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경시 점촌1동
목차
1, 개요
경상북도의 자치시
문경시 聞慶市
시청소재지 : 당교로 225(모전동)
하위행정구역 : 2읍 7면 5동
면적 : 911.9㎢
인구 : 68.529명
인구밀도 : 75.15명/㎢
상징 : 시화 철쭉. 시목 박달나무. 시조 매
점촌1동 사무소 : 문경시 점촌로 54-3 (점촌동409-7)
점촌1동 인구 : 세대수 2.773세대. 인구5.528명 남2.687명 여2.841명
(‘23.9.11현재)
행정구역 : 법정리동 24 . 반 119 반
면 적 : 0.87㎢
기관 및 단체 : 공공기관 1. 교육기관 2. 종교단체 11개소. 의료기관 29개소
경상북도의 시. 동쪽에 예천군, 남쪽에 상주시, 서쪽에 충청북도 괴산군, 북쪽에 충청북도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 이 있다.
수도권과 가장 가까운 경상도 지역이다. 이천시 율면의 맨 끝에서 문경시 가은읍 또는 문경읍의 극초입까지 최단 직선거리가 약 48km이다. 물론 실제 도로는 직선거리가 아니므로 실제 이동 시 거리는 약 75km이다.
문경이라고 하면 자연스럽게 문경새재가 떠오르는데 이 관문은 조선시대에는 서울과 영남을 잇는 영남대로의 주요 관문이었고 그만큼 문경은 교통의 요지였다. 현대에 들어와서는 경부고속도로나 경부선 등 각종 도로, 철도망이 생기면서 이러한 교통 기능을 상실했지만 대신 영화와 사극 촬영지, 트레킹 코스 등으로 각광받고 있다.
경제개발 시기에는 석탄개발이 활발한 곳이었으며 이때는 여느 광산도시와 마찬가지로 번성하던 곳이었으나 석탄사업의 몰락과 함께 크게 쇠락한 곳으로 경상북도 유일의 폐광지역진흥지구이다. 석탄이 많이 나던 곳답게 지질이 복잡하다.
2.상 징
M은 유려한 산세와 무구한 역사를 품은 문경 주흘산의 능선을 담아 찬란한 기품과 무한한 가치를 표현 했으며
G는 역사와 문화, 현재의 흔적까지 고스란히 품고 있는 문경새재의 굽이치는 옛길 위, 새 걸음으로 도약할 문경의 긍지를 담아냄.
긍정의 힘! Yes문경은 1%의 가능성만 있어도 할 수 있다는 ‘긍정의 힘’으로 문경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겠다는 자신감과 강한 의지를 상징함.
기쁜 소식을 듣고 경사스러운 일이 있다는 뜻인 “문희경서”의 ‘문희'와 '경서'는 도시의 상징마크와 일체감을 주면서도 다정하고 친근한 이미지로, 좋은 소식을 전해주는 문경시의 메신저를 표현함.
'문희'는 문경 이니셜 'M'의 모티브로 긍정과 열정을 상징하며, '경서'는 문경 이니셜 'G'의 모티브로 자연과 건강함을 상징함.
3, 역 사
행정구역의 변천사
□ 고려시대 이전
• 선사시대 : 신석기 시대부터 집단마을을 형성하여 사람이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 삼한시대 : 변(弁),진(辰)한의 읍락국가에 속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진한계 근기국(勤耆國) : 산양면 지역
- 진한계 호로국(戶路國) : 함창, 점촌, 호계지역
- 변진고순시국(弁辰古淳是國) : 함창지방(우리시 일부지역)
- 변진미리미동국(弁辰彌離彌凍國) : 함창 혹은 용궁(우리시 일부포함)
• 삼국시대 : 서기 505년(지증왕6년)에 신라가 지방제도를 확정하였다.
- 관문현(冠文懸) : 혹은 관현이라 부르고 고사갈이성(高思葛伊城)라 불렀 으며 현재의 문경, 마성지역.
- 가해현(加害懸) : 가은 농암 지역.
- 호측현(虎側懸) : 혹은 배산성(배산성)이라 불렀으며 점촌동과 호계면지역
- 근품현(近品懸) : 근(近)은 혹 건(巾)이라고 하며 품(품)은 암(嵓)이라고도 하며 산양, 산북지역.
- 고동람군(古冬攬郡) : 혹은 고릉군(古陵郡)이라 불렀으며 함창읍 지역이 며 점촌의 일부(모전)와 영순면의 일부(율곡)지역을 포함.
