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옴니버스
정격시조 正格時調 ]
너는 꽃이다.
부제 : 인인연연(人因蓮緣)
심완 박전상환
1.
분노(성냄)를
조절(절제)하라
폭력을 거부(暴力拒否)한다
말과 글 언어(言行)까지
다툼(爭) 없이 고요 하라
정중동(靜中動) 고요함 속에
발걸음은
무겁게
2.
어디에 살고 있던
어느 곳을 걸어가던
가치(價値)가 있는 일(事)에
정(精)과 신(身)을 집중하라
그 것이 효율적이고
의미 있는 삶이다.
3.
나(我)라는
이 존재(存在)는
바다 위의 쪽배 한척(苦海一葉)
기쁨과 슬픔 아픔(喜怒哀樂事)
감정(感情)의 풍랑(風浪) 속에
온 삶(生涯)이 흔들린다면
남는(존재 의미) 것은
후회(後悔)뿐
4.
분노(忿怒)에 부서지고
폭력(暴力)에 깨어지며
좌초(坐礁 침몰) 된 사람살이
난파(難破) 된 배(片舟)가 되어
낭비(浪費) 할 인생이라면
삶(人生) 자체가 죄(罪)이다
5.
하루를
살더라도
죄(罪惡業) 짓고 살지 말라
사람과 사람사이(인간관계)
업장(業障)짓고 살지 말자
후회(後悔)란 아무리 즉시
빨리해도
늧은 것
6.
단 1초(一秒) 살더라도
후회(後悔) 없는 삶을 살자
내 인생 나의 삶(一平生)에
의미를 부여(意味附與)하라
찰나(刹那)의 단 한 순간도
감정(感情) 낭비 말아라
7.
아무리
잘 살아도
인간사 백년 세월(百年歲月)
싸우고 다툼(言爭是是非)하며
낭비(浪費) 할 시간(공간) 없다
너는 꽃(花中花) 나도 꽃이다
*인인연연(人因蓮緣)
꽃이다.
8.
꽃처럼 향기(香氣)롭게
사람관계(關係) 진실하게
스스로(自己 自身) 돌아보라
왜곡 된 거짓 불의(歪曲不義)
그 것이 다툼의 원인(原因)
분노 폭력 이유(理由)다.
9.
세상에
선(善)한 인연(因緣)
악(惡)한 인연 따로 없다
웃으면 선(착함)한 인연(善緣)
화내면 악(나쁨)한 인연(惡緣)
아무리 힘들더라도
자주 많이
웃어라
10.
화(성냄)나도 웃는 얼굴(顔)
분노(憤怒)를 조절(調節)하라.
싫어도(憎惡) 웃는 얼굴(華顔)
폭력(暴力)을 거부(拒否)하라
말과 글 언어((一切言行)까지도
다툼 없이 웃어라(不鬪爭微笑)
- 마음그릇 心椀 -
::::::::
*인인연연(人因蓮緣)
마음그릇 心椀 박 찬
우리의
지혜(智慧, 슬기)롭고
현명하신 선조(先祖)들께서
남겨 주신
옛 말(고사성어) 중에서
"
화향 천리 인향 만리
(花香千里 人香萬里)
"
라고 하는
말(經句 문장)이 있다.
"
꽃의 향기는 천리를 가지만 사람의 향기는 만리를 넘는다
"
라는 뜻과 의미(意味)를
내포하고 있다
참으로 좋은 말이다.
요즘같이
삭막하고 각박한 세상에서
우리 모두가 이 글귀(經句)를
마음 속에 품고 살았으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잠시 잠깐 해 본다.
화향 천리 인향 만리
(花香千里 人香萬里)를
또 다른 말로
함축해서 표현하면
인인연연(人因蓮緣)이다.
"
사람이 사람으로 인하여
연꽃 같이 아름답게 꽃 피고,
지덕체(知德體)
고운 향기(香氣)가 묻어나는
인연(因緣)
"
이라고 하는
뜻과 의미(意味)이다.
그 것이 곧(是卽)
인인연연(人因蓮緣) 이다.
물론(勿論)
어떠한 오래 된 고헌(古文獻),
최근의 문헌(文獻)에도 없는
오직
나(我, 본인 作者)만의
지극히 개인적인
주장이며
새롭게 사용하고
써서 옮겨보는 문장(文章),
문자(聞字)이며
글자이다.
아무리 잘 살아도
아무리 제 아무리
사는게 힘들어도
인간사(人間事)
기껏해야 백년 세월(百年歲月)
싸우고 다툼(言爭是是非)하며
낭비(浪費) 할 시간(공간) 없다
너는 꽃(花中花)
나도 꽃(第一花)이다
인인연연(人因蓮緣)
만나고 헤어지는 꽃이다.
꽃처럼
향기(香氣)롭게
사람관계(關係) 진실하게
스스로(自己 自身) 돌아보라
왜곡(歪曲) 된
거짓(假實) 불의(不義)
그 것이 다툼의 원인(原因)
분노 폭력 이유(暴力理由)이다.
그러나
가만히 돌아보고
곰곰히 생각해 보라.
세상에
선(善)한 인연(因緣)
악(惡)한 인연 따로 없다
웃으며 만나서
웃으며 헤어지면
선(착함)한 인연(善緣)
웃으며 만나서
화를 내고 헤어지면
악(나쁨)한 인연(惡緣)이
되는 것이다.
아무리 힘들더라도
사람과 사람 사이(人間)
관계와 관계(關係中)에서
웃음(미소)를 잃지마라.
자주 많이 웃어라.
사람이
사람으로 인하여
연꽃 같이 아름답게 꽃 피고,
지덕체(知德體)
고운 향기(香氣)가 묻어나는
인연(因緣)이 되어야한다.
바로 그 것이
인인연연(人因蓮緣)이요
화향 천리 인향 만리
(花香千里 人香萬里)
라고 하는
말(言句, 문구, 경구) 속에
담긴 깊고 오묘(奧妙)한 뜻과
의미(意味)인 것이다.
여시아문(如是我聞)
나는 이와같이
보고 듣고 배웠다.
- 終 -
강원도 정선 동강 변
별빛총총한
초가삼간두옥
묵우당(墨友堂 글벗터)에서
우바새(優婆塞)
마음그릇 心椀 박 찬
(박전 상환)
두손모음
_/|\_
첫댓글 좋은 글 감사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