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란츠 카프카(Franz Kafka) 연보
프란츠 카프카(Franz Kafka, 1883년 7월 3일 생~1924년 6월 3일 몰; 향년 42세)
세계의 위대한 소설가
20세기 세계의 3대 작가
세계의 독일어권 대문호
체코 출신 유대인 독일어권 작가
체코 프라하의 토박이 작가
실존주의 문학의 선구자(사르트르와 카뮈의 평가)
세계적인 단편 소설 「변신」의 작가
서간집 『밀레나에게 보내는 편지』의 저자(20세기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으로 간주)
법학 박사•법원 시보•보험담당관•법률가•소설가
조부 야콥 카프카(Jakob Kafka, 프라하의 체코 출신 유대인 양품점 상인)
외조부 야콥 뢰비(Jakob Löwy, 유대인 양조업자)
부 헤르만 카프카(Hermann Kafka, 1852년 생~1931년 몰; 조부 야콥 카프카의 넷째 아들, 성공한 유대인 사업가, 양품점 상인)
모 율리 카프카(Julie Kafka, 1856년 생~1943년 몰; 유대인 여성)
유대인 부모의 6남매의 장남
1남 본인 프란츠 카프카(Franz Kafka)
2남 남동생 게오르그 카프카(Georg Kafka, 1888년 이전 유아 사망)
3남 남동생 하인리히 카프카(Heinrich Kafka, 1888년 이전 유아 사망)
4녀 여동생 가브리엘레(엘리) 카프카(Gabriele (Elli) Kafka, 1889년 생~1944년 몰; 2차세계대전 당시 나치강제수용소에서 사망)
5녀 여동생 발레리(발리) 카프카(Valerie (Valli) Kafka, 1890년 생~1942년 몰; 2차세계대전 당시 나치강제수용소에서 사망)
6녀 여동생 오틸리(오틀라) 카프카(Ottillie (Ottla) Kafka, 1892년 생~1943년 몰; 2차세계대전 당시 나치강제수용소에서 사망)
약혼녀 유대인 펠리체 바우어(Felice Bauer, 1887년 생~1960년 몰; 1912년~1917년 사이 두 번의 약혼과 파혼, 미국 이민)
대학 동창 겸 편집자 유대인 막스 브로트(Max Brod, 1884년 5월 27일 생~1968년 12월 20일 몰; 1902년 카프카와 평생 친구, 소설가, 이스라엘인)
무신론자•사회주의자
제1언어 독일어
제2언어 체코어
1883년 1세 7월 3일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 프라하 구시가지 광장(Old Town Square)에서 독일어권 유대인 부유층 가정에서 오스트리아 국적으로 유대인 사업가 아버지 헤르만 카프카와 유대인 어머니 율리 카프카 사이의 장남으로 출생
1889년 7세 첫째 여동생 가브리엘레(엘리, 1889년 생~1941년 몰) 출생
1889년~1893년 7세~11세 매스나 거리 소재 도이체 크나벤슐레(Deutsche Knabenschule) 독일계 남자초등학교 수학
1890년 8세 둘째 여동생 발레리(발리, 1890년 생~1942년 몰) 출생
1892년 10세 셋째 여동생 오틀리(오틀라, 1892년 생~1943년 몰) 출생
1893년~1900년 11세~19세 독일계 명문 인문 중고교 주립 김나지움(Altstädter Deutsches Gymnasium) 수학
1894년 12세 유대인 교육 마감
1898년 16세 카프카의 초등학교와 중고교 동창 이스라엘인 휴고 베르그만(Hugo Bergmann)이 카프카가 사회주의자(socialist)가 되었다고 주장
1901년 19세 독일계 중고교 주립 김나지움 졸업 시험. 모범생으로서 우수한 성적으로 중고교 졸업. 프라하 소재 카를대학교(Deutsche Karl-Ferdinands-
Universität)에 진학해서 처음에는 화학을 2주간 수학하고, 독문학을 6개월간 수학하다가 후에 법학 전공
1902년 20세 대학 법학과 동창 1년 연하 막스 브로트(Max Brod)와 평생 친구
1903년 21세 전기 국가시험 법학 합격
1904년 22세 문학 친구 오스카 폴라크에게 서신. 단편 소설 「투쟁 기록」(Beschreibung eines Kampfes) 창작
1904년~1912년 22세~30세 사이 18편의 단편 소설 모음 단편집 『관찰』이 브로트의 소개로 출판인 쿠르트 볼프에 의해 간행(첫 출판 단편집; 카프카가 “M.B에게”(Für M.B.)라고 표기하여 대학 동창 브로트에게 이 작품집을 헌사)
1905년 23세 단편 소설 「투쟁 기록」을 브로트에게 보여주자, 브로트가 문예지 『히페리온』 추천
1906년 24세 6월 18일 법학 박사 학위. 법원 시보. 단편 소설 「시골 결혼식 준비」 창작
1907년 25세 11월 1일 체코 프라하 바츨라프광장 주변 소재 이태리계 보험회사 제네랄리(Assicurazioni Generali)에 입사해 9개월 근무
1908년 26세 7월 15일 보험회사 제네랄리 퇴사. 2주 후, 보헤미안왕국 노동자산재보험회사 입사. 문예지 『히페리온』(Hyperion)에 단편 소설 8편을 발표(단편집 『관찰』(Betrachtung) 수록 작품들)
1908년~1922년 26세~40세 7월 노동자재해보험국으로부터 은퇴하기까지 자칭 “기동 연습 생활”로 고되게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소설을 씀.