- 축산현(竺山懸) : 혹은 원산(圓山)이라 불렀으며 용궁지역으로 영순면의 일부 부지역(왕태)을 포함.
- 난산현(난산현) : 동로지역과 산북면 일부가 포함.
삼국시대에 들어서는 사벌국이 신라에 정복되어 간접지배 기간을 거쳤고, 눌지 마립간 때부터는 신라왕들이 추풍령 일대를 진골들을 억누르기 위해 왕실한테만 충성하는 직할군을 양성하는 왕실 직할지로 특화하여, 신라 왕실과 깊은 인연을 맺게 된다. 이후로 신라 왕실 직할군으로 정예병이나 근위대는 문경을 포함한 충청북도 동부 ~ 경상북도 서부에서만 배타적으로 지원을 받아 편성되는 인원들로만 구성된다. 행정구역상 당시 문경시는 최상위 행정구역인 사벌주(沙伐州)[8] 소속으로 고동람군(古冬攬郡)[9] 소속의 가해현(加害縣, 현 가은읍), 관현(冠縣, 현 문경읍)[10], 호측현(虎側縣, 현 호계면)의 세 현과 수주군(水酒郡)[11] 소속의 근품현(近品縣, 현 산양면), 난산현(蘭山縣, 현 동로면의 남단)의 두 현으로 분리되어 있었다.
남북국시대에 들어서는 경덕왕의 지명 한화정책 때 가해현은 가선현(嘉善縣)으로, 관현은 관산현(冠山縣)으로, 호측현은 호계현(虎溪縣)으로, 근품현은 가유현(嘉猷縣)으로, 난산현은 안인현(安仁縣)으로 각각 개칭된다. 상위 행정구역인 고동람군은 고령군(古寧郡)으로, 수주군은 예천군(醴泉郡)으로, 사벌주는 상주(尙州)로 개칭된다.
후삼국시대
후삼국시대에 들어서는 이 일대의 호족(한국사)으로 아자개가 유명했고, 그 아들인 견훤이 후백제의 건국왕이 된다. 앞서 설명한대로 당시에는 문경 일대가 상주의 휘하에 있었고 그 직할지와 매우 가까웠기 때문에 지금의 문경 지역 사람이던 견훤이 상주 사람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906년에는 태봉의 영역이 되지만 907년에는 후백제의 영역이 되었다가, 918년 고려에 귀부한 아자개 이후 문경 일대의 패권을 쥐게 된 호족인 흥달이 927년에 고려로 귀부하면서 문경은 상주와 마찬가지로 고려의 영역이 된다. 문경 지역 입장에서는 이것이 왕건의 고려와 첫 인연이 되는데 그러나 이는 흥달의 큰 판단 착오였다. 서라벌 기습과 공산 전투가 그 직후에 벌어졌고 고려의 영향력이 경북에서 거의 사라진 시기에 후백제군이 상주에 들이닥쳐 문경 일대는 상주와 함께 후백제의 영역이 된다. 그전까진 고려든 후백제든 그 일대를 장악한 호족의 귀부 여부로 귀속이 결정되었으나, 다름 아닌 자기 고향이자 가족들의 세력권인 문경 일대와 상주가 이런 식으로 고려와 후백제를 왔다 갔다 하는 것을 견훤이 더는 참을 수가 없었던 걸로 보인다. 그 이후로는 후백제가 아예 군사력을 상주시켜 후백제로의 귀속을 확고히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929년 현 가은읍 일대의 호족 선필이 후백제의 맹공에도 불구하고 성을 지켜낸 기록이 나오는데, 이를 보면 927년 견훤의 문경 일대 장악 후 929년 사이 어느 시점에서 가은읍 호족 선필이 고려에게 귀부하면서 적어도 오늘날 문경 일대 중 가은읍은 고려의 판도에 들어갔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후백제는 고려가 경북 일대에서 고창 전투로 반격에 성공한 이후에도 936년도에 멸망하기 직전까지 가은읍을 제외한 문경과 상주는 판도로 유지하지만, 견훤과 아자개의 출생지인 가은읍만은 또 다시 후백제에게서 벗어났기에 견훤 입장에서는 대단히 뼈아픈 일이었다.[12]
□ 통일신라시대 : 서기 757(경덕왕16년)에 지방제도를 개편하여 9주 5소경 117군, 293현을 두었다.
- 관산현(冠山懸) : 이전에는 관현(冠懸)또는 관문현(冠文懸)이라 하였으며 문경,마성지역으로 고령군(古寧郡 : 현 함창)의 영현이었음.
- 가선현(嘉善懸) : 이전에는 가해현(加亥懸)이라 하였으며 가은, 농암지역 으로 고령군(古寧郡)의 영현이었음.
