. 그리고는 친구와 친척들에게 말했다.
"여러분, 내 말을 들으십시오. 나는 사문 고타마를 그 수행자의 무리와 함께 내일 식사에 초대했습니다. 그러니 여러분은 나를 도와 주십시오." 케니야의 친구와 친척들은 승낙하고, 어떤 이는 솥을 걸고 장작을 패며, 어떤 이는 그릇을 씻고 독에 물을 길어다 붓고 혹은 자리를 준비했다. 그리고 케니야 자신은 천막을 쳐서 식당을 만들었다.
이때 세라 바라문이 아파나에 살고 있었는데, 그는 3베다의 깊은 뜻을 깨달아 어휘, 활용론, 음운론, 어원론과 제4의 아타르바 베다와 제5 고담의 어구와 문법에 통달하고, 순세론과 위인의 관상에 통달했으며, 삼백 명의 소년에게 베다를 그르치고 있었다. 케니야는 세라 바라문을 따르고 있었던 것이다. 마침 그때 세라 바라문은 삼백 명의 소년들에 둘러싸여 있었따. 그는 오랫동안 앉아 있었기 때문에 생긴 피로를 풀기 위해 여기저기 산책을 하다가 케니야의 암자에 가까이 가게 되었다.
세라 바라문은 케니야의 암자에 사는 머리를 땋은 친구와 친척들이 어떤 이는 솥을 걸고 장작을 패며, 어떤 이는 그릇을 씻고 독에 물을 길어다 붓고 혹은 자리를 준비하며, 케니야는 몸소 천막을 쳐서 식당을 만들고 있는 것을 보았다. 그래서 그는 케니야에게 물었다. "케니야여, 당신 아들이 장가라도 가는 것입니다까. 또는 딸이 시집이라도 가는 것입니까. 아니면 큰 제사가 있습니까. 또는 마가다 왕 세니야 빔비사라가 군대를 이끌고 내일 식사라도 하러 오게 돼 있습니까?" "세라여, 저는 아들을 장가 보내지도 않고 딸을 시집 보내지도 않으며, 또 마가다 왕 세니야 빔비사라를 초대하지도 않았습니다. 다름 아니라, 제게는 머지않아 큰 공양이 있습니다. 석가족의 아들인 사문 고타마가 석가족의 집에서 출가하여 앙굿타라파를 두루 다니다가 그를 따르는 수행자 천이백오십 인과 함께 아파나에 오셨습니다. 그 고타마에게는 이런 좋은 평판이 있습니다. 즉 그는 참사람, 깨달은 사람, 지혜와 덕행을 갖춘 사람, 행복한 사람, 세상을 알아 버린 사람, 더없이 완벽한 사람, 사람을 길들이는 이, 신과 인간의 스승, 눈 뜬 사람, 거룩한 스승이라고 불립니다. 저는 그분을 수행자들과 함께 내일 식사에 초대했습니다."
"케니야여, 당신은 그를 눈 뜬 사람이라 부릅니까?" "세라여, 나는 그를 눈 뜬 사람이라 부릅니다."
"케니야여, 당신은 그를 눈 뜬 사람이라 부릅니까?" "세사여, 나는 그를 눈 뜬 사람이라 부릅니다."
그때 세라 바라문은 생각했다. '눈 뜬 사람이란, 이 세상에서 그 목소리를 듣기조차 힘든 일이다. 그런데 우리들 성전 속에 위인의 상이 서른두가지 전해지고 있다. 그것을 갖추고 있는 위인에게는 단 두 가지 길이 있을 뿐 다른 길은 있을 수 없다. 만일 그가 세속의 생활을 한다면, 그는 전륜와이 되어 정의를 지키는 법왕, 세상의 정복자로서 나라와 백성을 안정시키는 법왕, 세상의 정복자로서 나라와 백성을 안정시키고 일곱 가지 보배를 갖게 될 것이다. 그러니까 그에게는 바퀴, 코끼리, 말, 구슬, 여자, 재산 그리고 지휘자라는 보배가 따를 것이다. 또 그에게는 천 명 이상의 아들이 있어 모두가 용감무쌍하며 적을 쳐부순다. 그는 이 대지를 사해의 끝에 이르기까지 무력을 쓰지 않고 정의로써 정복하고 지배한다. 그러나 그가 만일 집을 떠나 출가자가 된다면 참사람, 깨달은 사람이 되어 이 세상 온갖 번뇌를 없앨 것이다.' 세라는 케니야에게 물었다. "케니야여, 그럼 그 참사람, 깨달은 사람인 고타마께서는 지금 어디에 계십니까?" 케니야는 바른팔을 들어 세사 바라문에게 말했다. "세라여, 저쪽으로 가면 푸른 숲이 있습니다. 그분은 그 곳에 계십니다." 그리하여 세라 바라문은 삼백 명의 소년들과 함께 스승이 계신 곳으로 갔다. 그때 세라 바라문은 같이 온 바라문들에게 말했다. 그리하여 세라 바라문은 삼백 명의 소년들과 함께 스승이 계신 곳으로 갔다. 그때 세라 바라문은 같이 온 바라문들에게 말했다. "너희들은 천천히 걸어 소리를 내지 말고 따라오너라. 모든 스승은 사자처럼 홀로 거니는 분이며 가까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내가 사문 고타마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을 때 너희들은 중간에 끼여 들어서는 안 된다. 내 말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세라 바라문은 거룩하신 스승이 계신 곳으로 갔다. 스승께 절을 하고 나서 기쁘고 기억에 남을 만한 인사를 나눈뒤 한쪽에 가 앉았다. 그리고 세라 바라문은 스승의 몸에 서른두 가지 위인의 상이 있는지 살폈다. 그는 스승의 몸에서 단 두 가지 상을 빼고는 서른두 가지 위인의 상이 거의 갖추어져 있음을 보았다. 그는 그 두 가지 상이 과연 스승께 있는지 없는지 의심되어 '눈 뜬 사람'이라는 것을 믿을 수 없었다. 그 두 가지란 몸의 막 속에 들어 있는 음부와 광장설상이었다. 그때 스승은 생각하셨다. '이 세라 바라문은 내 몸에 있는 서른두 가지 위인의 상을 거의 보았지마, 단 두 가지는 보지 못했다. 몸의 막속에 들어 있는 음부와 광장설이라는 두 위인상이 과연 내게 있는지 없는지 의심하고, 눈 뜬 사람임을 믿지 않는구나.' 그래서 스승께서는 세라 바라문이 몸의 막 속에 들어 있는 음부를 볼 수 있도록 신통력으로 보이셨단. 그리고 혀를 내밀어 혓바닥으로 양쪽 귓속을 아래위로 핥으시고, 양쪽 콧구명을 아래위로 핥으시고, 또 이마를 핥으셨다. 세라 바라문은 이렇게 생각했다.
'사문 고타마는 서른두 가지 위인상을 완전히 갖추고 계시다. 그러나 나는 그가 부처님인지 아닌지는 아직 모르겠다. 다만 나는 늙고 나이가 많아, 스승이나 또는 그의 스승인 바라문들이, 모든 존경받는 사람과 깨친 사람은 자기가 칭찬받을 때는 자신을 나타낸다고 말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다. 그럼, 나는 적당한 시로써 사문 고타마를 그 앞에서 찬양하리라.' 그래서 세라 바라문은 적당한 시로써 스승의 앞에서 찬양하였다.
548
"스승이시여, 힘이 넘치는 이여, 당신의 몸은 완전하고 빛이 나며 보기에도 아름답습니다.
금빛으로 빛나며 이는 아주 하얗습니다.
549
그리고 훌륭한 사람의 특성은 모두 위인의 상으로서 당신 몸에 갖추어져 있습니다.
550
당신의 눈은 맑고 얼굴도 보기 좋으며 몸집은 크고 단정하며, 수행자들 속에서도 태양처럼 빛납니다.
551
당신은 보기에도 아름다운 수행자로 피부는 황금빛입니다. 이렇듯 용모가 훌륭한데 어찌 수행자가 되었습니까?"
552
당신은 전륜왕이 되어 군대를 거느리고 천하를 정복하여 잠부주(인도)의 통치자가 되셔야 합니다.
553
왕족이나 시골의 왕들은 당신께 충성을 맹세할 것입니다. 고타마시여, 왕 중의 왕으로서,
인류의 제왕으로서 세상을 다스리십시오."
554
스승은 대답하셨다. "세라여, 나는 왕이로되 더없는 진리의 왕입니다. 진리로써 바퀴를 굴리는 것입니다.
거꾸로 돌 수 없는 바퀴를."
555
세라 바라문이 말했다. "당신은 정각자라고 스스로 말씀하시고 계십니다. 고타마시여,
당신은 '더없는 진리의 왕이고, 진리로써 바퀴를 굴린다"고 말씀하십니다.
556
그렇다면 누가 당신의 장군입니까. 당신을 이어받을 제자는 누구입니까.