1909년 27세 단편 소설 「투쟁 기록」의 일부가 프란츠 블라이(Franz Blei)에 의해서 출판. 9월 28일 일간지 『보헤미아』(Bohemia)에 단편 소설 「브레시아의 비행기」(Die Aeroplane in Brescia) 일부 게재. 정신적 문제로 병원 진료
1910년 28세 3월 27일 단편집 『관찰』(Betrachtung)에 수록될 단편 소설들이 일간지 『보헤미아』 부활절판에 게재
1911년 29세 여동생 엘리의 배우자 카를 헤르만(Karl Hermann)과 석면회사를 동업하며 동유럽의 노동 현실 체험
1912년 30세 첫 장편 소설 『실종자』(Der Verschollene), 대표작 단편 소설 「변신」 창작 시작. 안전헬멧을 발명해 미국안전협회로부터 금메달 수상. 8월 13일 베를린 거주 유대인 연인 펠리체 바우어와 처음 만났고, 5년간 편지로 사귀었지만, 두 번의 약혼 끝에 1917년 파경. 9월 22일~23일 소설 「심판」(Das Urteil)을 하룻밤에 8시간 만에 써서 바우어에게 헌사. 장편 소설 『심판』은 독일 라이프치히(Leipzig)에서 처음 출판되었고, “펠리체 바우어 양에게”라는 헌사가 있었으며, 추후의 출판물에서는 “F에게”로 바뀌었다. 12월 강과 다리가 보이는 카프카의 3층 방에서 단편 소설 「변신」(Die Verwandlung)을 완성하고 프라하에서 공개낭독회. 수많은 연애편지를 바우어에게 보냄. 정신적 문제로 고통을 겪었으며, 자연요법으로 채식에 의해 스스로 정신적 문제를 치료하고자 했으나, 거의 자살 지경에 도달. 3층 방의 창문으로 강과 다리의 통행료 징수원을 내려다보면서 강물로 뛰어들어 징수원을 놀라게하고 싶은 충동을 느꼈다고 일기에서 기술
1913년 31세 6월 21일자 일기. 8월 연인 바우어에게 서신. 브로트와 출판인 쿠르트 볼프(Kurt Wolff)가 문학 연감 『아카디아』(Arkadia)에 카프카 장편 소설 『심판』 포함. 출판인 볼프가 장편 소설 『실종자』의 일부 출판. 여동생 엘리와 발리가 결혼 후 자녀 출산. 가족이 큰 아파트로 이사. 바우어의 여자 친구 유대인 여성 마가렛 그레테 블로흐(Margarethe “Grete” Bloch)와 관계해서 카프카의 아들을 낳았다는 설이 있으며, 그녀의 아들은 1914년 또는 1915년 출생해 1921년 독일 뮌헨에서 사망했다고 한다. 그러나 두 사람의 낯선 관계상 마가렛의 아이가 카프카의 아들이 아니라는 설도 있다. 단편 소설 「변신」을 포함한 단편집 『관찰』 집필. 정신적 문제로 병원 진료
1914년 32세 6월 11일 장편 소설 『성』(Das Schloss) 구상. 7월 바우어와 파혼. 덴마크에서 친구와 휴가. 8월 1차세계대전 발발로 여동생들의 남편들이 군대에 징집되자, 여동생들이 자녀들을 동반하고 친정 아파트로 이사. 카프카는 여동생 발리의 전 아파트로 혼자 이사. 10월 단편집 『유형지에서』(In der Strafkolonie), 장편 소설 『심판』(Der Process) 창작 시작. 장편 소설 『실종자』 탈고
1915년 33세 폰타네상 수상. 10월 대표작 단편 소설 「변신」을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표현주의 월간지에 첫 게재. 독일 작가 로베르토 무질이 카프카를 만나기 위해 프라하 방문. 독일 여행 중에 단편집 『유형지에서』 낭독회. 1차세계대전 군대 징집을 받았으나 카프카 소속 보험회사 업무가 핵심적인 정부 업무라는 사유로 징집 연기. 단편 소설 「법 앞에서」(Vor dem Gesetz)가 유대계 주간지 뉴욕판에 게재(후에 장편 소설 『심판』에 포함)
1916년 34세 단편집 『시골 의사』 완성. 단편 「변신」 간행
1917년 35세 결핵 진단. 셋째 여동생 오틀라의 간호. 펠리체 바우어와 헤어짐. 결핵 진단 후에 보험회사에서 퇴직했고, 군대 징집도 면제. 『쥐라우 경구 및 고찰』(Die Zürauer Aphorismen oder Betrachtungen über Sünde, Hoffnung, Leid und den wahren Weg) 저술
1918년 36세 단편집 『유형지에서』 수정본 탈고
1919년 37세 10월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단편집 『유형지에서』 출판. 가상의 편지 『아버지 전상서』(Brief an den Vater, 100페이지 이상의 분량) 간행. 단편 소설 「법 앞에서」가 단편집 『시골 의사』의 일부로 볼프에 의해 재출판