- 호계현(虎溪懸) : 이전에는 호측현(虎側懸)이라 하였으며 점촌동 호계면 의 일부 지역으로 고령군(古寧郡)의 영현이었음.
- 가유현(嘉猷懸) : 이전에는 근품현(近品懸)또는 근암현(近嵓懸)이라 하였 으 며 산양 산북지역으로 예천군(醴泉郡)의 영현이었음.
- 안인현(安仁懸) : 이전에는 난산현(蘭山懸)이라 하였으며 동로면 일원과 옛 화장면 일원(내화리)으로 예천군의 영현이었음.
□ 고려시대
- 문희군(문희군) : 신라 경덕완때의 관산현으로 상주목의 속군이 됨.
- 가은현(가은현) : 신라 경덕왕때의 가선현으로 상주목의 속현이 됨.
- 호계현(호계현) : 신라때의 호칭이 변경되지 않음.
- 산양현(산양현) : 신라 경덕왕때의 가유현으로 상주목의 속현이 됨.
- 영순현(영순현) : 고려 원종때 영순 부곡이 영순현으로 승격되어 상주목
의 속현이 됨 (점촌지역 일부 포함)
- 안인현(안인현) : 신라 경덕왕때 예천군에 폐합(동로면과 옛 화장면)
□ 공양왕 2년(1390)에 문경군(聞慶郡)에 감무를 두었다.
- 가은현(加恩懸) : 상주의 속읍에서 문경의 속읍이 됨.
□ 조선시대
• 서기 1414(태종14년)년에 8도 체제를 완비하고 문경현의 감무가 현감으로 바뀌고 호계현을 합병하였다.
- 가은현은 문경현의 속현이 됨.
- 화장면(산북 북부지역)과 동로면은 예천군에 속함.
- 산서면,산동면,산남면, 산북면과 영순면(점촌리 포함)은 상주목에 속함.
• 서기 1892(고종32년)년에 문경도호부로 승격되었다.
• 서기1895년 5월26일(고종35년)에 8도의 각 감영(監營)과 부(府),목(牧),군 (郡),현(縣)을 통폐합하여 전국을 23부(부)로 개편하고 336군을 부 밑에 분 속시키는 지방관제 개정을 시행 하였다.
한성부(11군) | 인천부(12군) | 충주부(20군) | 홍주부(22군) | 공주부(27군) |
전주부(20군) | 남원부(15군) | 나주부(16군) | 제주부(3군 | 진주부(21군) |
동래부(10군) | 대구부(23군) | 안동부(16군) | 강릉부(9군) | 춘천부(13군) |
개성부(13군) | 해주부(16군) | 평양부(27군) | 의주부(13군) | 강계부(6군) |
함흥부(11군) | 갑산부(2군 | 경성부(10군) |
- 문경지역은 안동부에 분속됨.
- 문경군은 상주, 용궁, 예천 등 이웃 군에 할양되어 없어짐.
- 화장면(산북 북부지역)과 동로면은 예천군에 속함.
- 산서면, 산동면, 산남면, 산북면, 영순면(점촌지역포함)은 상주군에 속함.
• 서기 1896년 8월4일 건양원년에 23부 체제를 다시 개편하여 종래의 8도 중 충청, 전라, 경상, 평안, 함경도를 분할한 13도 밑에 하부 행정구역으 로 7부 1목 331군을 두었고 한성부는 직할로 두었다.
- 문경군은 경상북도에 분속됨.
이후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시대 문경현 이었다가 1895년 23부제가 실시 되어 안동부 문경군이 되었다. 1896년 23부 체제가 다시 13도로 개편되어 경상북도 문경군이 되었다.
□ 일제 강점기
• 1906년 1월19일에는 예천군의 동로면과 화장면이 문경군에 편입되었다.
• 1906년 9월24일에는 상주군의 산서, 산남, 산동, 산북, 영순면을 문경군에 편입하고 호서면과 호남면을 호서남면으로 통합(조선통감부에서 개편)
• 1910년8월22일에는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되어 13도(都)11부(府)317군(郡)을 조선총독부에서 관할하게 되었다.
• 1914년 3월1일에는 317군이 220개 군으로 통폐합(군단위 통폐합)되었다.
• 1914년 4월1일에는 문경군의 19개면 300개 동리가 11개면 129개 동리로 통합(면동리 통폐합)되었다.
- 영순면에 속하였던 점촌,달산리 (점촌리),하차,곶신(영신리),예동(흥덕리)함 창군 북면의 다방,해곡리(모전리)를 호서남면에 편입함.
