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서의 힘!
19세기 프랑스 소설가 빅토르 위고가 쓴 '레미제라블'은 '인간세상을 구원하는 것은 용서인가 처벌인가'라는 문제의식을 담은 작품이다.
소설의 주인공 장발장은 빵을 훔친 죄로 19년 감옥살이 하는 내내 세상을 증오한다.
그런데 출소 후 성당에서 은식기를 훔치다가 들켰을 때 성당 사제가 "내가 준 것"이라며 장발장을 감싸고 은촛대까지 선물하자 분노를 털어내고 이후 선한 삶을 추구한다.
소설 밖 세상에도 범죄와 비행의 나락에 빠진 이를 처벌 대신 용서로 구원하는 감동적인 스토리가 많다.
서울 용산에서 국숫집을 하던 배혜자 할머니는 생전에 노숙자에게 공짜로 국수를 대접했다.
한 번은 어느 사람이 국수값을 내지 않고 도망가자 뒤따라 나가며 "그냥 가, 뛰지 말고. 넘어지면 다쳐!" 라고 외쳤다.
그 외침이 실의에 빠져 있던 남자를 일으켜 세웠다. 남자는 그 후 외국에서 사업가로 살고 있다고 한다.
27년 전 양산 통도사 자장암 시주함에서 3만원을 훔쳤던 가난한 소년이 최근 200만원을 시주함에 넣고 가며 남긴 편지가 신문에 소개됐다.
남자는 그 당시 돈을 또 훔치러 갔다가 스님에게 들켰는데 스님이 말없이 고개만 젓고 어깨를 다독이며 보내줬다고 한다.
스님이 소년을 경찰에 넘겼다면 그는 이후 세상을 원망하며 더 깊은 범죄에 빠졌을지도 모른다.
자장암 편지 사연은 때론 용서가 처벌보다 힘이 세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실화다.
용서가 곤경에 빠진 이만 구하는 것은 아니다. 용서하는 이에게도 마음의 평화를 준다.
가수 조용필은 '큐'에서 '너를 용서 않으니/ 내가 괴로워 안 되겠다'는 가사로 그 차원을 노래했다.
위대한 종교도 용서로 자신을 고통에서 구하라고 가르친다.
불교에선 '원한을 품는 것은 타인에게 던지려고 뜨거운 석탄을 손에 쥐는 행위'라고 한다.
천주교 신자가 미사 때 암송하는 '주님의 기도'에도 '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라는 대목이 있다.
1981년 괴한의 총탄에 쓰러졌던 교황 바오로 2세는 자신을 쏜 청년을 찾아가 손을 잡으며 "용서한다"고 했다.
크게 뉘우친 청년은 출소 후 유기동물 구출 활동가로 새 삶을 살고 있다.
용서를 세상을 향한 더 큰 사랑으로 승화하는 이도 있다.
1987년 아들을 학고폭력으로 잃은 이대봉 참빛그룹 회장은 가해 학생들을 용서한 데 이어 아들 이름으로 장학금을 만들어 40년 가까이 어려운 학생들을 돕고 있다.
이런 분들이 성인이고 그들 덕에 세상이 아름답다.
- 옮겨온 글 -
카페 게시글
Q&A 게시판
☆용서의 힘!
떡버들
추천 0
조회 13
24.11.11 19:40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