1920년 38세 요양소에서 의사 클롭스톡(Dr. Klopstock)의 치료를 받으며 고통 치료를 위해 아편을 주문하기도 했지만, 회복 후 퇴원
1920년대 초 체코인 작가 겸 저널리스트 비유대인 기혼 여성 밀레나 예젠스카(Milena Jesenská)와 연애. 가난한 호텔 여급사 율리에 보호르체크(Julie Wohryzek)와 세 번째 약혼 후, 결혼식 날짜까지 정하고 결혼하려고 했으나 카프카의 무분별한 여자관계가 발각되어 성혼 실패
1922년 40세 1월 27일 장편 소설 『성』(城) 창작 시작. 보험회사 퇴사(보험회사에서 법률 고문으로 근무하며 오후 2시에 퇴근해서 오후에 쉬고 밤늦게 11시경에 창작)
1923년 41세 7월 발트해에서 여름휴가 중에 25세의 유대인 사회주의자 유치원 교사 도라 디아만트(Dora Diamant)와 만나 9월부터 독일 베를린에서 동거. 자연요법으로 결핵을 치료했으나 악화되어 프라하로 귀국
1924년 42세 2월 건강 악화. 3월까지 도라 디아만트와 베를린 동거. 4편의 소설 창작. 단편집 『시골 의사』 간행. 마지막 단편 소설 「가수 조세핀」(Josefine, die Sängerin oder Das Volk der Mäuse) 창작. 4월 20일 베를린에서 카프카의 산문 1편 출판. 4월 10일 오스트리아 빈 근교 의사 호프만(Dr. Hoffmann)의 결핵요양소 키얼링(Kierling)에 들어가, 6월 3일 키얼링에서 타계. 목이 아파 음식을 삼키지 못해 굶주려 사망. 모든 서류 유품들을 소각하라는 마지막 유언. 6월 11일 프라하로 운구되어, 프라하 슈트라슈니츠 지즈코프(Žižkov) 구역 알샌스크(Olsanske) 신유대인 묘지 안장. 향년 42세
묘역
체코 프라하 슈트라슈니츠 지즈코프(Žižkov) 구역 알샌스크 신유대인 공동묘지에 부모 묘지 아래로 카프카와 세 여동생 묘지 안장
묘비
건축가 레오폴드 에르만(Leopold Ehrmann) 작
1924년 6월 타계 이후, 유고 단편집 『배고픈 예술가』(단식 광대, Ein Hungerkünstle)를 잡지 『신룬트샤우』(Die neue Rundschau)에 게재. 이 단편집에 4편의 단편 소설 수록
1925년~1935년 카프카가 남긴 모든 유고를 읽히지 말고 전부 소각하라는 카프카의 마지막 유언을 무시하고 대학 동창 브로트가 카프카의 유고작들을 출판. 브로트는 카프카에게 그의 마지막 유언을 수행치 않겠다고 거부했으며, 그래도 소각을 원하면 다른 집행인을 찾아보라고 권했다고 술회
1925년 장편 소설 미완성작 『심판』(Der Process) 간
1926년 장편 소설 미완성작 『성』(Das Schloss) 간
1927년 장편 소설 미완성작 『실종자』(Amerika, 브로트가 정한 제목) 간
1928년 유진 졸라스(Eugene Jolas)가 카프카의 장편 소설 『심판』을 영역해서 모더니스트 전문지 『트랜지션』(transition)에 게재
1930년 번역가 에드윈 뮤어(Edwin Muir)와 윌라 뮤어(Willa Muir) 부처가 장편 소설 『성』 영역
1931년 브로트가 카프카 산문 및 단편 소설 작품집 『중국의 만리장성』(Beim Bau der Chinesischen Mauer)을 편집 간행하면서 단편 소설 「중국의 만리장성」 수록. 『죄, 희망, 고통, 그리고 진실한 길에 대한 고찰』(Reflections on Sin, Hope, Suffering, and the True Way) 간. 「거대한 두더지」(The Giant Mole) 간. 『중국의 만리장성』(The Great Wall of China) 간
1933년 연인 도라 디아만트가 카프카의 원고를 파기하고, 노트 20권과 편지 35편을 숨겨 보관하다가 독일 게슈타포에게 압수됨. 「개에 대한 수사」(Investigations of a Dog) 간
1934년 막스 브로트의 중재로 쇽켄출판사(Schocken)에서 카프카 전집을 출판하기로 합의했고, 독일, 체코슬로바키아, 미국에서 그의 작품들이 출판되었으며, 히브리어로도 출판
1936년 단편집 『투쟁 기술』 간
1937년 막스 브로트 저 『프란츠 카프카 평전』(Franz Kafka, eine Biographie) 간
1939년 유대인 브로트가 나치가 체코를 침공하기 전에 영국령 팔레스타인으로 피란할 때 여행 가방에 카프카의 미출판 유고작들을 소지. 브로트는 이미 카프카의 미완성 원고들을 수정해서 소설의 장의 순서를 재배열하거나 문장 부호를 수정하는 등 작품의 순서와 불완전 문장들을 수정해서 카프카의 작품들을 출판했었다.