- 용궁군 서면일부(왕태리)와 함창군 동면 일부(말응리)를 영순면에 편입함.
• 1933년에는 경상북도령 제33호로 신북면이 문경면에 통합되었다.(10면 129리)
□ 근 현대 시기
• 1949년 3월10일에는 문경군청을 문경읍 상리에서 호서남면 점촌리 232로 이전하였다.
• 1956년 7월8일에는 호서남면이 점촌읍으로 승격(법률제393호)되었다.
• 1963년 2월1일에는 농암면 삼송리가 충북 괴산군 청천면에 편입되었다.
• 1963년 8월30일에는 문경면 갈평 출장소, 가은 북부 출장소, 동로면 수평 출장소를 설치 하였다.(군 조례 제53호)
• 1963년 9월5일에는 산북면 거산출장소를 설치하였다.(군 조례 제54호)
• 1968년 9월3일에는 군 청사를 모전리 59-2번지로 신축 이전하였다.
• 1973년 7월1일에는 호계면 봉정리를 산양면으로 편입(대통령 령3789호)하 였고 문경, 가은(이안면 저음리를 가은읍에 편입)이 읍으로 승격 되었다. (대통령 령 제6543호)
• 1986년 1월1일에는 점촌읍이 호계면 별암2리를 편입하여 점촌시로 승격 되었다.(법률 제3798호)
• 1989년 1월 1일에는 상주시 함창읍 윤직리 일부를 점촌시에 편입하였다.
• 1995년 1월1일에는 점촌시와 문경군이 통합하여 문경시가 되었다.(법률 제4774호)
• 1996년 2월8일에는 산북면 거산출장소 동로면 수평출장소 폐지하였다.
• 1999년 1월1일에는 신기, 대성, 공평동을 통합하여 신평동을 설치하였다.
• 2004년 1월1일에는 점촌동, 중앙동, 신흥동, 신평동, 모전동을 점촌 1, 2, 3, 4, 5,동으로 동 명칭 변경하였다.
• 2015년 10월 2일부터 10월11까지 10일 동안 제6회 2015 경북문경세계 군인체육대회가 개최되었다.
1906년 예천군의 동로면과 화장면이 문경군에 편입되었고, 상주군의 산서·산남·산동·산북·영순면이 편입되었다. 1914년 용궁군의 서면, 함창군의 동면 일부를 편입하였고, 1933년 신북면이 문경면에 통합되었다. 1956년 7월 8일 호서남면이 읍으로 승격하면서 호서남면의 중심 마을인 점촌리의 이름을 따라 점촌읍으로 개칭되었고, 1963년 1월 농암면 삼송리가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으로 편입되었다. 1973년 7월에는 문경면이 읍으로 승격하고, 가은면과 상주군 이안면 저음리를 합쳐 가은읍이 되었다. 1986년 1월 점촌읍과 문경군 호계면 별암리 일부가 합쳐져 점촌시로 승격, 분리되었고, 1989년에는 상주군 함창읍 윤직리 일부를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자로 점촌시와 문경군이 합쳐져 도농복합시가 되었다. 1996년 산북면 거산출장소, 동로면 수평출장소를 폐지하였다.
2004년 1월 1일 행정동들의 이름이 변경됐다.
점촌동 → 점촌1동
중앙동 → 점촌2동
신흥동 → 점촌3동
신평동 → 점촌4동
모전동 → 점촌5동
3.-1 시의 명칭에 관한 문제
1986년 문경군의 일부였던 점촌읍이 시로 승격되어 점촌시로 설치된 것이 문제의 발단이다. 과거 문경군청은 문경읍 상리에 있었으나 1949년 점촌읍으로 이전하면서 문경군의 중심지가 점촌으로 바뀌었다.
1995년 도농복합시 도입으로 인한 행정구역 대개편 당시 본래 하나의 행정구역이었던 점촌시와 문경군도 통합하게 되면서 통합시의 명칭을 문경시로 하느냐 점촌시로 하느냐를 놓고 논란이 일었으며, 이 문제가 지역 주민들 사이의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상당한 진통 끝에 원래 이름인 '문경시'가 되었지만 문경시 안에 시청이 있는 구 점촌 지역과 문경읍이 공존하는 상황이 혼란을 가져왔다. 현재 점촌은 문경시 점촌동이다.[13] 문경읍에 문경시청이 없고 옛 점촌시 지역인 시내에 문경시청이 위치하게 된 것이다.[14] 현재 문경시 인근의 대부분의 교통 표지판에는 시내를 가리키는 표시로서 반드시 '점촌(문경시청)'과 '문경읍'을 명확히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표지판 사진 보통 나오는 지도에서는 점촌 지역은 문경시청 소재지라서 문경으로 나오고[15] 역시 문경읍도 문경이라고 나온다.