누가 당신의 뒤를 이어 이 진리의 바퀴를 굴릴 것입니까?"
557
스승은 대답하셨다. "세라여, 내가 굴린 더없는 진리의 바퀴를 사리풋타가 굴릴 것입니다.
그는 완전한 사람을 따라 나타난 사람입니다.
558
나는 알아야 할 것을 이미 알았고 닦아야 할 것을 이미 닦았으며 끊어야 할 것을 이미 끊어 버렸습니다.
그러므로 나는 부처입니다.
559
나에 대한 의혹을 푸십시오. 바라문이여, 그리고 나를 믿으십시오.
깨달은 사람들을 만나기란 아주 어려운 일입니다.
560
그들(눈 뜬 사람)이 세상에 나타나는 것을 그대들은 보기 어려운 일인데, 나는 바로 그 정각자입니다.
바라문이여, 나는 번뇌의 화살을 꺾어 버린 더없이 완벽한 사람입니다.
561
나는 신성한 사람이며, 비길 데가 없고, 악마의 군대를 물리쳤으며, 모든 적을 항복시켰고,
아무것에도 두려움없이 기뻐합니다."
562
세라는 제자들에게 말햇다. "너희들은 눈이 있는 이의 말씀을 들으라. 그는 번뇌의 사슬을 끊어 버린 사람이며
위대한 영웅이시다. 마치 사자가 숲속에서 포효하는 것과 같다.
563
신성한 분, 비길 데가 없고, 악마의 군대가 물리친 분을 보고 누가 믿지 않을 것인가.
피가가 검은 종족 출신이라도 믿으리라.
564
따르고 싶은 자는 나를 따르라. 그리고 따르고 싶지 않은 자는 떠나가거라.
나는 뛰어난 지혜를 가진 분에게 출가하겠다."
565
세라의 제자들은 말했다. "만일 스승님께서 깨달은 분의 가르침을 기뻐하신다면,
저희들도 또한 뛰어난 지혜를 가진 분에게 출가하겠습니다."
566
세사락 스승께 말했다. "저희들 삼백 명의 바라문은 합장하고 부탁합니다. 스승이시여, 저희들은 당신 곁에서
깨끗한 수행을 닦겠습니다."
567
스승이 말씀하셨다. "세라여, 깨끗한 수행은 잘 설해져 있습니다. 그것은 눈 앞에 당장 열매를 가져옵니다.
도를 닦는 사람이 게으르지 않고 출가하여 깨끗한 수행을 닦는 것은 헛된 일이 아닙니다."
세라 바라문은 제자들과 함께 스승 곁에 출가하여 완전한 계율을 받았다. 한편 머리를 땋은 수행자 케니야는
그날 밤이 지나자 자기 암자에 여러 가지 맛있는 음식을 차려 놓고 스승께 시간이 된 것을 알렸다.
"고타마시여, 시간이 되었습니다. 공양 준비가 되었습니다."스승은 오전 중에 속옷과 겉옷을 입고 바리때를 드시고 머리를 땋은 수행자 케니냐의 암자로 가셨다. 그리고 수행자의 무리와 함께 미리 마련된 자리에 앉으셨다. 케니야는 부처님과 수행자들에게 손수 맛좋은 음식을 나르면서 마음껏 들도록 권했다. 그리고 케니야는 스승께서 공양을 마치시고 바리때에서 손을 떼시자 스승의 발치에 앉았다.
스승은 다음과 같은 시로써 케니야에게 감사의 말씀을 하셨다.
568
"불에 대한 공양은 공양 중에도 가장 으뜸입니다. 사비트리는 베다이 시구 중에서 으뜸이고, 왕은 사람 중에서
으뜸이며, 큰 바다는 모든 강 중에도 으뜸입니다.
569
달은 별들 중에서 으뜸이며, 태양은 빛나는 것 중에서 으뜸이고, 수행자들은 복과 덕을 바라고
공양하는 사람들 중에서 가장 으뜸입니다."
스승은 이러한 시를 읊어 케니야에게 감사의 뜻을 말씀하시고 자리에서 일어나 돌아가셨다.
세라 장로는 자기를 따르던 무리들을 떠나 홀로 부지런히 정진하여 마침내 수행의 최종적인 목표를 이 생에서
깨달아 증명하고 실천하며 살았다. '태어나는 일은 이제 끝났다. 수행은 이미 완성되었다. 할 일을 다 마쳤다.
이제 또다시 이런 생사를 받지 않는다'라고 깨달았다. 그리하여 세라 장로는 그의 무리와 함께 성인의 한 사람이
되었다. 그후 세라 장로는 그의 무리들과 함께 스승이 계신 곳으로 갔었다. 그리고 옷을 왼쪽 어깨에 걸치고,
스승께 합장하며 다음의 시로써 여쭈었다.
570
"스승이시여, 눈이 있는 분이시여. 오늘부터 여드레 전에 우리는 당신께 귀의했습니다. 그리고 일곱 밤을 지나
우리는 당신의 가르침 속에서 안정을 얻었습니다.
571
당신은 깨달은 분이십니다. 당신은 스승이십니다. 당신은 악마를 정복한 분이며 현자이십니다. 당신은 번뇌의 숨은 힘을 끊고 스스로 거센 흐름을 건너셨고, 또 사람들을 건네 주십니다.
572
당신은 속박을 뛰어넘었고 모든 번뇌의 더러움을 없앴습니다. 당신은 집착하지 않고 두려워 떨지 않는 사자입니다.
573
이들 삼백 명의 수행자는 합장하고 서 있습니다. 용감한 분이시여, 두 발을 뻗으십시오. 여러 용들에게 스승께 예배 드리도록 하렵니다."
The Suttanipata 제 3 [ 큰 장 ]
삼십사경72經中 삼십사경經 [12. 화살 經 ]574-593
574
사람의 목숨은 정해져 있지 않아 얼마를 살지 아무도 모른다. 사람의 삶은 애처롭고 짧으며 고뇌로 엉켜 있다.
575
태어난 것은 죽음을 피할 길이 없다. 늙으면 죽음이 찾아온다. 생이 있는 자의 운명은 실로 이런 것이다.
576
익은 과일은 빨리 떨어진다. 그와 같이 한번 태어나 자는 죽지 않으면 안 된다.
그들에게는 항상 죽음의 두려움이 있다.
577
이를테면 옹기장이가 만든 질그릇이 마침내는 모두 깨어지고 말듯이 사람의 목숨도 또한 그러하다.
578
젊은이도, 늙은이도, 어리석은, 이도 지혜로운 이도 모두 죽음에는 굴복하고 만다. 모든 사람은 반드시 죽는다.
579
그들은 죽음에 붙잡혀 저 세상으로 가지만, 아비도 그 자식을 구하지 못하고 친척도 그 친척을 구하지 못한다.
580
보라, 친척들이 애타는 마음으로 지켜보지만, 사람들은 하나씩 도살장으로 끌려가는 소처럼 사라져 간다.
581
이렇듯 세상 사람들은 죽음과 늙음으로 인해서 고통받는다.
그러나 지혜로운 이는 이것의 참모습을 잘 알고 슬퍼하지 않는다.
582
그대는 온 사람의 길을 모르고, 간 사람의 길도 모른다. 그대는 생과 사 양쪽 끝을 보지 못하고 부질없이 슬피운다.
583
어리석음에 붙들려 자기 몸을 해치는 사람이 슬피 울어서 무슨 이익이라도 생긴다면, 지혜로운 사람도 이미 그렇게 했을 것이다.
584
슬피 우는 것으로는 마음의 평안을 얻을 수 없다. 다만 괴로움만 깊어지고 몸만 여윌 따름이다.
585
괴로워할수록 몸은 여위고 추하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죽은 사람이 살아나는 것도 아니므로 슬피 우는 것은 아무 이득도 없는 일이다.
586
슬픔을 버리지 않는 사람은 점점 더 괴로워질 뿐이다. 죽은 사람 때문에 우는 것은 슬픔에 사로잡힌 것이다.
587
자신이 지은 업에 따라 죽어가는 사람들을 보라. 또 살아있는 자는 죽음에 붙잡혀 떨고 있지 않은가.
588
사람들이 어떤 것을 희망할지라도 결과는 다르게 나타난다.
기대에 어긋나는 것도 이와 같느니라. 보라, 세상의 저 모습을!
589
사람이 백 년을 살거나 그 이상을 산다 할지라도 결국은 친족들을 떠나 이 세상에서의 생명을 버리게 된다.
590
그러므로 존경하는 사람의 말씀을 듣고, 죽은 사람을 보았을 때에는 '그에게는 이미 내 힘이 미치지 못하게 되었구나'라고 깨달아 슬퍼하거나 탄식하지 말라.
591
집에 불이 난 것을 물로 꺼 버리듯, 지혜로우운 사람들은 걱정이 생기면 이내 지워 버린다.
마치 바람이 솜털을 날려 버리듯이.
592
진정한 즐거움을 구하는 사람은 슬픔과 욕심과 걱정을 버리라. 번뇌의 화살을 뽑으라.
