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곡사 소요대사탑(보154호)1
탑신의 한면에 소요대사탑 순치육년 경인이라는 두줄의 글자가 뚜렷이 새겨져 있어 탑의 주인과
건립연도(1650년)를 명확히 알 수가 있다.소요대사 태능은 서산대사 휴정의 제자로 임란 때 불 타
버린 연곡사를 크게 중창한 스님이다.승려의 사리를 두는 탑신을 중심으로 기단과 머리장식을 얹
었으며 각부분이 8장이다.각단마다 연꽃무늬.문짝모양.금강역사상을 돋을새김했다.

소요대사탑 순치육년 경인2

소요대사탑(금강역사상)3

소요대사탑(금강역사상)4

소요대사탑(금강역사상)5

현각선사탑비(보152호)6
고려전기 승려 현각선사를 기리기 위해 979년(경종4년)에 건립되었다.몸돌은 없어지고 거북모양의
받침돌인 귀부와 머리돌인 이수만 남아 있다.비문은 학사 왕융이 지었고 글씨는 상주국 장신원이
썼다고 한다.돌거북은 부리부리한 눈과 수염을 가진 용머리를 하고 있다.앞면 가운데 현각선사비
명이라는 탑이름이 새겨져 있다.

현각선사탑비(용머리조각)7

의병장 고공 광순(1848년-1907년) 순절비8
구한말 의병대장 鹿川 高光洵의사는 1858년(헌종14년) 창평고을에서 태어났다.그는 나라가
망국의 조짐을 보이자 관직에 나가지 않고 항일의병의 길을 택해서 1905년 을사늑약 체결 후
에는 호남의병대장이 되어 자신이 제작한 불원복기(택극기에 광복이 얼마남지 않음을 표시한
깃발)를 앞세워 일본군과 싸우다가 불리해 연곡사에 들어와서 유격전을 펴다가 일본군경에
포위되어 1907년 순국했다.순절비는 공의 순국 100주년기념으로 2007년에 구례군에서 세웠다.
高公은 1895년 단발령이 시행되자 기우만이 이끄는 장성의병에 참가했다.1906년 태인의병
(최익현.임병찬)에 참가하려 했으나 해산하면서 뜻을 이루지 못했다.1907년 양한규의병이
일본군에 패하면서 수포로 돌아갔다.1907년 연곡사에서 장기전을 할려고 했으나 잡혀 순국
하면서 의병은 해산되엇다.

관음전(1983년 건립)9
한국전쟁 당시 한국군경들이 빨치산을 토벌한다는 명목으로 인근 마을주민들을
소개시키고 가옥과 연곡사를 전소시켰다고 한다.당시 피아골지역 토벌작전은
수도사단이 주도하였으며 이들은 직전마을.연곡사.남산마을.당치마을.용평마을
신천마을 등을 전소시켰다고 증언한다.

관음전 현판10

관음전(관세음보살상)11

관음전 주련(붉은 연잎 타시고)12

관음전 주련(신통으로 나투사)13

관음전 주련(보타산의 관세음)14

관음전 주련(도량안에 오셨네)15

관음전 벽화16

관음전 벽화17

관음전 벽화18

관음전 벽화19

관음전 벽화20

관음전 벽화21

관음전 벽화22

관음전 벽화23

관음전 벽화24

관음전 벽화25

관음전 벽화26

관음전 벽화27

잘 가꾸어진 화분28

삼성각29

삼성각 현판30

삼성각(탱화)31

삼성각(탱화)32

삼성각(탱화)33

대적광전을 보면서34

운치있는 담장을 보면서35

해우소(화장실)36

해우소 현판37

템플스테이 지정사찰38

연곡사 일주문을 나오면서39

피아골 계곡40
피아골 계곡은 피와 기장을 많이 가꾸던 곳이어서 피아골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고 전해진다.등산로도 가파르지 않고 수량이 풍부하여 많은 피서객이
찾는 곳이다.특히 가을에는 三紅의 단풍이 유명한 곳이기도 하다.
(2018.07.07)
첫댓글 구례의 연곡사는 아마도 제비연자는 아닐까. 소요대사탑.현각선사탑비.고광순의병장 등 자세히 담아 놓았네.관음전벽면의 그림을 하나도 빠집없이 잘 찍는 마음의 제세가 남다르네 .삼성각.피아골계곡은 나도 오래 전에 가 보았는데 이름의 유래를 처음 들었네
제비의 골짝으로 된 사찰로 유명절이지만 워낙 피해가 많았던 절이라네~현재는 잘 단장이 된 절이라 좋았다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