석탄개발이 활발하던 1960~80년대까지는 젊은층 인구도 많고 지역 전체 인구도 10만이 넘을 정도로 번성했으며 약 30여개의 탄광이 있던 1974년에 인구는 16만 1천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이후로 탄광이 하나둘씩 문을 닫고, 1985년에 본격적으로 산업합리화 정책이 실시되면서 인구가 가파르게 줄기 시작했다. 1974년 16만 1천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11년간 2만 1천명이 줄어 1985년 인구는 14만명 정도였는데, 1985년부터 10년간은 과거 감소폭의 두 배를 넘는 4만 4천명이나 인구가 감소했다.
2023년 2월 인구가 7만 선이 붕괴되고 말았다.
문경시는 경상도 시 중에서 가장 인구가 적으며 전국 기초자치단체 인구 순위에서 시 중에서는 4번째로 인구가 적다. 계룡대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특례로 승격된 계룡시를 제외하면 (뒤에서) 1, 2, 3위인 태백시, 삼척시, 문경시 모두 폐광으로 인해 인구가 급격히 감소한 지역이라는 특징이 있다.
그나마 KTX 문경역의 개통과 더불어 문경 역세권 도시개발에 기대를 걸고 있으나 이 정도로는 얼마나 크게 효과를 볼지가 미지수이다.
문경은 일제강점기인 1926년부터 석탄을 캐던 곳으로 이때 만들어진 대성탄좌는 남한 최초의 석탄광산이다. 한때 국내 제2의 탄전지대였으며 1960~80년대에는 석탄산업이 활발한 곳이었다. 그러나 석탄이 사양산업이 된 이후 석탄을 캐던 광산들은 줄줄이 폐광되기 시작하고 한때 73개에 달했던 문경의 광산은 1994년 7월 최후의 광산인 은성광업소마저 폐광하면서 석탄산업은 완전히 막을 내렸다.
신기동에 쌍용양회 문경공장이 있었고 문경시 경제에 많은 기여를 했으나 2018년 6월에 폐업하였다. 이 부지는 영화 및 드라마 촬영소로 조성될 예정이다.
【자료】 나무위키 경상북도 기초 자치단체 문경시편
▣점촌의 유래
□점촌의 의미와 탄생
점촌은 조선시대 각종 물건을 생산하는 수공업자인 장인들이 모여 사는 마을로써 장인들이 물건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원료의 공급과 생산품의 소비 등 여러 조건이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장인들은 각 직종에 E라 필요한 원료나 생산조건이 구비된 지역에 집단적으로 거주했고 이러한 장인들의 집단적인 거주지가 점촌을 형성하게 되었다. 조선전기 이래 장인들을 별도의 장적으로 파악해 소속관청을 비롯한 거주지역의 행정관청에 사역하거나 장인세를 징수해 왔는데 장인들이 제조한 물건을 관청에 바치거나 징발되어 사역 당하는 동안은 각종 연호잡역이 면제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므로 점촌 자체가 군역이나 각종 잡역을 면제받는 제역촌이 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점촌은 때때로 군역을 피하려는 한정의 소굴이 되기도 했는데 조선후기에 이르러 상품화폐 경제가 발전하고 사회적 분업이 진전되면서 점촌은 더욱 발전하였다.
전국에 분포되어있는 점촌은 각 지방마다 있을 정도로 많았으나 우리시의 점촌이 가장 번창하였다. 경산시 점촌동 이외의 다른 점촌은 대부분 큰 마을에 흡수되어 없어졌다.
연번 | 명칭 | 소재지(조선시대) | 현존 | 연번 | 명칭 | 소재지(조선시대) | 현존 |
1 | 점촌 | 경산시점촌동 | 여 | 5 | 점촌 | 진천군 광혜원면 금곡리(점촌) | 부 |
2 | 점촌 | 산청군 단성면 운리(점촌) | 부 | 6 | 점촌 | 문경시 점촌동 | 여 |
3 | 점촌 | 증평군 도안면 연촌리(점촌) | 부 | 7 | 점촌 | 여주시 점봉동(점말) | 여 |
4 | 점촌 | 상주목 산동면 점촌 (현 위만) | 부 | 8 | 점촌 | 평강군 현내면 점촌리 | 부 |
□ 지명의 유래
돈달산 기슭에 토기와 기와를 굽는 장인들이 모여 마을을 이루었고 상인들의 왕래가 많아짐에 따라 “점마”라 불렀으며 이를 한문으로 “店村”이러 표기하고 “점촌”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상주 진영장(鎭營將) 정상우(鄭祥玗)가 1830년 제작한 상산지도에 “점촌”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점촌”이란 명칭은 훨씬 오래전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본다. 점촌동(구,점촌리)지역은 고려 원종 이후 조선시대까지 영신리, 윤직리 일부와 함께 상주의 영순면에 속하였다. 상주군의 산서, 산남, 산동, 산북면과 함께 영순면이 문경군에 1906년 9월24일 편입 되었고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의 개편으로 1914년 4월1일우로 문경군 호서남면 점촌리가 되었다.