593
번뇌의 화살을 뽑아 버리고 마음의 평안을 얻는다면, 모든 걱정을 초월하여 근심 없는자,
절대 평화의 세계에 들어간 자가 될 것이다.
The Suttanipata 제 3 [ 큰 장 ]
삼십오경72經中 삼십오경經[9. 젊은이 바셋타 經 ] 594-656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날 거룩한 스승께서는 잇차낭갈라 숲에 살고 계셨다. 그때 재산이 많고 유명한
바라문들이 그곳에 많이 살고 있었다. 즉 찬킨 바라문, 타루카 바라문, 폭카라사티 바라문, 자눗소니 바라문, 토데야 바라문, 이밖에 저명한 바라문들이었다. 그때 바셋타와 바라드바자라고 하는 두 젊은이가 오랫동안 앉아 있었기 때문에 생긴 피로를 풀기 위해 여기저기 거닐면서 논쟁을 벌였다. "도대체 바라문이란 어떤 것인가?" 바라드바자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아버지와 어머니 양쪽이 다 칠 대의 조상에 이르기까지 혈통에 대해서 지탄이나 비난을 받은 일이 없는 순수한 모태에서 태어난 사람, 이런 사람을 바라문이라 합니다.바셋타는 말했다.
"계율을 지키며 덕행을 갖추고 있는 사람, 바로 이런 사람이 바라문입니다."
바라드바자는 바셋타를 설득할 수 없었고, 바셋타도 바라드바자를 설득할 수 없었다. 그래서 바셋타는 바라드바자에게 말했다. "바라드바자여, 석가족의 아들인 사문 고타마는 출가하여 이곳 잇차낭갈라 숲에 살고 있습니다. 그 고타마에게는 다음과 같은 좋은 평판이 있습니다. 즉 그는 참사람, 깨달은 사람, 지혜와 덕행을 갖춘 사람, 행복한 사람, 세상을 알아 버린 사람, 더없이 완벽한 사람, 사람들을 길들이는 이, 신과 인간과 스승, 눈 뜬 사람, 거룩한 스승이라고 불립니다. 사문 고타마에게 가 봅시다. 거기 가서 그분에게 이것을 물어 봅시다. 그의 대답에 따라 그것을 믿읍시다." 그들은 스승이 계신 곳으로 찾아갔다. 스승께 절하고 나서, 기쁘고 기억에 남을 만한 인사를 나눈 뒤 한쪽에 앉았다. 바셋타 바라문은 다음과 같은 시로써 스승게 여쭈었다.
594
"우리 두 사람은 3베다의 학자라고 스승도 인정하고 스스로도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저는 폭카라사티의 제자이고 이 사람은 타루카의 제자입니다.
595
3베다에 쓰여 있는 모든 것을 우리는 완전히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베다의 어구와 문법에 통달했고 독송도 스승에게 견줄 만합니다.
596
고타마시여, 그러한 우리가 태생에 대한 논쟁을 했습니다. '태생에 따라 바라문이 된다'고 바라드바자는 말합니다.
그러나 저는 '행위에 따라 바라문이 된다'고 주장합니다. 눈이 있는 분이시여, 이런 사정임을 알아 주십시오.
597
우리 두 사람은 서로 상대방을 설득시킬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눈 뜬 사람으로 널리 알려진 스승께 물으러 온 것입니다.
598
사람들이 보름달을 향해 합장하고 절하듯이, 세상 사람들은 고타마를 향해 절합니다.
599
세상의 눈으로 출현하신 고타마께 우리는 묻습니다. 태생에 따라 바라문이 됩니까, 행위에 따라 바라문이 됩니까? 알지 못하는 우리에게 말씀해 주십시오. 바라문이 무엇인가를 알 수 있도록."
600
스승은 대답하셨다. "바셋타여, 그대들을 위해 모든 생물에 대한 구별을 설명해 주리라. 그들에게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 것은 태생이 여러 가지로 다르기 때문이다.
601
풀이나 나무에도 종류의 구별이 있음을 알아라. 그러나 그것들은, '우리는 풀이다'라든가 '우리는 나무다'라고 주장하지 않는다. 그들의 특징은 태생에 따르고 있는데, 그들의 태생이 여러 가지로 다르기 때문이다.
602
또 구더기나 귀뚜라미로부터 개미에 이르는 것들에도 종류의 구별이 있음을 알아라. 그들의 특징은 태생에 따르고 있는데, 그들의 태생이 여러 가지로 다르기 때문이다.
603
작은 것이나 큰 것이나 네 발 달린 짐승에게도 종류의 구별이 있음을 알아라. 그들의 특징은 태생이 따르고 있는데, 그들의 태생이 여러 가지로 다르기 때문이다.
604
배로 기어다니는 길이가 긴 것들에도 종류의 구별이 있음을 알아라. 그들의 특징은 태생에 따르고 있는데, 그들의 태생이 여러 가지로 다르기 때문이다.
605
물에서 태어나 물에서 사는 물고기들도 종류의 구별이 있음을 알아라. 그들의 특징은 태생에 따르고 있는데.
그들의 태생이 여러 가지로 다르기 때문이다.
606
그리고 날개를 펴고 하늘을 나는 새들에도 종류의 구별이 있음을 알아라. 그들의 특징은 태생에 따르고 있는데,
그들의 태생이 여러 가지로 다르기 때문이다.
607
이와 같이 생물에 있어서는 태생에 따른 특징이 여러 가지로 다르지만, 사람에게는 그 특징이 다를 수 없다.
608
머리카락이나 머리, 귀, 눈, 코, 입술이나 눈썹에 대해서도.
609
목이나 어깨, 배, 등, 엉덩이, 가슴, 음부에 대해서도.
610
손이나 발, 손가락, 손톱, 종아리, 허벅지, 피부색이나 음성에 대해서도, 다른 생물처럼 태생에 따른 특징의 구별이
사람에게는 결코없다.
611
몸을 가지고 태어난 생물 사이에는 각기 구별이 있지만, 인간에게는 그런 구별이 없다. 인간 사이에서 구별이 있는
것은 다만 그 이름뿐이다.
612
인간 가운데서 소 치는 것으로 사는 사람이 있다면
그를 농부라 부르지 바라문이라 부르지 않음을 알아라, 바셋타여.
613
인간 가운데서 여러 가지 기술로 생활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를 기술자라 부르지 바라문이라 부르지 않음을 알아라, 바셋타여.
614
인간 가운데서 사고 파는 것으로 생활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를 상인이라 부르지 바라문이라 부르지 않음을 아님을 알아라, 바셋타여.
615
인간 가운데서 남의 일을 해주는 것으로 생활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를 고용인이라 부르지 바라문이라 부르지 않음을 알아라, 바셋타여.
616
인간 가운데서 훔친 것을 가지고 생활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를 도둑이라 부르지 바라문이라 부르지 않음을 알아라, 바셋타여.
617
인간 가운데서 무술로 생활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를 무사라 부르지 바라문이라 부르지 않음을 알아라, 바셋타여.
618
인간 가운데서 제사 지내는 것으로 생활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를 제관이라 부르지 바라문이라 부르지 않음을 알아라, 바셋타여.
619
인간 가운데서 마을이나 나라를 차지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를 왕이라 부르지 바라문이라 부르지 않음을 알아라, 바셋타여.
620
나는 바라문의 어머니에게서 태어났기 때문에 그를 바라문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그는 '그대여, 라고 불리는 사람'이라 불린다.
