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나리는 향채 중의 하나로 식욕을 되찾는 식품으로 애용되어 왔다.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7~8월에
- 흰 꽃이 피고 작은 타원형의 열매를 맺는다. 줄기는 30㎝에서 긴 것은 80㎝ 이상 자라는 것도 있다.
- 습지와 물가에 자생하여 수근(水芹), 근채(芹菜), 수근채(水芹菜) 등으로 불린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부터
- 식용되었다. 조선조에는 궁중 진상 품목에 미나리가 포함되어 있다는 기록이 있다.
- 베트남 등 동남아 지역과 한국·중국 등의 일부 온대 북부 지역까지 널리 분포되어 있다.
주요 영양소: 수분이 93%, 단백질 1.5g, 지질 0.1g, 당질 4.3g이며, 무기질 중에서는 칼슘, 칼륨이 풍부하고
- 비타민 A와 C 등이 다른 채소에 비하여 다량 함유되어 있다. 확인된 아미노산은 16종이며
- 그중 필수 아미노산은 37.3%나 함유되어 있다. 미나리의 향기 성분은 리모넨(limonene), 사비넨(sabinene) 등으로
- 데치거나 가열하면 성분 조성에 약간의 변화가 있으나 혈압을 낮추는 효과는 여전하다.
- 제철과 선택법: 1월 중순부터 6월 하순에 걸쳐 나오는데 봄에 수확한 것을 상등품으로 한다. 잎이 적고
- 녹색을 나타내는 것, 줄기가 굵고 연한 것, 뿌리의 잔털이 잘 정돈된 것을 선택한다.
약효: 서늘한 성질이 있어 체내에서 열이 나는 경우 해열 효과가 뛰어나므로 일사병, 폐렴, 유행성 독감 등에도
- 효험이 있다. 보통 미나리 줄기와 잎만 사용하는데 뿌리 부분에도 유효 성분이 많으므로 깨끗이 씻어서 함께
- 사용하면 좋다. 아울러 피의 흐름을 빠르게 하는 작용을 하므로 이에 적응하지 못하는 알레르기 체질인 사람은
- 너무 많이 먹지 않도록 한다.
약용: 미나리는 몸의 열을 없애고 갈증을 해소시켜 준다. 이뇨 작용이 있어 부기를 빼주고 소변의 배설을 도와
- 간 기능을 좋게 한다. 미나리 특유의 향으로 식욕을 돋우고 식물성 섬유소가 장의 내장벽을 자극해 장의 운동이
- 활발해진다. 특히 해독 작용이 뛰어나 몸속에 침투한 각종 독소나 다른 식품에 들어 있는 독을 분해하는 데
- 효과적이어서 황달이나 복수가 찼을 때 유용하다. 또한 변비 예방, 월경 불순 등에도 효과가 있다.
- 어울리는 요리: 미나리는 다른 채소에서 맛볼 수 없는 독특한 맛과 향미가 있어 김치를 담글 때 곁들여 쓰기도 한다.
- 미나리 생채, 미나리강회, 미나리볶음, 미나리적 등으로도 이용된다. 또한 복어와 잘 어울려 탕을 끓이거나
- 무침으로 요리하기도 하며 탕평채의 부재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조리 포인트: 미나리는 해독 작용이 있어 생선 요리에 같이 넣으면 비린내가 제거되고 생선의 독도 분해시켜 준다.
- 조리 시 너무 오래 삶으면 색이 나빠지고 영양 성분도 적어지므로 뜨거운 물에 살짝 데쳐서 사용한다. 간혹
- 독미나리를 잘못 먹는 경우가 있는데 독미나리는 길이가 90㎝ 정도나 되므로 육안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차,만드는법: (재료 저장법) 돌미나리[일반미나리도됨]를 뿌리째 거두어 깨끗이 씻은다음 따뜻한 바닥에종이를
- 펴고 이틀동안 말린다.말린 미나리를 병에넣어 그늘진곳에 보관했다가 남자들의 숙취해독으로 달여내거나 감기,
- 몸살기가 있을때 따뜻하게 우려 마신다.
- 티포트에 말린 미나리 2g을 넣고 뜨거운물 100cc를 부어 3분정도 우려낸다 *(두세번우려마셔도맛,과향이 좋다)
-
- -긴장감을 완화시키고 스트레스를 풀고 집중력을 높이려면:
- 미나리 대추차:를 만든다
미나리 300g과붉은대추 8개를 깨끗이 씻은다음 냄비에담고 생수 600cc를 부어 쎈불에 꿇이다가 낮은불에
30분정도 달이면 밝은 등황색의 차가된다 *꿀을 타서 마시면 한결맛이 좋다.
-
/ 황지희 | 청강문화산업대학 푸드스타일리스트 학과장
- ▲ photo 이상선 조선영상미디어 기자
- --珉 材--옮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