호서남면이 점촌읍으로 1956년 7월8일 승격 되었고 구후 1986년 1월1일 점촌시로 승격되면서 점촌리가 충현동과 중앙동으로 분리되었으며 그 후 충현동이 점촌1동으로 중앙동이 점촌2동으로 2004년 1월1일 명칭이 변경 되었다.
□ 문헌의 기록
• 문경읍지(1789년)의 방리 편에 수록된 면리는 아래와 같다.
-호남면 : 호창리(관에서 40리), 송연리(관에서 40리)
우지동리(관에서 44리),흥덕동리(관에서 40리)
-호서면 : 불정원리(관에서 36리), 유곡역리(관에서 40리)
진곡리(관에서 45리), 모전리(관에서 52리)
• 상주읍지(19세기 후반)의 방리 편에 수록된 면은 아래와 같다.
- 영순면 : 관에서 50리 - 산남면 : 관에서 60리
- 산서면 : 관에서 70리 - 산동면 : 관에서 70리
- 산북면 : 관에서 99리
• 일제의 토지조사 시(1913년)작성한 문경군 호서남면 점촌리의 마을별 주거 지 현황 및 토지 소유자는 다음과 같다.
마을명칭 | 위 치 | 필 지 수 | 가구수 (추정) | 인구수 (추정) | |
대지 | 잡종지 | ||||
점촌(店村) | 보건소 뒤 | 12 | 1 | 80 | 350 |
달산리(達山里) | 중앙시장 뒤 | 4 | 20 | 90 | |
무명마을 | 거산아파트 옆 | 2 | 4 | 16 | |
계 | 104 | 456 |
<표> 마을별 필지 수 및 추정인구
□ 문경시 인구 추이
1996년 158.783명
1970년 157.827명
1973년 7월1일 상주군 이안면 저음리+문경군 가은면→문경군 가은읍 통합
1975년 161.045명
1980년 147.218명
1985년 139.718명
1986년 1월1일 문경군 점촌읍→경상북도 점촌시 승격분리
1989년 1월1일 상주군 함창읍 윤직2리→점촌시 편입
1990년 119.400명 (점촌시 47.790명+문경군 71.601명)
【1996~1990. 통계청 인구조사】
1995년 1월1일 점촌시+문경군→문경시로 통합
1995년 95.778명
2000년 89.900명
2005년 78.058명
2010년 77.391명
2015년 75.784명
2020년 71.406명
2024년 1월 68.529명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 점촌1동 인구
- 세대수 2.773세대. 인구5.528명 남2.687명 여2.841명 (‘23.9.11현재)
□ 마을의 명칭과 규모
• 점촌 (店村)
- 보건소 뒤편~점촌성당 앞 지역(점촌동 280번지 외 12필지) 으로 점촌의 지명이 탄생된 곳이며 일제의 토지 조사시(1913년)작성된 지적 총괄도 에 “점촌”으로 표기되어 잇고 “점마”라고 지금도 부르고 있다.
- 마을의 규모는 대지 12필지, 잡종지 1필지 (점촌동 217번지로 옹기점, 기와점 또는 그와 관련된 창고부지로 추정됨)로써 면적은 6.290평이며 80가구 약 350명이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 달산리(達山里)
- 중앙시장 뒤편~문경여고 우측지역(점촌동 472번지의 3필지)으로 돈달 산 주변의 능선에 위치하여 달산리라 부른 것으로 추정되며 토지 조사 시 작성된 지적 총괄도에 “달산리”로 표기 되어있다.
- 마을의 규모는 대지 4필지로써 면적은 1.551평이며 20가구 약 90명이 살았을 것으로 보인다.
• 예진(芮津)
- 조선후기 지도에 등장하는 예동(芮洞) 예진(芮津)은 마을 명칭이 없는 작은 마을을 한문으로 표기한 것으로 새로운 동네라는 신기(新基)의
같은 용어로 해석된다.