그는 무엇인가 소유물에 걸려 있다.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고 집착이 없는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21
모든 속박을 끊고 두려움이 없으며, 집착을 초월하고 어디에도 구속되지 않은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22
고삐와 함께 가죽끈과 가죽줄을 끊어 버리고 어리석음을 없애 눈을 뜬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23
죄 없이 욕을 먹고 구타나 구속을 참고 견디며, 인내력이 있고 마음이 굳센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24
성내지 않고 도덕을 지키며 계율에 따라 욕심을 부리지 않고 몸을 잘 다스려 '최후의 몸'에 이른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25
연꽃 위의 이슬처럼, 송곳 끝의 겨자씨처럼, 온갖 욕정에 더럽혀지지 않는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26
이 세상에서 이미 자기의 고뇌가 소멸된 것을 알고 무거운 짐을 내려놓고 걸림이 없는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27
지혜가 깊고 현명하며 온갖 길에 통달해 최고의 목적에 도달한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28
재가자나 출가자 누구하고도 섞이지 않고, 집 없이 두루 다니며 욕심이 없는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29
힘세거나 약한 어느 생물에게도 폭력을 쓰지 않고, 또 죽이거나 죽이도록 하지도 않는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30
적의를 품은 자들과 함께 있으면서도 그들에게 적의를 품지 않고, 폭력을 휘두르는 자와 함께 있으면서도
마음이 온화하며, 집착하는 자들과 함께 있으면서도 집착하지 않는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31
겨자씨가 송곳 끝에서 떨어지듯이, 집착과 증오와 오만과 거짓을 털어 버린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32
거칠지 않고 사연을 전하는 데 진실한 말을 하며 말로써 남의 감정을 상하게 하지 않는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33
이 세상에서 길거나 짧거나, 가늘거나 굵거나, 깨끗하거나 더러운 것을 막론하고 주지 않은 것은 어떤 것이라도
갖지 않는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34
현세도 내세도 바라지 않고, 욕심도 걸림도 없는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35
집착이 없고 완전히 깨달아 의혹이 없고 불사의 경지에 도달한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36
이 세상의 재앙이나 복과 덕, 그 어느 것에도 집착하지 않고 근심과 티가 없이 깨끗한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37
구름에 가리지 않는 달처럼, 깨끗하고 맑아 환락의 생활을 끝낸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38
이 힘들고 어려운 길, 윤회와 헤맴을 넘어 피안에 이르고, 깊이 명상하여 욕망도 집착도 없이 마음이
고요한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39
이 세상에 대한 욕망을 끊고 집을 떠나 두루 다니며 욕망의 생활을 끝낸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40
이 세상에 대한 집착을 끊고 집을 떠나 두루 다니며 집착의 생활을 끝낸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41
인간의 인연을 끊고 천상의 인연도 끊어 모든 굴레를 벗어 던진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42
쾌락도 쾌락 아닌 것도 버리고, 맑고 깨끗해져 얽매임 없이 세상을 이겨 낸 영웅,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43
모든 살아 있는 생물의 생사를 알고 집착 없이 행복한 사람, 깨달은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44
신도 귀신(간다르바)도 인간도 그 행방을 알 수 없는 사람, 번뇌의 더러움을 씻어 버린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45
과거에도 현재에도 미래에도 단 하나의 물건도 갖지 않고 집착하지 않는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46
황소처럼 늠름하고 기품 있는 영웅, 위대한 성자, 도의 승리자, 욕망 없는 사람, 목욕하는 사람, 깨달은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47
삶의 모든 일을 알고 천국과 지옥을 보며 생존을 멸해버린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648
세상에서 쓰는 이름이나 성은 부르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사람이 태어나는 그때마다 임시로 붙여지는 것이다.
649
이름이나 성이 임시로 붙여진 것임을 모르는 사람은 그릇된 선입견을 오래 가지게 된다. 모르는 사람은 말한다.
'태생에 의해서 바라문이 된다'고.
650
태생에 의해 바라문이 되는 것은 아니다. 태생에 의해 바라문이 안 되는 것도 아니다. 행위로 인해 바라문이 되기도 하고, 행위로 인해 바라문이 안 되기도 하는 것이다.
651
행위에 의해 농부가 되고, 행위에 의해 기술자가 되며, 행위에 의해 상인이 되고, 또한 행위에 의해 고용인이 된다.
652
행위에 의해 도둑이 되고, 행위에 의해 무사가 되며, 행위에 의해 제관이 되고, 행위에 의해 왕이 된다.
653
현자는 이와 같이 행위를 있는 그대로 본다. 그들은 '연기緣起'를 보는 자이며, 행위와 그 결과를 잘 알고 있다.
654
세상은 행위에 의해 존재하며, 사람들도 행위에 의해서 존재한다. 살아 있는 모든 것은 행위에 매여 있다.
마치 달리는 수레바퀴가 축에 매여 있듯이.
655
고행과 청정한 수행과 감각의 절제와 자제, 이것으로 바라문이 된다. 이것이 으뜸가는 바라문이다.
656
지식인들이 볼 때 3베다를 갖추고 마음 편안하여 다시는 이 세상에 태어나지 않는 사람이 범천이며 제석천이다.
바셋타여, 이러한 줄을 알아라.
이와 같은 말씀을 듣고 바셋타와 바라드바자 청년은 스승께 말씀드렸다.
"훌륭한 말씀이십니다. 고타마시여, 훌륭한 말씀이십니다, 고타마시여. 마치 넘어진 사람을 일으켜 주듯이, 덮인 것을 벗겨 주듯이, 길 잃은 이에게 길을 가르쳐 주듯이, 또는 '눈이 있는 사람은 빛을 볼 것이다'하고 어둠속에서 등불을 비춰 주듯이, 당신 고타마께서는 여러 가지 방편으로 진리를 밟혀 주셨습니다. 저희는 당신께 귀의합니다.
그리고 진리와 도를 닦는 수행자의 모임에 귀의합니다.
당신 고타마께서는 저희들을 재가 수행자로서 받아 주십시오. 오늘부터 목숨이 다할 때까지 귀의하겠습니다."
The Suttanipata 제 3 [ 큰 장 ]
삼십육경 72經中 삼십육경經
[10. 비난하는 사람 코칼리야 經 ]657-678
이와 같이 나는 들었따. 어느 날 거룩한 스승께서는 사밧티의 제타 숲, 외로운 사람들에게 먹을 것을 나누어 주는
장자의 동산에 계셨다. 그때 수행자 코칼리야는 스승께 가까이 다가왔다.
그리고 예의를 갖춰 절한 뒤, 한쪽으로 가서 앉아 말씀드렸다.
"거룩한 스승이시여, 사리풋타와 목갈리나는 그릇된 생각을 가지고 나쁜 욕망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이 말을 들은 스승은 수행자 코칼리야에게 일렀다.
"코칼리야여, 그렇게 말하지 말아아. 코칼리야여, 그렇게 말하지 말아라.
사리풋타와 목갈리나는 선량한 사람들이다."
코칼리야는 거듭 말씀드렸다. "거룩한 스승이시여, 저는 스승을 믿고 의지하고 있습니다만, 사리풋타와 목갈리나는 그릇된 생각을 가지고 나쁜 욕망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스승은 다시 수행자 코칼리야에게 말씀하셨다. "코칼리야여, 그렇게 말하지 말아라. 사리풋타와 목갈라나를 믿고 사랑하여라. 그들은 선량한 사람들이다."
코칼리야는 세번째로 말씀드렸다. "거룩하신 스승이시여, 저는 스승을 믿고 의지하고 있습니다만, 사리뭇타와 목갈라나는 그릇된 생각을 가지고 나쁜 욕망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스승께서는 세 번 같은 말씀을 하셨다. "코칼리야여, 그렇게 말하지 말아라. 그들을 믿고 사랑하여라. 그들은 선량한 사람들이다."
그러자 수행자 코칼리야는 자리에서 일어나 스승께 절하고 바른쪽으로 돌아 나가 버렸다. 그는 나가자마자 온몸에 겨자씨만한 종기가 생겼다. 처음에는 겨자씨만하던 것이 차차 팥알만해졌다. 팥알만하던 것이 또 콩알만해졌다.
그러더니 대추씨만해지고 대추알만해졌다. 이와 같이 감자만해지고 덜 익은 모과 열매만해지고 익은 모과만하던 것이 마치내 터져서 거름과 피가 되어 흘렀다. 코칼리야는 마침내 그 병 때문에 죽고 말았다. 그리고 그는 사리풋타와 목갈라나에게 적의를 품었기 때문에 죽어서 홍련지옥에 떨어지게 되었다.
그때 사바 세계의 주인인 범천은 한밤중이 지났을 무렵, 아름다운 얼굴로 제타 숲을 두루 비추며 스승이 계신 곳으로 찾아갔다. 스승께 예를 갖춰 인사를 드린 뒤, 한쪽에 서서 말했다.
"거룩하신 스승이시여, 수행자 코칼리야는 죽었습니다. 거룩하신 스승이시여, 수행자 코칼리야는 사리풋타와 목갈리나에게 적의를 품었기 때문에 죽어서 홍련지옥에 떨어졌습니다." 사바 세계의 주인인 범천은 이렇게 말하며 스승께 절하고 바른쪽으로 돌아 사라졌다.
날이 밝자 스승은 여러 수행자들에게, 어젯밤에 범천이 왔던 일을 말씀하셨다. 그때 한 수행자가 이렇게 말했다.
"거룩한 스승이시여, 홍련지옥의 수명은 얼마나 됩니까?" "수행자여, 홍련지옥의 수명은 길다. 그것을 몇 년이라든가, 몇백 년, 몇천 년, 몇만 년이라고 헤어리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거룩한 스승이시여, 그렇지만 비유로써 설명하실 수는 있지 않습니까?" "그렇다. 그렇게는 말 할 수 있다."하시면서 스승은 말씀하셨다. "수행자여, 이를테면 코살라국의 말로 되어서 스무 카리카(한 수레분)의 깨가 있는데, 그것을 꺼낸다고 하자. 한 사람이 백 년마다 한 알씩 거내는 방법으로 스무 카리카의 깨를 다 꺼낸다 하면 그것이 한 압부다지옥이다. 그리고 스무 압부다지옥은 한 니랍부다지옥과 같다. 또 스무니랍부다지옥은 한 아바바지옥이며, 스무 아바바지옥은 한 아하하지옥, 스무 아하하지옥은 한 아타타니옥이며, 스무 아타타지옥은 한 황련지옥과 같고, 스무 황련지옥은 한 백수련지옥과 같으며, 스무 백수련지옥은 한 청련지옥, 스무 청련지옥은 한 백련지옥과 같다. 그래서 스무 백련지옥은 한 홍련지옥에 해당된다. 수행자들이여, 그런데 코칼리야는 사리풋타와 목갈리나에게 적의를 품었기 때문에 홍련지옥에 떨어진 것이다." 행복한 사람인 스승은 다시 말씀을 이으셨다.
