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아랍에미리트에 원자력발전소를 지으면서 K-원전시대를 열었던 현대건설이 '불가리아 코즐로두이' 원자력발전소 신규 건설공사의 입찰자격사전심사를 단독으로 통과하면서 약 15년만에 해외시장 진출의 신호탄을 쐈습니다.
우선협상자가 된 현대건설은 불가리아의 수도 '소피아'에서 북쪽으로 약 200㎞ 떨어진 코즐로두이 원전 단지 내에 2200㎿급 원전 2기를 추가로 신설하게 됩니다.
총 사업비는 140억 달러(약 18조 7000억 원)로 예측되고 있지만, 사업 범위가 아직 협의되지 않아 수주 규모는 협상이 완료되는 4월에 확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참고로 코즐로두이 원전은 1969년부터 시공된 불가리아 최초의 원전입니다.
현재 불가리아의 전력 3분 1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1~4호기는 원전이 노후화되어 폐쇄하였고, 지금은 러시아에서 개발된 가압경수로형 모델 5, 6호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만들어지는 7,8호기를 2035년까지 건설하여 가동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중요한 것은 현대건설이 이번에 수주를 따내면서 소형모듈원전(SMR)에도 두각을 나타낼 수 있냐는 것입니다.
SMR이란 증기발생기, 냉각재 펌프, 가압기 등 주요 기기를 하나의 용기에 일체화한 300㎿ 이하의 소형 원자로인데, 미래 에너지의 필수 사업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특히 대형원전을 건설하기 힘든 곳에 SMR을 지을 수 있기에 많은 원전기업들이 SMR에 기술개발 격차를 벌이고 있는 중입니다.
게다가 우리정부 역시 이를 알고서 8년동안 한국형 독자 SMR 개발에 총 4000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도 발표했었습니다.
과거 미국과 소련에서 핵잠수함과 핵항공모함에서 사용되던 SMR의 기술력이 좋다는 것은 그만큼 군사 강대국이며 경제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만약 현대건설이 SMR을 통해 세계시장을 공략해낼 수 있다면, 미래 원자로 시장에서 지속적인 두각을 나타낼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