1940년대 후반 브로트 편집 카프카 서간집 영어본 발행
1941년 첫째 여동생 가브리엘레(엘리, 1889년 생~1941년 몰)가 폴란드의 게토에 머물다 나치강제수용소에서 사망
1942년 둘째 여동생 발레리(발리, 1890년 생~1942년 몰)가 폴란드의 게토에 머물다 나치강제수용소에서 사망
1943년 셋째 여동생 오틀리(오틀라, 1892년 생~1943년 몰)가 폴란드의 게토에 머물다 나치강제수용소 테레지엔슈타트강제수용소를 거쳐 아우슈비츠강제수용소에서 사망(오빠 카프카가 가장 사랑했던 막내 여동생)
1945년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카프카 문학이 재발견되어 독일 문학에 크게 영향을 끼치기 시작
1947년 뉴욕 쇽켄출판사와 텔아비브의 막스 브로트가 런던의 빌리 하세(Willy Haase)에게 카프카의 서신을 카프카의 전집으로 편집 의뢰
1948년~1949년 막스 브로트가 카프카의 일기 편집
1948년 번역가 뮤어 부처가 카프카의 단편과 짧은 글들을 영역해서 단편집 『유형지』(The Penal Colony: Stories and Short Pieces) 발행
1951년 『1910년~1923년 프란츠 카프카 일기』(The Diaries of Franz Kafka 1910~23) 간
1952년 카프카 서한집 『밀레나에게 보내는 편지』(Briefe an Milena)가 런던의 빌리 하세의 편지 발굴과 1947년 그 편지를 건넨 텔아비브의 막스 브로트의 조언으로 프라하에서 출판
1953년 서간집 『밀레나에게 보낸 서신』 간
1954년 카프카의 단편과 짧은 글들을 모은 단편집 영역본 출간. 막스 브로트가 카프카의 서간집 편집
1958년 막스 브로트가 카프카의 서간집 편집
1960년대 초엽 브로트가 카프카의 원고들을 카프카의 후손들에게 인계. 카프카의 대다수의 원고는 영국 옥스퍼드대 보들리도서관(Oxford Bodleian Library)에 소장되었고, 브로트가 소지한 나머지 원고들(수백 편의 서신과 짧은 글들 그리고 많은 그림들)은 브로트 자신이 보관. 전 세계적으로 카프카가 재발견되어 전 세계와 고국 체코에까지 문학적 영향을 끼치기 시작
1961년 맬콤 파슬리(Malcolm Pasley)가 얻은 카프카의 대다수의 원고를 옥스퍼드대 보들리도서관에서 소장. 『심판』의 원고는 경매로 팔려 독일문학아카이브(German Literary Archives) 소장. 파슬리가 장편 소설 『성』을 편집해서 1982년 출간했고, 장편 소설 『심판』은 1990년 출판되었다. 조스트 쉴레마이트(Jost Schillemeit)는 장편 소설 『실종자』를 편집해서 1983년 출간했다. 쇽켄북스(Schocken Books)에서 카프카의 단편 글들을 모은 단편집 『우화와 역설』(Parables and Paradoxes) 독일어-영어 이중언어본 출간
1967년 서간집 『펠리체에게 보낸 서신』 간
1982년 서울대 독문과 박환덕 교수가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마르바흐(Marbach) 소재 독일문학자료관에서 서간집 『밀레나에게 보내는 편지』 원고 원본 열람
1983년 독일 부퍼탈대학 보른 교수와 책임연구원 뮐러 박사 편 증보판 서간집 『밀레나에게 보내는 편지』 간행
1988년 브로트의 여비서 에스더 호프가 장편 소설 『심판』의 원고를 198만 달러에 독일의 서적상에게 경매로 매도했으며, 이것은 현대 작가로서는 세계 최고의 고가 경매였다. 독일인 구매자는 “이 작품이 20세기 독일 문학 가운데 가장 중요한 작품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로써, 프란츠 카프카는 세계적인 작가로서의 가치를 확립했다(“Franz Kafka―Quotes, Books & Works,” <https://www.biography.com/authors-writers/ franz-kafka>).