- 상산지도(1830년)의 영순면도에 점촌의 좌측마을이 “예진”이라 표기 되어 있으며 마을이 커져 1913년 이전부터 달산리로 부르게 된 것 이 아닌가 생각된다.
• 무명마을
- 문화예술회관 앞 동측 거산아파트 북측 지역(점촌동 106번지의 1필지) 으로 토지조사 시 작성된 지적 총괄도에 마을 명칭이 표기되어 있지 아니 하였다.
- 마을의 규모는 대지 2필지로서 면적은 312평이며 4가구 약16명이 살 았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문경군聞慶郡,1914 → (店村市, 1986 聞慶郡 1986) → 문경시 聞慶市1995
□ 점촌1동 기관 및 공공건물 외 각종단체
점촌시로 승격되기 전 까지는 시청, 경찰서, 교육청, 소방서, 읍사무소, 극장, 농지개량조합. 시외버스 터미널 등이 점촌1동에 모여 있었으나 근래 와서는 시청과 경찰서는 모전동으로 교육청은 호계 견탄으로 이전 하였다.
- 교육 : 문경유치원. 상지유치원. 점촌어린이집. 보람어린이집. 중앙초등학
교. 점촌중학교. 문경직업전문학교. 도토리어린이집,
- 기관 : 점촌역, 충혼탑, 점촌1동행정복지센터. 점촌 문화의거리. 문경문화
원. 문경시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문경제일병원 진폐 요양기관 농협 문경시지부. 문경우체국. 국민은행. 문경새마을금고. 도시재생 지원센터. 문경시노인복지관.
- 종교 : 점촌성당. 충현교회. 침례교회. 하늘빛 교회. 시민교회. 우리교회,
하나님의 교회. 무량사. 천흥사. 청량사. 원불교. 문경영안교회, 대한 예수교 장로회, 아름다운교회,
- 주거 : 문창빌라. 화원 파크빌. 우진행복 아파트. 우성 아파트. 월드 빌. 한 성 하이츠. 성덕 하이빌. 승창 하이빌. 문경점촌 코아루 아파트. 진 캐슬 아파트. 예다움아파트, 브리티시에오피스텔, 그린파크, 에이스 빌라, 돈달산 아트빌, 한성하이츠, 문창빌라, 드림하이츠, 보림빌라,
- 숙박업: 아모르무인텔, 랑데뷰모텔, 샾모텔, E모텔, 월드파크, 텐모텔, B&B 모텔, 리베라파크 모텔, 새재관광호텔. 문경 건강랜드, 현대목욕탕,
아방궁모텔, 소림장모텔,
- 노인정: 현동경로당. 영강경로당. 점촌노인회, 문경제일경로당, 노인복지관.
천주교 노인회, 삼성노인회, 꽃씨노인복지, 선아재가노인복지쎈터,
장애인생활이동지원센터, 수어통역센터,
- 의 료 : 김규태 신경정신과. 평화 산부인과. 새재 한의원. 명광 한의원. 정
명근 외과. 수 치과. 바른손 한의원. 이웅렬 이비인후과. 삼성 연 합병원. 한솔 비뇨기과. 성모 안과. 삼성 안과. 민정형 외과. 문경 치과. 신명 치과. 김지호 치과. 박&박 의원. 가톨릭병원, 정광치과,
문경병원, 서울의원, 봉생한의원, 명내과, 제일병원 진폐전문 요양 기관,
유한약국, 보명당약국, 보건약국, 건강약국, 태평양약국, 삼일약국,
- 예식장 : 나하나 예식장, 궁전예식장, 고려예식장,
- 요식업 : 한우리식당, 미조리횟집, 태능 숯불갈비, 새동아가든, 대가식당,
진미순대, 현대순대, 동서가구, 옥노반점, 청기와감자탕, 춘천본가,
강남식육식당, 오리사랑, 은하식당, 대구뽈찜, 주막식당, 자갈치횟 집, 문창반점, 밥이보약, 그린숯불막창, 솥뚜껑구이점, 초원한우, 훈이네 양념통닭, 약돌돼지샤브샤브, 서울추어탕, 다맛골, 석쇠명 가, 뚜레쥬르, 성모반점, 쌍용해장국, OK식당, 고봉민 김밥, 부산
삼계탕, 문창반점, 오복찐빵, 그린가든, 장수순대, 청요리식당, 던
킨도너츠, 김밥천국, 인생횟집, 새삼일식당, 파트나인, 얼큰이 해 물칼국수, 초원한우, 맛탕집, 금호반점, 호식이두마리치킨,
- 상 점 : 대흥교복사, 소라의상실, 영남체육사, 올마트, 대덕쌀상회, 코사마 트, 민아사금방, 점촌건재철물, 초원한우, 세븐일레븐, 금성주유소, 점촌건강원, 상신기고물상, 성도미술사, 코스모스셀프세차장, 명성 사진관, 랜드로바, 한국야쿠르트, 수어통역센터, 옛날원조족발, 금 성슈터, 은피부관리소, 간이역, 한양커텐, 바지타운, 모글리빵집, 아빠이발관, 대구이발관, 장미미용실, 초코릿미용실, 보통이발관, 산호미용실, 미남이용소, 신진이발관, 동아문구사,
소창다명, 아름다운 선물, 옹기종기체험관, 박순진 행정사, 정창식 법무사, 건강랜드,
▣ 역대 점촌 1동 동장
직 위 | 직 명 | 성 명 | 재 직 기 간 | 비 고 | |
부 터 | 까 지 | ||||
동 장 | 별 정 직 | 황 진 섭 | 86.01.01 | 89.06.16 | 1 |
동 장 | 별 정 직 | 황 운 섭 | 89.06.17 | 92.07.03 | 2 |
동 장 | 별 정 직 | 권 오 성 | 92.07.04 | 93.06.29 | 3 |
