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김씨 시조는 품공으로 영광김씨 시조인 심언공과 형제분으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두 본관은 가장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수원김씨가 족보를 발간할 예정인가 봅니다. 참고할까 해서 아래 자료를 스크랩하였습니다. =================================================== 편찬계획 수단은 74년 갑인보를 기준으로 함. 대동보 1질당(2권) 2000페이지 양장 4*6 배판 최소 1000질 제작 경우 6000만원정도 (1질당 6만원) 출판업체 : 대구 소재 대보사
기두起頭: 자손록에 기재된 이름을 말함. 방주傍註: 자손록에 기재된 이름을 제외한 행적을 말함
[자손록 편집 시 기재(記載순서] 자손록 기재순서는 아래 순서대로 하면 된다. ① 이름(=기두起頭)을 입력한다. 子라 적고 이름은 한자를 쓰고 밑에 한글 음을 쓴다. ② 자(字), 호(號), 보명(譜名), 일명(一名) 등을 기재한다. (없는 경우는 기재하지 않는다). 한자로 적고 밑에 한글 음을 쓴다. ③ 출생일을 기재한다. 서기년도와 간지를 쓴다. 예) 1990년기묘5월25일생 간지대신 용띠, 개띠 식으로 적어도 된다. ④ 학력을 기재한다. 학력은 자유의사에 따라 기재하지 않아도 된다. 예) 대학졸 또는 OO학사 OO석사 OO박사로 쓰되 최종 학위만 쓴다. ⑤ 직업, 경력을 기재하며 저술(著述) 및 상훈(賞勳) 등도 함께 기재한다. (경력 및 상훈도 자유의사에 따라 기재하지 않아도 된다) 국회의원, 시의원, 도의원, 군의원 등 사법고시 행정고시 외무고시 회계사, 기술고시, 변리사, 군법무관, OO전문의 등 기업체-상장기업체장, 상장기업체 임원, 중소기업사장 군인-영관급이상 경찰-경정 이상 직위 공무원 – 사무관 이상, 관서장, 시장, 군수, 장관 등 교육자- 교장, 교감, 교수, 학교법인 이사장 등 훈포장 사항도 기재. 문집 – 유뮨집 유저서 ⑥ 사망일을 기재한다. 출생일기재하는 방밥과 동일 1990년기묘5월25일졸 ⑦ 묘(墓) 지번 및 좌향(坐向) 그리고 봉분 형태, 상석 등의 유무를 기재한다 현재 지명을 표시하고 방위를 표시한다 예) 포항시 대송면大松面 대각동大覺洞 송말산松末山 선산왼쪽先山左邊 甲坐 합분 有상석
배우자 자손록과 동일하게 같은 순서로 기재한다. ① 配라 적고 본관 및 이름을 기재한다. 이름은 한자를 쓰고 밑에 한글 음을 쓴다. 예) 配金美蘭김미란, 慶州人 또는配慶州金美蘭경주김미란 ② 배우자(配) 출생일을 기재한다. 1904년갑진5월25일생 ③ 배우자(配) 아버지 이름을 한자 및 한글로 기재한다. 현조가 있으면 OOO라 쓴다 예) 父張應軫장응진 敬堂孝后 ④ 배우자(配) 학력을 기재한다(기재하지 않아도 된다). ⑤ 경력을 기재하며 저술(著述) 및 상훈(賞勳) 등도 함께 기재한다. ⑥ 사망일을 기재한다. 출생일기재하는 방밥과 동일 1990년기묘5월25일졸 ⑦ 묘(墓) 지번 및 좌향(坐向) 그리고 봉분 형태, 상석 등의 유무를 기재한다
자손록의 출가(出嫁) 여(女) 기재방법(記載方去) ① 女라 적고 크게 이름을 쓰고 밑에 한글 음을 쓴다. 여(女)의 이름 표기방법은 아들과 같은 글씨 크기로 표기한다. 옛날에는 딸 이름 대신 사위 이름을 기재하였으나 요즘은 딸의 이름을 아들과 같은 글씨 크기로 기재한다. 그러나 등재 순서는 아들을 출생 순서대로 먼저 기재하고 나중에 딸의 출생 순서대로 등재하는 족보가 일반적이다(先톳後女). ② 출생일을 기재한다. ③ 학력을 기재한다. 학력은 자유의사에 따라 기재하지 않아도 된다. ④ 경력을 기재하며 저술및 상훈(賞勳) 등도 함께 기재한다. 경력 및 상훈도 자유의사에 따라 기재하지 않아도 된다. ⑤ 사망일, 묘 지번 및 좌향(坐向) 그리고 봉분 형태를 기재한다. ⑥ 夫라 적고 남편 이름 및 본관(本貫)을 기재한다. 예) 夫康禹根강우근 信川人 ⑦ 남편의 아버지 이름을 기재한다. 父學倫학륜 ⑧ 남편의 학력 및 경력(經歷) 등은 편찬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기재하는 경우도 있고,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⑧ 시집간 딸의 자식 이름 기재방법 즉 사위의 자식 이름을 출생 순서대로 子, 女를 표기하며 기재한다. ⑩ 구 족보에 딸 이름 대신 사위 이름으로 등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딸 이름을 알 수 있으면 딸 이름으로 변경하여 기재하고, 딸 이름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사위 이름을 그대로 둔다.(옛날에는 딸 이름대신 사위 이름을 족보에 등재하였음)
출계자(出系子) 기록법 출계자(出系子)와 입계자(入系子)는 생양가(生養家)를 모두 기재한다. 근촌출계자(近寸出系子)는 계부(系父)와의 관계를 기입하고 관계 밑에 혈수(頁數-페이지)표시 원촌출계자(遠寸出系子)는 소문중(小門中)을 쓰고 관계를 기입한다(혈수(頁數-페이지)표시) 예1) 光甫광보 出系載鵬后 載鵬재붕 - 子 光甫광보 (생부 載龜재구) 예2) 永祚영조 出系應雲進允以烈德尙后 예3) 善必선필 出系楊州領相公漢佑后基洛後
정정방법 1. 갑인보(1974년) 이후 사망이나 변동으로 기재 사항과 정정 사항이 있을 경우 새로 수단 내용과 같이 작성한다. 2. 변경사항은 갑인보를 확대 복사하여 빨강 글씨로 수정 또는 삽입한다.
수단용지 사용방법 수단용지 위 칸 밖에 수단 작성자의 연락처를 적어여 한다. 의문사항이 있을 때 보소(譜所)에서 즉시 연락이 가능토록 위해서. 보기) (병사공 )파 수단자 명 (홍길동), 전화 HP(010-1234-5678) 2. 종인록 작성을 위해 배부된 별지에 정확히 적어 수단지와 같이 보소에 제출한다.
대동보 발행처 편찬위원회 위원장 김정호 010-3519-3820 간사 김영근 010-4323-0788 대보사 053-256-9753 팩스 053-254-4383
2023년 6월말까지 수단을 완료하고 족보제작에 들어간다 합니다. 따라서 6월말까지 수단을 완료하지 못하면 대동보에 등재되지 못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