1991년 영화 『카프카』(Kafka) 상연
1992년 박환덕, 「프란츠 카프카의 문학과 생애」, 『외국문학』, 제33호 겨울호, 1992년. 334~351(논문). 애니메이션 『프란츠 카프카』(Franz Kafka, 폴란드 애니메이션, 상영 시간 16분, 감독 피오트르 듀말라) 상영
1996년 펭귄북스(Penguin Books)에서 마이클 호프만(Michael Hofmann) 역 장편 소설 『실종자』(The Man Who Disappeared) 영역본 간행
1998년 쇽켄북스에서 마크 하맨(Mark Harman) 역 장편 소설 『성』(The Castle) 영역본과 브레온 미첼(Breon Mitchell) 역 장편 소설 『심판』(The Trial) 영역본 간행
1999년 작가, 비평가, 학자 99인 위원회가 카프카의 장편 소설 『심판』과 『성』을 가장 중요한 20세기 독일어권 소설의 제2위와 제9위로 선정
2001년 프란츠카프카상(The Franz Kafka Prize)을 제정하여 프란츠카프카학회와 체코 프라하시 공동으로 문학상을 연례 시상
2002년 일본인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판타지 소설 『해변 위의 카프카』 간행
2004년 카프카 사후 80주년 기념 카프카 동상 건립. 소재지는 유대인 거주 지역 부근 두스니 거리. 조각가 야로슬라프 로나 작
2008년 쇽켄북스에서 마크 하맨(Mark Harman) 역 장편 소설 『실종자』(Amerika: The Missing Person) 영역본 간행
2009년 카프카 단편집 『변신•시골 의사』가 카프카 저, 전영애 역으로 민음사에서 세계문학전집으로 간행
2011년 조창환, 「한국현대시의 프란츠 카프카 수용」, 『한국시학연구』 31호, 한국시학회, pp. 227~266(논문)
2013년 에드워드 왓슨(Edward Watson) 감독 로열발레단 댄스 『변신』(The Metamorphosis) 공연
2014년 『프란츠 카프카―꿈』이 카프카 저, 배수아 역으로 워크룸에서 간행. 이서규 저 「카프카의 『변신』에 나타난 실존개념연구」, 『범한철학』 75권 4호, 범한철학회, 2014년. pp. 369~399(논문).
2016년~2019년 브로트가 보관 중이던 카프카의 원고들이 이스라엘국립도서관에 소장됨. 이스라엘국립도서관은 카프카의 다른 노트 습작들도 보관하고 있으며, 카프카 자료 보관 순위에서 세계 3위이다.
2016년 카프카의 유고 원고 수천 편은 친구 겸 편집자 막스 브로트가 보관하다가 1968년 브로트 사망 전에 비서 에스더 호페(Esther Hoffe)에게 맡기며 원고를 예루살렘의 지역 도서관이나 대학교에 기부해 달라고 부탁했다. 여비서 호페는 맡은 원고를 기부하지 않고 『심판』의 원고를 198만 달러에 매도하기도 했으며, 남은 원고를 그녀의 두 딸 에바(Eva)와 루스(Ruth)에게 인계했다. 2010년 카프카의 원고가 공개된 후 오랜 법정 논쟁 끝에 2016년 이스라엘 대법원은 이스라엘 정부의 국유물 소유권을 인정하고 카프카의 유고 원고를 이스라엘국립도서관에 보관토록 판결했다.
2017년 한국의 솔 출판사에서 카프카 전집이 발간되었고, 카프카 서간집 『카프카의 편지―약혼녀 펠리체 바우어에게』와 카프카의 일기 『카프카의 일기』도 같이 간행되었다. 박미리 저 「프란츠 카프카의 자동적 글쓰기」, 『인문과학』, 인문학연구원, pp. 97~131(논문).
2020년 조정래, 「프란츠 카프카와 인식의 문제」, 『인문학연구』 통권 제29집, 제주대 인문과학연구소, 2020년. pp. 121~142(논문)
2021년 5월 카프카가 그림과 스케치를 즐겨 그렸으며, 그의 그림의 40%가 세상에 알려짐.