동 장 | 별 정 직 | 황 익 주 | 93.06.30 | 96.02.10 | 4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박 종 만 | 96.02.11 | 98.01.13 | 5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이 유 승 | 98.01.14 | 99.03.08 | 6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채 숙 | 99.03.09 | 00.03.21 | 7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박 기 환 | 00.03.22 | 02.12.21 | 8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이 영 희 | 02.12.22 | 05.01.05 | 9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최 석 홍 | 05.01.06 | 06.07.05 | 10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황 재 완 | 06.07.06 | 09.01.01 | 11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신 동 칠 | 09.01.02 | 11.01.02 | 12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윤 장 식 | 11.01.13 | 12.08.31 | 13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최 송 환 | 12.09.01 | 13.06.30 | 14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전 경 자 | 13.01.01 | 15.02.10 | 15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김 정 환 | 13.07.01 | 15.06.30 | 16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유 시 일 | 14.07.01 | 15.02.10 | 17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이 정 철 | 15.02.11 | 15.06.30 | 18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박 순 진 | 15.07.01 | 16.06.30 | 19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우 귀 옥 | 16.07.01 | 19.06.30 | 20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김 옥 희 | 19.07.01 | 19.06.30 | 21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최 정 현 | 21.01.01 | 21.12.31 | 22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이 건 화 | 22.01.01 | 23.06.30 | 23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심 창 보 | 23.07.01 | 24.01.07 | 24 |
동 장 | 지방행정사무관 | 김 정 모 | 24.01.18 | 현재 | 25 |
동사무소 직원 업무분장표
번호 | 부 서 | 직 위 | 전 화 번 호 | 업 무 내 용 |
1 | 점촌1동장 | 동 장 | 054-550-8790 | 동정 전반 |
2 | 행정민원팀장 | 팀 장 | 054-550-8800 | 동정 전반, 복무관리 |
3 | 행정민원팀 | 주무관 | 054-550-8792 | 서무, 선거, 기획감사, 단체관리. |
4 | 행정민원팀 | 주무관 | 054-550-8791 | 농정, 유통축산, 세무, 건축. |
5 | 행정민원팀 | 주무관 | 054-550-8793 | 회계,주민숙원사업,도시,도시재생,문화예술,관광진흥. |
6 | 행정민원팀 | 주무관 | 054-550-8797 | 종합민원(주민등록,인감),안전재난, 교통행정 |
7 | 행정민원팀 | 주무관 | 054-550-8799 | 종합민원(가족관계,제증명),종합민원(주민등록,인감), 홍보전산,일자리경제 |
8 | 맞춤형 복지팀장 | 주무관 | 054-550-8801 | 맞춤형복지 총괄, 산림녹지, 보건 |
9 | 맞춤형복지팀 | 주무관 | 054-550-8803 | 국민기초, 의료급여,자활,긴급복지,사 례관리,서비스지원,성금모금. |
10 | 맞춤형복지팀 | 주무관 | 054-550-8802 | 새마을, 건설(숙원,환경개선), 환경, 상하수도 |
11 | 맞춤형복지팀 | 주무관 | 054-550-8802 | 노인, 여성, 장애인, 보육, 보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