657
사람이 태어날 때는 그 입 안에 도끼를 가지고 나온다. 어리석은 자는 욕설을 함으로써, 그 도끼로 자신을 찍고 만다.
658
비난받을 사람을 칭찬하고 또 칭찬해야 할 사람을 비난하는 사람,
그는 입으로 죄를 짓고 그 죄 때문에 즐거움을 누리지 못한다.
659
도박으로 재산을 잃는 자는, 자기 자신까지 포함해 모든 것을 잃는다 하더라도 그 불행이 오히려 적다.
그러나 완전한 경지에 이른 사람에게 악의를 품는 사람의 죄는 아주 무겁다.
660
나쁜 말 또는 나쁜 뜻을 가지고 성인을 비방하는 사람은, 십만삼십육 니랍부다지옥과 다섯 압부다지옥에 떨어진다.
661
거짓말을 하는 자는 지옥에 떨어진다. 또 했으면서 안 했다고 하는 자도 마찬가지다. 둘 다 똑같이 행동이 비열한 사람들이라, 죽은 후에는 똑같은 지옥에 떨어진다.
662
남을 해칠 마음이 없고 깨끗하고 더럽혀지지 않은 사람을 미워하는 자에게는 반드시 그러한 나쁜 과보가 되돌아온다. 바람을 거슬러서 먼지가 날아오는 것처럼.
663
여러 가지 탐욕에 빠져 믿음도 없고 인색하며 불친절하고 이기적이며 이간질을 하는 사람은 말로써 남을 때리는 것과 같다.
664
입이 더럽고 불성실하며 천한 자여, 산 것을 죽이고 사악한 행위를 하는 자여, 야비하고 불량하며 덜된 자여,
말을 함부로 하지 말아라. 그대는 지옥에 떨어지리라.
665
그대는 먼지를 뿌려서 세상을 더럽히고 착한 사람들을 비난하여 죄를 지으며 온갖 나쁜 일을 하여
오랫동안 깊은 구령(지옥)에 빠진다.
666
그 어떤 업도 그대로 없어지지 않는다. 그것은 반드시 그 임자에게 되돌아온다. 어리석은 자는 이 세상에서 죄를 짓고 저 세상에서 그 괴로운 죄가를 받는다.
667
지옥에 떨어진 자는 쐬꼬챙이에 꿰이고, 날카로운 철창에 찔린다. 또한 불에 달군 쇳덩이를 속세에서 지은 업만큼 먹어야 한다.
668
지옥의 옥졸들은 '잡아라!' '때려라!' 소리칠 뿐 부드러운 말을 하지 않으며 상냥한 얼굴로 대해 주지 않고 의지가 되어 주지 않는다. 지옥에 떨어진 자는 숯불 위에 앉아야 하며 뜨거운 불길 속에 들어가야 한다.
669
또한 지옥의 옥졸들은 지옥에 떨어진 사람들을 철망에 몰아넣은 뒤 쇠망치로 내려친다. 그리고는 새까만 암흑속에 가두는데, 그 어둠은 안개처럼 끝없이 퍼져 있다.
670
또 다음에는 펄펄 끊어오르는 가마솥에 들어가야 한다. 오랫동안 그 끓는 가마솥 안에서 삶기면서 몸은 떴다
가라앉았다 한다.
671
피고름이 가득 찬 솥이 있어, 죄를 지은 자는 그 속에서 삶긴다. 그는 어디로 가든지 피고름 때문에 더렵혀진다.
672
구더기가 우글거리는 가마솥이 있어, 죄를 지은 자는 그 안에서 삶긴다. 나오려 해도 붙잡을 것이 없다.
그 솥은 안으로 굽고 둘레가 모두 한결같기 때문이다.
673
날카로운 칼날로 된 숲이 있어, 지옥에 떨어진 자는 그 속에서 팔다리가 잘린다.
지옥의 옥졸들은 꼬챙이로 혀를 꿰어 잡아당기면서 괴롭힌다.
674
또 지옥에 떨어진 자는 예리한 면도칼이 흐르는 베다라니 강에 이른다.
어리석은 사람들은 나쁜 일을 하고 죄를 지음으로써 그곳에 떨어진다.
675
그곳에는 검은 개와 늑대와 여우들이 있어 울부짖는 사람들을 뜯어먹는다.
또 독수리와 까마귀들도 살을 쪼아 먹는다.
676
죄를 지은 자가 살아야 하는 지옥에서의 삶은 실로 비참하기 이를 데 없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이 세상에서 생명이 남아 있는 동안 해야 할 일을 하고 헛되이 지내지 말아야 한다.
677
홍련지옥에 떨어진 자의 수명은 수레에 실은 깨알의 수만큼 된다고 지혜로운 사람들은 헤아렸다.
즉 그 햇수는 오조 년과 오천만 년이다.
678
그 기간 동안은 여기서 말한 지옥의 고통을 받으면서 지옥에 머물러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맑고 깨끗하고 어질고 착한 미덕을 위해 항상 말과 마음을 지켜야 한다.
The Suttanipata 제 3 [ 큰 장 ]
삼십칠경72經中 삼십칠경經
[11. 홀로 가는 수행자 나라카 經]679-723
679
아시타 현자는 한낮의 휴식 때에, 깨끗하고 단정한 옷을 입은 서른 명이나 되는 신들이 기뻐하고 즐거워하면서
옷을 벗어 흔들며 제석천을 극구 찬양하는 것을 보았다.
680
기뻐서 뛰노는 신들을 보고 현자는 조심스레 물었다. "신들이 기뻐하고 있는 것은 무슨 까닭입니까. 왜 당신들은
옷을 벗어 흔들고 있습니까?
681
만일 아수라와의 싸움에서 신들이 이기고 아수라가 졌다 할지라도 몸의 털을 곤두세울 만큼 그토록 기뻐할 수는 없을 터인데, 어떤 희귀한 일이 있기에 그처럼 기뻐하고 있습니까?
682
당신들은 소리 높여 노래하고 악기를 연주하고 손뼉을 치면서 춤을 추고 있습니다. 나는 수미산 꼭대기에 살고 있는
당신들께 묻습니다. 존경하는 분들이여, 제 궁금증을 어서 풀어 주십시오."
683
신들은 대답했다. "비할 데 없이 뛰어난 보배인 저 보살이 모든 사람의 이익과 평안을 위해 인간 세계에 태어났습니다. 석가족 마을 룸비니 동산에. 그래서 우리는 이토록 기뻐하고 있는 것입니다.
684
무릇 살아 있는 자 가운데 가장 으뜸가는 사람, 가장 높은 사람, 황소 같은 사람이, 머지않아 성인들이 모이는 숲에서 진리의 바퀴를 굴릴 것입니다. 용맹스런 사자가 다른 모든 짐승들을 제압하고 포효하듯이."
685
현자는 그 말을 듣고 급히 인간 세계로 내려왔다. 그리고 숫도다나 왕의 궁전엠 가서 석가족에게 이렇게 말했다.
"왕자는 어디에 있습니까, 나도 한 번 뵙고 싶습니다."
686
그리하여 석가족의 사람들은 솜씨 좋은 금세공이 만든 황금처럼 반짝이며 행복에 빛나는 거룩한 아기의 얼굴을
아시타 현자에게 보였다.
687
불꽃처럼 빛나고 하늘의 달처럼 밝으며 구름을 헤치고 비치는 가을 태양처럼 환한 아기를 보고 아시타 현자는 환희에 넘쳐 몹시 기뻐했다.
688
신들은 천 개의 둥근 고리가 달린 양산을 공중에 펼쳤다. 또 황금 자루가 달린 불자를 위아래로 흔들었다.
그러나 그들의 모습이 사람들의 눈에는 보이지 않앗다.
689
아시타 현자는, 얼굴을 흰 양산으로 가리고 빨간 담요에 싸여 있는 황금 보물 같은 아기를 보고 기뻐서 가슴에 안았다.
690
관상과 베다에 통달한 그는, 황소같이 훌륭한 석가족의 아기를 안고 그 남다른 상을 살피더니 환호성을 질렀다.
"이 아기는 최고로 뛰어난 사람, 이 세상에서 가장 위대합니다!"
691
그러더니 현자는 자기의 얼마 남지 않은 삶을 생각하고, 말없이 눈물을 흘렸다. 현자가 우는 것을 보고 석가족의 사람들은 물었다. "우리 왕자에게 무슨 장애라도 있단 말인가?"