2022년 『프란츠 카프카―그림』(Franz Kafka: The Drawings)이 예일대출판부에서 간행
2023년 카프카 탄생 140주년의 해. 서울대 권장도서 100선의 제38번으로 카프카의 단편 소설 「변신」 선정. 4월 23일 세계 책의 날 기념 교보문고 ‘올해의 아이콘’으로 카프카 선정. 완역판 카프카 서간집의 첫 영역본 출간. 한국 서울에 주점 프란츠 카프카 영업 중(서울 성동구 왕십리역 부근의 이국적인 맛집)
대표작
단편 소설 「변신」(Die Verwandlung)
장편 소설 『심판』(Der Prozess, 미완성작)
장편 소설 『성』(Das Schloß, 마지막 장편 소설, 미완성작, 고독의 3부작(장편 소설 3편)의 하나)
장편 소설
장편 소설 『실종자』(Der Verschollene, 미완성작, 첫 장편 소설)
장편 소설 『심판』(Der Prozess, 미완성작, 대표작)
장편 소설 『성』(Das Schloß, 미완성작)
단편 소설
단편 소설 「변신」(Die Verwandlung, 대표작)
단편 소설 「선고」(Das Urteil)
단편 소설 「유형지에서」(In der Strafkolonie)
단편 소설 「시골 결혼식 준비」
(Hochzeitvorbereitungen auf dem Lande)
단편 소설 「학술원 보고서」(Ein Bericht für eine Akademie)
단편집 『관찰』(Betrachtung)
단편집 『시골 의사』(Ein Landarzt)
단편집 『배고픈 예술가』(Der Hungerkünstler)
기타
수백~수천 편의 서신과 일기
다수의 그림
* 체코 출신 프라하 토박이 유대인 프란츠 카프카: 체코 출신 유대인 프라하 토박이로서 당시 프라하의 상류층 10%가 사용하던 독일어를 사용하고 독일어권 학교에서 수학한 독일어권 작가이다. 평소에 독일 뮌헨대학에서 독문학을 전공하고 싶었으나 사업가 아버지의 반대로 꿈을 이루지 못하고, 프라하의 카를대학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학위 후, 법률가와 보험담당관으로 보험회사에서 근무하면서 오후 방과 후 시간을 활용해서 독일어로 소설을 창작했다. 중고교와 대학까지도 독일계 학교에서 당시 체코의 상류층이었던 독일인들과 학업을 같이 했지만, 결국 부모가 유대인 상인이라는 사실로 독일인에도 체코인에도 끼지 못하는 소외되고 고립된 외톨이 작가로 남게 되었다.
또한 카프카는 체코 수도 프라하의 토박이로서 구시가지 광장 부근에 살며 이 광장 주변에서 그의 인생을 보냈다. 그의 생가는 프라하 유대인 빈민가 주변으로 구시가지 성 니콜라스성당 바로 옆에 위치해 있었다. 구시가지(Old Town) 유라드니체(Uradnice) 5번가로서, 현재는 생가는 없고 출입구에 명판이 있고, 이 명판에는 “프란츠 카프카가 1883년 7월 3일 이곳에서 태어났다”라고 새겨져 있다. 프라하에는 카프카의 생가터 외에도 카프카박물관, 프란츠 카프카 카페, 구시가지 광장 주변의 출신 학교와 살던 집(Old Town Square No. 2와 Old Town Square No. 5)이 있다. 도시 외곽으로는 유대인 공동묘지가 있으며, 이 묘역에 카프카의 부모 무덤 아래에 카프카의 무덤이 있고, 또 2차세계대전 중 나치강제수용소에서 사망한 세 여동생의 무덤이 있다. 2004년에는 카프카 사후 80주년을 기념해 카프카 동상이 유대인 거주 구역 주변 광장에 건립되었다.
* 카프카식(Kafkaesque) 스타일과 카프카식 상황: 카프카의 문학은 “카프카식”(Kafkaesque) 스타일로 특징지어진다. 카프카식 스타일이란 실존주의의 부조리를 뜻하며, 이를 카프카식 상황이라고 한다. 실존주의의 부조리와 부조리한 상황을 표현하는 문학 스타일을 카프카식 그리고 카프카식 상황이라고 한다. Kafkaesque는 영어 단어이다.
* 카프카의 사랑: 단편 소설 「변신」의 작가 프란츠 카프카는 결혼을 하지 않고 평생 독신으로 살다가 42세로 짧은 생을 마감하고 요절했다. 1912년 8월 12일 베를린 거주 유대인 연인 펠리체 바우어와 처음 만났고, 5년간 편지로 사귀었지만, 두 번의 약혼 끝에 1917년 파경했다. 1912년 9월 23일 소설 「심판」을 하룻밤에 8시간 만에 써서 바우어에게 헌사했고, 수많은 연애편지를 바우어에게 보냈다. 1913년 8월에도 연인 바우어에게 서신을 보냈으며, 1914년 7월에는 바우어와 파혼하고 덴마크에서 친구와 휴가를 보내기도 했다. 1917년 펠리체 바우어와 헤어졌다. 후에 카프카는 여인 율리에 보호르체크와 만나 결혼을 하고 싶었지만, 자신이 유대인이라는 사실로 결혼에 실패했다. 1919년 체코인 작가 겸 저널리스트 밀레나 예젠스카(Milena Jesenská)가 카프카에게 그의 작품을 체코어로 번역하고 싶다는 편지를 보냈고, 같은 해 10월 프라하의 카페에서 둘이 처음 만났다. 1920년대 초 카프카는 밀레나 예젠스카와 3년에 걸친 연애 관계를 맺었다. 1920년 4월~1923년 사이에 밀레나에게 보내는 수많은 연애 편지들이 체코어로 쓰였다. 밀레나는 카프카의 편지를 그대로 보관했으며, 1923년 10월 결별 후에 8개월이 지난 1924년 6월 사망 후에 밀레나가 프라하의 신문에 추도사를 게재하기도 했다고 한다. 또한 1923년 독일 베를린에서 마지막 사랑 유대인 사회주의자 유치원 교사 도라 디아만트와 동거하기도 했다. 카프카는 도라 디아만트에게 남긴 유언으로 자신의 모든 유고를 파기할 것을 요청했지만, 다른 지인들과 마찬가지로, 연인 도라 디아만트도 일부는 파기하고 일부는 남겨두었다. 도라는 카프카의 마지막 사랑이었다. 1933년 카프카의 원고를 파기하고, 노트 20권과 편지 35편을 은닉해서 보관하다가 독일 게슈타포에게 압수되었으며, 이 사건은 현재까지도 압수물에 대해서 수사가 진행 중이라고 한다. 약혼녀 유대인 펠리체 바우어(1887년 생~1960년 몰)는 프란츠 카프카와 1912년~1917년 사이 두 번의 약혼을 하고 1917년 결국 파경에 이르렀다. 파혼 후, 바우어는 즉시로 미국으로 도미해서 미국의 부유한 사업가와 결혼했으며, 결혼 후에도 카프카의 서신을 파기하지 않고 보관하다가 공개해서 나중에 출판되었다.