692
석가족의 사람들이 걱정하는 것을 보고 현자는 말했다. "왕자에게 어떤 불길한 상이 있어 그런 것은 아닙니다.
이분은 평범한 상이 아닙니다. 정성껏 길러 주십시오.
693
이 왕자는 깨달음의 최고 경지에 이를 것입니다. 이 아기는 가장 으뜸가는 맑고 순수함을 볼 곳이며 모든 사람들에게
이익을 주고 그들을 불쌍히 여긴 나머지 진리의 바퀴를 굴릴 것입니다. 그의 청정한 덕행은 널리 퍼져나갈 것입니다.
694
그러나 이 세상에서의 내 삶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이제 곧 내게는 죽음이 찾아올 것입니다. 나는 비할 데 없이 큰 힘을 가진 이분의 가르침을 듣지 못할 것입니다. 그래서 슬퍼하는 것입니다."
695
청정한 수행자 아시타 현자는 석가족 사람들에게 커다란 기쁨을 안겨 주고 궁전을 떠나갔다.
그는 자기의 조카 나라카를 불러 비할 데 없이 큰 힘을 가진 사람의 가르침을 따르도록 했다.
696
"네가 나중에 '눈 뜬 사람이 깨달음을 펴고 진리의 길을 간다'는 말을 듣거든, 그때 그곳으로 가서 그분의 가르침을 따라 그 밑에서 청정한 수행을 닦아라."
697
미래에 으뜸가는 순수함을 지닌 분이 온다는 것을 예견한 그 현자의 가르침을 받고
나라카는 온갖 선업을 쌓고 자신의 감각을 다스리며 승리자를 기다렸다.
698
훌륭한 승리자가 진리의 바퀴를 굴린다는 소문을 듣고, 아시타 현자가 일러 준 대로 가장 지혜로운 분을 보고 기뻐하며 거룩한 성인에게 수행의 길을 물었다.
699
나라카가 말했다. "아시타가 들려 준 말이 진실임을 잘 알았습니다. 그러니 고타마시여, 모든 것에 통달하신 당신께
묻겠습니다.
700
저는 출가하여 탁발의 수행을 쌓으려 하오니, 성자의 경지와 최상의 경지를 말씀해 주십시오."
701
스승은 말씀하셨다. "그대에게 성자의 경지를 일러 주리라. 이것은 행하기 어렵고 이루기 힘들다. 이제 그대에게
그것을 알려 줄 것이니 마음을 굳게 가지도록 하라.
702
세상 사람들에게 욕을 먹든지 절을 받든지 한결같은 태도로 대하라. 욕을 먹더라도 성내지 말며 절을 받더라도 우쭐대지 말고 무심하라.
703
동산의 숲속에 있더라도 불꽃처럼 여러 가지 유혹이 나타난다. 부녀자는 수행자를 유혹한다.
부녀자로 하여금 유혹하지 못하도록 하라.
704
모든 육체적 즐거움을 버리라. 모든 욕망을 버리라. 약한 것이든 강한 것이든 모든 생명 있는 것을 미워하지 말고
좋아하지도 말라.
705
그들은 나와 같고 나도 그들과 같다고 생각하여, 살아 있는 것들을 죽여서는 안 된다.
또한 남들에게 죽이게 해서도 안 된다.
706
보통 사람은 욕망과 탐욕에 집착하지만 눈 있는 사람은 그것을 버리고 진리의 길을 가라.
그리하여 이 세상의 지옥을 벗어나라.
707
배를 비우고 음식을 절제하여 욕심을 없애고 탐내지 말라. 욕망을 버리면 욕심이 없어 평안하다.
708
수행자는 탁발을 끝내고 숲에 돌아와 나무 아래 앉아야 한다.
709
그리고 정신을 안졍시키고 나무 아래에서 명상함으로써 스스로 즐거움을 찾아야 한다.
710
날이 밝으면 마을로 내려가야 한다. 누구에게 식사 초대를 받거나 마을 사람들이 음식을 가져올지라도 결코
반겨서는 안 된다.
711
그리고 마음에 이르러서는 이집 저집 조급하게 돌아다녀서는 안 된다.
입을 다물고, 음식을 구하는 말을 꺼내서는 안 된다.
712
'음식을 얻어서 잘됐다' '얻지 못한 것도 잘됐다' 생각하고, 어떤 경우라도 편안한 마음으로 돌아온다.
마치 과일을 주우려고 나무 밑에 간 사람이 과일을 줍거나 줍지 못하거나 편안한 마음으로 돌아오듯이.
713
바리때를 손에 들고 돌아다니는 그는 벙어리는 아닌데 벙어리처럼 보일 것이다. 시주 받은 것이 적다고
가볍게 여기지 말고, 시주한 사람을 업신여겨서도 안 된다."
714
스승은 피안에 이르는 여러 가지 수행에 대해서 말씀하셨다. "거듭 피안에 이르는 일은 없으나 단번에 이르는 일도 없당.
715
윤회의 흐름을 끊은 수행자에게는 집착이 없다. 해야 할 선도, 하지 말아야 할 악도 버렸기 때문에 번뇌가 없다."
716
스승은 다시 말씀하셨다. "그대에게 최상의 경지를 말하리라. 음식을 얻을 때에는 칼날의 비유를 생각하라.
혀를 입 천장에 붙이고 스스로 배를 비우라.
717
마음이 어두워서는 안 된다. 또한 쓸데없이 많은 것을 생각해서도 안 된다. 비리내가 없이, 걸림이 없이, 청정한 수행을 궁극의 의지처로 삼으라.
718
홀로 있는 일을 배우라. 으뜸가는 수행은 홀로 있는 것이다. 홀로 있어야만 진정으로 즐거울 수 있다.
719
그렇게 하면 그는 온 세상에서 빛나리라. 욕망을 버리고 명상하고 있는 그의 이름을 들으면, 내 제자는 더욱더 겸손해지고 믿음이 깊어질 것이다.
720
이것은 깊은 강물과 얕은 개울물의 비유로 알라. 바닥이 얕은 개울물은 소리내어 흐르지만,
깊은 강물은 소리없이 흐르는 법이다. 모자라는 것은 소리를 내지만, 가득 찬 것은 아주 조용하다.
어리석은 자는 물이 반쯤 찬 항아리 같고, 지혜로운 이는 물이 가득 찬 연못과 같다.
722
사문이 의미 있는 말을 많이 하는 것은 스스로 알고 법을 설하기 때문이다.
스스로 알고서 많은 것을 말하기 때문이다.
723
그러나 스스로 알면서도 자제하여 많은 말을 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성인의 행동으로 볼 수 있다.
그는 성인으로서 성인의 행동을 보인 것이다."
The Suttanipata 제 3 [ 큰 장 ]
삼십팔경 72經中 삼십팔경經
[12. 두 가지 관찰 經 ]724-765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날 거룩한 스승께서는 사밧티의 동산에 있는 미가라 장자네 어머니의 누각 안에 계셨다. 그때 거룩한 스승은 달 밝은 보름밤에 수행자의 무리에 둘러싸여 집 밖에 계셨다. 거룩한 스승께서 묵묵히 앉아 있는 수행자들을 둘러보시고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수행자들이여, 거룩하게 출가하여 깨달음에 이르는 여러 가지 진리가 있다. 그대들이 거룩하게 출가하여 깨달음에 이르는 여러 가지 진리를 듣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하고 누가 묻거든, 그들에게 이렇게 말하라. '두 가지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보기 위해서'라고. 그렇다면 그대들이 말하는 두 가지란 무엇이냐고 한다면, '이것은 괴로움이다. 이것은 괴로움의 원인이다' 하는 것이 첫째 관찰이고 '이것은 괴로움의 그침이다. 이것은 괴로움을 그치게 하는 길이다'하는 것이 둘째 관찰이다. 수행자들이여, 이렇게 두 가지를 바르게 관찰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는 수행자에게는 두 가지 열매 중 어느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 세상에서 지혜를 얻든가, 또는 번뇌가 남아 있는 이 윤회의 생존에 다시 돌아오지 않든가 하는 것이다." 거룩한 스승은 이렇게 말씀하셨다. 그리고 행복한 스승은 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724
"괴로움을 모르고 괴로움의 원인을 모르며, 괴로움의 그침을 모르고 괴로움을 그치게 하는 길도 모르는 사람들.
725
그들은 마음의 해탈을 얻지 못하고, 지혜의 해탈도 얻지 못한다. 그들은 윤회를 끊어 버릴 수가 없다.
그들은 생과 사를 계속 받는다.
726
그러나 괴로움을 알고 괴로움의 원인을 알고, 괴로움의 그침을 알고 또 괴로움을 그치게 하는 길을 아는 사람들
727
그들은 마음의 해탈을 얻고, 지혜의 해탈도 얻는다. 그들은 윤회를 끊어 버릴 수가 있다.
그들은 생과 사를 더 이상 받지 않는다."
"수행자들이여, 또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두 가지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가 하고 누가 묻거든 '있다'고 대답하라. '모든 괴로움은 업에 따라 생기는 것이다.'하는 것이 첫째 관찰이다. '그러나 업을 남김없이 끊어 버리면 괴로움이 생기지 않는다'하는 것이 둘째 관찰이다. 이렇게 두 가지를 바르게 관찰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는 수행자들에게는, 두 가지 열매 중 어느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 세상에서 지혜를 얻든가, 또는 번뇌가 남아 있는 이 윤회의 생존에 다시 돌아오지 않든가 하는 것이다." 거룩한 스승은 이렇게 말씀하셨다. 그리고 행복한 스승은 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728
"세상에 있는 모든 괴로움은 생존의 업에 따라 생긴다. 이것을 알지 못하고 그 생존의 업을 짓는 어리석은 자는 계속해서 괴로움을 받는다. 그러므로 이것을 분명히 알고 괴로움이 생기는 원인을 관찰해 업을 짓지 말라."
"수행자들이여, 또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두 가지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가 하고 누가 묻거든 '있다'고 대답하라. '모든 괴로움은 무지로 인해서 생긴다'하는 것이 첫째 관찰이다. '그러나 무지를 남김없이 없애버리면 괴로움은 생기지 않는다' 하는 것이 둘째 관찰이다. 이렇게 두 가지를 바르게 관찰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는 수행자들에게는, 두 가지 열매 중 어느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 세상에서 지혜를 얻든가, 또는 번뇌가 남아 있는 이 윤회의 생존에 다시 돌아오지 않든가 하는 것이다." 스승은 이렇게 말씀하시고 나서, 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729
"이 삶에서 다른 삶으로 되풀이하여 윤회를 받는 사람들은 그 원인이 무지에 있다.
730
무지란 기나긴 헤맴인데, 이로 말미암아 오랜 윤회가 나타나는 것이다. 그러나 밝은 지혜에 이른 사람들은 다시는 생존을 받는 일이 없다."
"수행자들이여, 또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두 가지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가 하고 누가 묻거든 '있다'고 대답하라. '모든 괴로움은 물질로 인해 생긴다' 하는 것이 첫째 관찰이다. '그러나 물질에 대한 집착을 남김없이 없애 버리면 괴로움은 생기지 않는다' 하는 것이 둘째 관찰이다. 이렇게 두 가지를 바르게 관찰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는 수행자들에게는 두 가지 열매 중 어느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 세상에서 지혜를 얻든가, 또는 번뇌가 남아 있는 이 윤회의 생존에 다시 돌아오지 않든가 하는 것이다,"
스승은 이렇게 말씀하시고 나서, 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731
"모든 괴로움은 물질로 인해 생긴다. 물질에 대한 집착을 남김없이 없애 버리면 괴로움은 더 이상 생기지 않는다.
732
괴로움은 물질로 인해 생긴다는 것을 알아 모든 물질에 대한 집착을 없애고 욕망을 끊는다면,
괴로움은 없어지고 만다. 이것을 있는 그대로 알라.
733
있는 그대로 보고, 있는 그대로 아는 현자나 베다에 통달한 사람들은, 악마의 속박에서 벗어나 다시는 생존을 받지 않는다." 수행자들이여, 또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두 가지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가 하고 누가 묻거든 '있다'
고 대답하라. '모든 괴로움은 식별 작용으로 인해서 생긴다' 하는 것이 첫째 관찰이다. '그러나 식별 작용을 남김없이 없애 버리면 괴로움은 생기지 않는다' 하는 것이 둘째 관찰이다. 이렇게 두 가지를 바르게 관찰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는 수행자들에게는, 두 가지 열매 중 어느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 세상에서 지혜를 얻든가, 또는 번뇌가 남아 있는 이 윤회의 생존에 다시 돌아오지 않든가 하는 것이다."
스승은 이렇게 말씀하시고 나서, 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734
"모든 괴로움은 식별 작용으로 인해 일어난다. 식별 작용이 없어지면 괴로움은 생길 수 없다.
735
괴로움은 식별 작용에 의해 생긴다는 것을 알아 식별 작용을 고요히 가라앉힌 수행자는, 쾌락에서 벗어난 평안에
이르게 된다."
"수행자들이여, 또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두 가지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가 하고 누가 묻거든 '있다'고 대답하라. '모든 괴로움은 접촉으로 인해서 생긴다'하는 것이 첫째 관찰이다. '그러나 접촉을 남김없이 없애 버리면,
괴로움은 생기지 않는다' 하는 것이 둘째 관찰이다. 이렇게 두 가지를 바르게 관찰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는 수행자들에게는, 두 가지 열매 중 어느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세상에서 지혜를 얻든가, 또는 번뇌가 남아 있는 이 윤회의 생존에 다시 돌아오지 않든가 하는 것이다."
스승은 이렇게 말씀하시고 나서, 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736
"접촉에 얽매이고, 생존의 물결에 휩쓸리며, 그릇된 길에 들어선 사람은 속박을 끊기 어렵다.
737
그러나 접촉을 잘 알아 평안을 즐기는 사람은,
실로 접촉을 없애 버렸기 때문에 쾌락에서 벗어나 평안에 이르게 된다."
"수행자들이여, 또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두 가지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가 하고 누가 묻거든 '있다'고 대답하라. '모든 괴로움은 느낌으로 인해서 생긴다'하는 것이 첫째 관찰이다. '그러나 느낌을 남김없이 없애 버리면 괴로움은 생기지 않는다' 하는 것이 둘째 관찰이다. 이렇게 두 가지를 바르게 관찰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는 수행자들에게는, 두 가지 열매 중 어느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 세상에서 지혜를 얻든가, 또는 번뇌가 남아 있는 이 윤회의 생존에 다시 돌아오지 않든가 하는 것이다."
스승은 이렇게 말씀하시고 나서, 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738
"즐겁든, 괴롭든,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든, 내적으로든, 외적으로든 느낀 것은 모두
739
괴로움인 것을 알고, 없어지고 말 허망한 것을 느낄 때마다 그것의 소멸을 인정하고서야 느낌에 대한 집착을 버릴 수 있다. 느낌에 대한 집착을 버렸기 때문에 수행자는 쾌락에서 벗어나 평안에 이르게 된다."
"수행자들이여, 또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두 가지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가 하고 누가 묻거든 '있다'고 대답하라. '모든 괴로움은 망상으로 인해 생긴다' 하는 것이 첫째 관찰이다. '그러나 망상을 남김없이 없애 버리면 괴로움은 생기지 않는다' 하는 것이 둘째 관찰이다. 이렇게 두 가지를 바르게 관찰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는 수행자들에게는, 두 가지 열매 중 어느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 세상에서 지혜를 얻든가, 또는 번뇌가 남아 있는 이 윤회의 생존에 다시 돌아오지 않든가 하는 것이다."
스승은 이렇게 말씀하시고 나서, 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740
"망상을 벗 삼는 사람은 이 생에서 저 생으로 전전하며 윤회를 벗어나지 못한다.
741
괴로움은 망상으로 인해 생긴다는 것을 알아, 수행자는 망상을 버리고 망상 없이 바른 생각을 가지고 정진해야 한다." "수행자들이여, 또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두 가지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가 하고 누가 묻거든 '있다'고 대답하라. '모든 괴로움은 집착으로 인해 생긴다'하는 것이 첫째 관찰이다. '그러나 집착을 남김없이 없애 버리면 괴로움은 생기지 않는다' 하는 것이 둘째 관찰이다. 이렇게 두 가지를 바르게 관찰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는 수행자들에게는, 두 가지 열매 중 어느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 세상에서 지혜를 얻든가, 또는 번뇌가 남아 있는 이 윤회의 생존에 다시 돌아도지 않든가 하는 것이다."
스스은 이렇게 말씀하시고 나서, 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742
"집착으로 인해 생존이 생긴다. 생존하는 자는 괴로움을 받는다. 태어난 자에게는 죽음이 따른다.
이것이 괴로움이 생기는 원인이다.
743
그러므로 현자들은 집착을 끊고 태어남을 멈출 수 있는 방법을 잘 알아 다시는 생존을 받지 않는다."
"수행자들이여, 또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두 가지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가 하고 누가 묻거든 '있다'고 대답하라. '모든 괴로움은 움직임에 의해서 생긴다'하는 것이 첫째 관찰이다. '그러나 움직임을 남김없이 없애 버리면
괴로움은 생기지 않는다' 하는 것이 둘째 관찰이다. 이렇게 두 가지를 바르게 관찰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는 수행자들들에게는, 두 가지 열매 중 어느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 세상에서 지혜를 얻든가, 또는 번뇌가 남아 있는 이 윤회의 생존에 다시 돌아오지 않든가 하는 것이다."
스승은 이렇게 말씀하시고 나서, 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744
"모든 괴로움은 움직임으로 인해 생긴다. 모든 움직임이 없어지면 괴로움도 생기지 않는다.