* 카프카의 유고 원고: 카프카의 이스라엘인 친구 겸 편집자 막스 브로트(Max Brod)가 카프카의 서류 유품들 가운데 작품과 일기 및 편지를 유고 출판. 대다수 카프카의 유작들은 모두 독일어로 쓰였으며, 몇 편의 편지만이 체코어로 쓰였다. 1920년대 초 체코인 저널리스트 비유대인 기혼 여성 밀레나 예젠스카(Milena Jesenská)에게 보내는 연애편지는 체코어로 쓰였다고 한다.
프라하의 카프카박물관에 따르면, 카프카의 원고는 가족이 보관하다가 편집자 막스 브로트에게 인계되었으며, 브로트는 그 외에도 카프카의 초기 원고와 연인 밀레나 예젠스카 보관 편지도 인계받았다. 카프카의 가족은 가족에게 보낸 카프카의 편지만을 보관했다. 펠리체 바우어에게 보낸 서신들은 미국에서 바우어가 사망하기 전에 뉴욕의 쇽켄출판사에 넘겨졌다. 카프카의 마지막 사랑이었던 유대인 사회주의자 도라 디아먼트가 보관 중이던 카프카의 초기 원고와 서신들은 1933년 독일 게슈타포에 의해 압수되었으며 아직까지도 실체 유무가 확인되지 않았다. 1939년 브로트가 팔레스타인으로 탈출할 당시에는 수천 편의 카프카의 원고를 여행 가방에 소지하고 있었다. 가족들은 가족 수신 편지 일부 그리고 『아버지 전상서』와 「변신」의 원고를 보관했다. 1939년 밀레나는 카프카의 편지들을 빌리 하세(Willy Haase)의 집에 맡겼으며, 빌리 하세의 친척들이 그 편지들을 보관했다. 2차세계대전 후, 브로트는 카프카의 원고를 텔아비브(Tel Aviv)의 쇼크너도서관 아카이브(Schockner Library Archive)에 맡겼다. 그 원고들은 후에 스위스은행으로 넘겨졌다가, 1961년 런던의 카프카의 조카 마리아나 슈타이너(Marianna Steiner)에게 인계되었다. 마리아나는 그 원고들을 옥스퍼드대 보들리도서관에 기증했다. 카프카의 원고 일부는 브로트의 여비서 에스더 호페(Esther Hoffe)에게 넘어갔고, 일부 원고들은 브로트의 친구들과 동료들에게 인계되었다(“Franz Kakfa―His Works,” <https://kafkamuseum.cz/en/franz- kafka/dilo/#1523700214228-e4d5bc97-3329>).
생전에 단편 소설 몇 편만을 발표했으며, 「변신」을 제외한 대부분의 작품들은 미완성으로 남겨졌다. 타계 당시, 단편집 7권과 미완성 장편 소설 3편을 남겼다. 현재는 미완성작 장편 소설 3편 외에도 중편과 단편 소설 78편을 엮은 카프카 단편 선집이 있다. 평생 수백 편의 서신을 썼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 소설과 일기 등 엄청난 분량의 글을 썼으나, 말년에 정신 불안으로 90% 이상을 소각했다고 한다. 생전에 작품의 내용과 관련해서 정신적 압박을 당한 것으로 추정되며, 작품을 미완성으로 마쳤다. 또한 작품의 90%가 완성된 시점에서 미완성작으로 소설을 마치거나 자신의 원고를 소각하는 성벽이 있었다. 카프카의 동창이자 편집자 막스 브로트가 팔레스타인으로 피란 당시에 여행 가방에 소지한 카프카의 원고는 수천 편에 달했다고 한다.
* 카프카의 창작 생활: 프라하의 토박이 작가로서 보험회사에서 법률 고문으로 일한 후에 오후 2시에 퇴근해서 집에서 가족들이 시끄러운 시간을 피해 휴식을 취한 후에 밤 11시부터 3시간 동안 집필을 했다고 한다.