745
괴로움은 움직임으로 인해 생긴다는 것을 알아 모든 움직임을 버리고, 움직임이 없는 상태로 해탈하라.
746
생존에 대한 집착을 끊고 마음이 고요한 수행자는 윤회를 벗어난다. 그는 다시는 생존을 받지 않는다."
"수행자들이여, 또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두 가지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가 하고 누가 묻거든 '있다'고 대답하라. '모든 괴로움은 음식으로 인해 생긴다'하는 것이 첫째 관찰이다. '그러나 음식에 대한 집착을 남김없이 없애 버리면 괴로움은 생기지 않는다' 하는 것이 둘째 관찰이다. 이렇게 두 가지를 바르게 관찰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는 수행자들에게는 두 가지 열매 중 어느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 세상에서 지혜를 얻든가, 또는 번뇌가 남아 있는 이 윤회의 생존에 다시 돌아오지 않든가 하는 것이다."
스승은 이렇게 말씀하시고 나서, 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747
"모든 괴로움은 음식으로 인해 생긴다. 음식에 대한 집착이 소멸되면 괴로움도 생기지 않는다.
748
괴로움은 음식으로 인해 생긴다는 것을 알아, 모든 음식을 잘 알고 음식에 집착하지 않는다.
749
모든 번뇌의 때를 없애 버리면 병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을 바르게 알고, 반성하며 법에 따라 사는 베다의 달인은
어리석은 생존의 고리에 들어가지 않는다."
"수행자들이여, 또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두 가지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가 하고 누가 묻거든 '있다'고 대답하라. '모든 괴로움은 마음이 동요를 남김없이 없애 버리면, 괴로움은 생기지 않는다'하는 것이 둘째 관찰이다.
이렇게 두 가지를 바르게 관찰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는 수행자들에게는, 두 가지 열매 중 어느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 세상에서 지혜를 얻든가, 또는 번뇌가 남아 있는 이 윤회의 생존에 다시 돌아오지 않든가 하는 것이다."
스승은 이렇게 말씀하시고 나서, 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750
"모든 괴로움은 마음의 동요로 인해 생긴다. 모든 마음의 동요가 그치게 되면 괴로움도 생기지 않는다.
751
괴로움은 마음의 동요로 인해 생긴다는 것을 알아, 수행자는 마음의 동요를 버리고 모든 물질에 대한 집착을 버려서, 무동요 무집착으로 바른 생각을 가지고 정진해야 한당."
"수행자들이여, 또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두 가지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가 하고 누가 묻거든 '있다'고 대답하라. '구속이 있는 사람은 주저한다' 하는 것이 첫째 관찰이다. '그러나 구속이 없는 사람은 주저하지 않는다' 하는
것이 둘째 관찰이다. 이렇게 두 가지를 바르게 관찰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는 수행자들에게는, 두가지 열매 중 어느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 세상에서 지혜를 얻든가, 또는 번뇌가 남아 있는 이 윤회의 생존에 다시 돌아오지 않든가 하는 것이다." 스승은 이렇게 말씀하시고 나서, 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752
"구속이 없는 사람은 주저하지 않는다. 그러나 구속이 있는 사람은 이 생에서 저 생으로 전전하며 윤회를 벗어나지 못한다.
753
여러 가지 구속 속에 커다란 두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아, 수행자는 구속 없고 집착 없이 바른 생각을 가지고 정진해야 한다." "수행자들이여, 또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두 가지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가 하고 누가 묻거든 '있다'고 대답하라. '물질적 영역보다도 비물질적 영역이 더 고요하다' 하는 것이 첫째 관찰이다. '비물질적 영역보다 소멸의 영역이 더욱더 고요하다' 하는 것이 둘째 관찰이다. 이렇게 두 가지를 바르게 관찰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는 수행자들에게는, 두 가지 열매 중 어느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 세상에서 지혜를 얻든가, 또는 번뇌가 남아 있는 있는 이 윤회의 생존에 다시 돌아오지 않든가 하는 것이다." 스승은 이렇게 말씀하시고 나서,
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754
"물질적 영역에 사는 모든 생물과 비물질적 영역에 사는 모든 생물들은
소멸을 모르기 때문에 다시 이 세상에 태어난다.
755
그러나 물질적 영역을 잘 알고 비물질적 영역에 안주하며 소멸의 영역에 이른 사람들은 죽음에서 벗어난 것이다."
"수행자들이여, 또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두 가지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가 하고 누가 묻거든 '있다'고 대답하라. 신과 악마가 공존하는 세계에서, 사문, 바라문, 신,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존자가 '이것은 진리다'하고 생각한 것을 성자들은 '이것은 허망하다'라고 있는 그대로 바른 지혜를 가지고 본다. 이것이 첫째 관찰이다. 신과 악마가 공존하는 세계에서, 사문, 바라문, 신,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존자가 '이것은 허망하'라고 생각한 것을, 성자들은 '이것은 진리다'라고 있는 그대로 바른 지혜를 갖고 본다. 이것이 둘째 관찰이다. 이렇게 두가지를 바르게 관찰하여 부지런히 정전하는 수행자들에게는, 두 가지 열매 중 어느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 세상에서 지혜를 얻든가, 또는 번뇌가 남아 있는 이 윤회의 생존에 다시 돌아오지 않든가 하는 것이다." 스승은 이렇게 말씀하시고 나서, 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756
"보라, 신과 세상 사람들은 내가 아닌 것을 나라고 생각하고,
그 이름과 형태에 집착해 있으면서 '이것이야말로 진리다'하고 생각하고 있다.
757
어떤 것에 대해서, 이렇게 저렇게 생각하더라도 그것은 사실과 다르다.
왜냐하면, 어리석은 자의 생각은 허망하기 때문이다. 지나가 버리는 것은 모두 허망한 것이므로.
758
그러나 해탈은 허망한 것이 아니다. 성자들은 이것을 진리로 알고 있다. 그들은 진리를 깨달았기 때문에, 쾌락에서 벗어나 평안에 들어간 것이다."
"수행자들이여, 또 다른 방법에 두 가지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가 하고 누가 묻거든 '있다'고 대답하라. 신과 악마가 공존하는 세계에서, 사문, 바라문, 신,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존자가 '이것은 안락이다'라고 생각하는 것을, 성자들은 '이것은 괴로움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바른 지혜를 가지고 본다. 이것이 첫째 관찰이다. 신과 악마가 공존하는 세계에서, 사문, 바라문, 신,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존자가 '이것은 괴로움이다'라고 생각하는 것을, 성자들은 '이것은 안락이다'라고 있는 그대로 바른 지혜를 가지고 본다. 이것이 둘째 관찰이다. 이렇게 두 가지를 바르게 관찰하여 부지런히 정진하는 수행자들에게는, 두 가지 열매 중 어느 하나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이 세상에서 지혜를 얻든가, 또는 번뇌가 남아 있는 이 윤회의 생존에 다시 돌아오지 않든가 하는 것이다."
스승은 이렇게 말씀하시고 나서, 또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759
"존재한다고 할 수 있는 것으로서 형상, 소리, 향기, 맛, 감촉.
그리고 생각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한결같이 사랑스럽고 마음에 드는 것.
760
그러나 성인들은 자기 몸에 대한 집착을 끊는 것을 '기쁨'이라고 생각한다.
바르게 보는 사람들의 생각은 세상의 사람들과는 정반대다.
761
그러나 성인들은 자기 몸에대한 집착을 끊는 것을 '기쁨'이라고 생각한다.
바르게 보는 사람들의 생각은 세상의 사람들과는 정반대다.
762
세상 사람들이 '기쁨'이라 하는 것을 성자들은 '괴로움'이라고 말한다.
세상 사람들이 '괴로움'이라고 하는 것을 성자들은 '기쁨'이라고 생각한다.
알기 어려운 진리를 보라. 어리석은 사람들은 이것을 모르고 헤매게 된다.
763
덮여 있는 사람에게는 어둠이 있다. 바르게 보지 않는 사람에게는 암흑이 있다. 그러나 선량한 사람에게는 모든 것이 펼쳐 보여진다. 마치 볼 수 있는 사람에게 빛이 있는 것처럼. 진리가 무엇인지 모르는 짐승 같은 바보는 진리가
옆에 있어도 그것을 알아보지 못한다.
764
생에 대한 욕심에 사로잡히고 생존의 흐름에 떠내려가, 악마의 영토에 들어간 사람은 이 진리를 깨닫기 힘들다.
765
성자들말고 누가 이 경지를 깨달을 수 있을 것인가. 이 경지를 바르게 알면, 번뇌의 때가 묻지 않는 이가 되어 절대 평화의 세계에 들어가리라." 스승은 이와 같이 말씀하셨다. 수행자들은 기뻐하면서 스승의 가르침을 받아들였다.
이 설법이 있을 때 육십 명의 수행자들은 집착을 없애, 마음이 더러움에서 해탈되었다.
The Suttanipata 제 4 [ 여덟 편의 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