* 소설가 카프카: 카프카는 완전한 무명작가가 아니라 생전에 소설 출판과 작가 활동을 일부하고 제한적 독자층을 상대로 이름을 남긴 작가였다. 생전에 3편의 미완성 장편 소설과 7권의 단편집을 간행했다. 1909년 단편 소설 「투쟁 기술」의 일부, 1913년 단편집 『관찰』의 일부, 1913년 장편 소설 『심판』, 1915년 단편 소설 「변신」, 1919년 단편 소설 「유형지에서」, 1919년 단편집 『시골 의사』를 간행했고, 마지막으로 1924년 완성하고 유고로 출판된 단편집 『배고픈 예술가』(단식 광대)가 있다. 이스라엘인 브로트는 언젠가는 20세기가 “카프카의 세기”가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고 한다. 카프카의 작가적 명성은 1945년 2차세계대전 당시 그의 장편 소설을 출판한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시작되었고, 일찍이 그의 실존주의 문학이 독일 문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1960년대 동유럽 공산주의 정권 치하에서 그의 고국 체코슬로바키아를 중심으로 카프카에 대한 재발견이 시작되어 독일어권을 넘어서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으로 세계적 명성을 얻기 시작했고, “카프카식”(Kafkaesque)이라는 영어 단어가 문학 용어로 그의 문학을 특성화하게 되었다. 사실상, 사르트르와 카뮈, 그 외의 많은 현대의 사실주의와 모더니즘 작가들에게 카프카는 위대한 문학적 영향을 끼쳤다.
* 카프카의 생가와 기념물: 카프카의 고향 도시 수도 프라하에는 그의 생가가 있다. 출생지는 프라하 유대인 빈민가 주변으로 구시가지 성 니콜라스성당 바로 옆에 위치해 있었다. 구시가지(Old Town) 유라드니체(Uradnice) 5번가로서, 현재는 생가는 없고 출입구에 명판이 있고, 이 명판에는 “프란츠 카프카가 1883년 7월 3일 이곳에서 태어났다”라고 새겨져 있다. 출생지 외에도 프라하에서 살던 집들(Old Town Square No. 2와 Old Town Square No. 5)이 있다. 프라하에는 카프카의 생가터 외에도 카프카박물관, 프란츠 카프카 카페, 구시가지 광장 주변의 출신 학교 등도 있다. 도시 외곽으로는 유대인 공동묘지가 있으며, 이 묘역에 카프카의 부모 무덤 아래에 카프카의 무덤이 있고, 또 2차세계대전 중 나치강제수용소에서 사망한 세 여동생의 무덤이 있다. 2004년에는 카프카 사후 80주년을 기념해 카프카 동상이 유대인 거주 구역 주변 광장에 건립되었다. 한편, 체코 프라하 중심가에는 도미토리룸이 갖춰진 유스호스텔 프란츠 카프카(Hostel Franz Kafka)가 있다. 프라하 구시가지 광장에서 100m 거리, 지하철 스타로메스트스카역(Staroměstská Metro Stop)에서 70m 거리이다. 카프카박물관에는 현재 수십 편 이상의 카프카의 소설 원고와 작품집, 일기와 편지, 체코어판 작품집 및 서신, 일기, 평전이 보관되어 있다.
* 한국의 카프카 연구: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검색되는 한국의 카프카 연구 성과는 임석원, 「프란츠 카프카의 「단식예술가」에 나타나는 복합시점과 예술관에 대한 고찰」, 『카프카연구』 제32호, 한국카프카학회, 2014년 등 국내학술논문 158편; 프란츠 카프카, 『변신, 프란츠 카프카 단편집』, 소담출판사, 2005년 등 단행본 993권; 이주동, 「「프란츠 카프카」(Franz Kafka) 文學世界에 있어서 二律背反(Antinomie)」, 서강대 대학원 독어독문학과, 국내석사논문, 1975년 등 학위논문 83편; 조창환, 「한국 현대문학의 프란츠 카프카 수용」, 한국연구재단(NRF), 2010년 등 연구보고서 39편; 고익환, 「카프카의 문학세계」, 대구대, 2015-04-09 등 공개강의 1편이 있다. <끝> <2023년 12월 22일, 나종혁 글>
* 참고 자료: 「프란츠 카프카」, 『위키백과』; “Franz Kafka,” wikipedia; “Franz Kafka” and “Max Brod”, Britannica; “Franz Kafka Biography,” ; “Franz Kafka,” <https://www.goodreads.com/ author/show/5223.Franz_Kafka>; “Franz Kafka―Quotes, Books & Works,” <https://www.biography. com/authors-writers/franz-kafka>; Felisati D and Sperati G, “Franz Kafka (1883-1924),” https://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639911/; “Franz Kakfa―His Works,” <https://kafkamuseum.cz/ en/franz-kafka/dilo/#1523700214228-e4d5bc97- 3329>; 기타 자료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