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옛길 소개
삼남길은 조선시대 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지역을 총칭하는 삼남대로로 해남-강진-광주-익산-천안-서울을 잇는 1,000리 길을 말한다. 경기옛길은 역사적 고증을 토대로 원형을 밝혀 지역의 문화유산을 도보길로 연결한 새로운 형태의 역사문화탐방로다.
조선시대에는 한양과 지방을 연결하는 교통로가 있다. 이 중 경기도를 지나는 주요 6개의 도로망은 제1로인 의주로를 시작으로 시계방향으로 경흥로ㆍ평해로ㆍ영남로ㆍ삼남로ㆍ강화로가 있다.
이러한 원형길을 바탕으로 새롭게 조성한 ‘경기옛길’ 중 2013년 5월 삼남길 경기도 전체 구간이 개통되었다. 경기옛길에는 지역의 문화유산과 민담ㆍ설화ㆍ지명유래와 같은 스토리텔링이 곳곳에 녹아있어 길을 걸으며 역사와 문화를 경험할 수 있다.
삼남대로
조선시대 6대 대로 중 한양과 충청, 전라, 경상의 삼남지방이 이어었던 1,000리에 달하는 긴 길을 '삼남대로'라고 불렀다.
조선시대 육로교통의 중심축으로 과거를 보러가던 젊은 선비들이 이 길을 걸었고, 삼남지방의 풍부한 물산도(?) 이 길을 오갔다. 또한 이 길은 정조께서 아버지 사도세자를 참배하기 위해 현릉원으로 행차하던 길이며, 이순신 장군이 전라 좌수영으로 부임하던 길이고, 삼봉 정도전, 다산 정약용이 유배를 떠났던 길이며, 암행어사가 된 이몽룡이 남원으로 한달음에 달려갔던 길이기도 하고, 임진왜란과 한국전쟁의 격전지이기도 하다.
삼남길
경기옛길 삼남길은 '삼남대로'의 옛 노선을 연구고증하고, 그 원형을 최대한 따르면서 고속도로 등으로 단절된 구간, 도보자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구간 등에 대해 대체로를 개척하여 조성한 역사문화 탐방로이다. 평택에서 시작하여 조성한 역사문화 탐방로다. 평택에서 시작하여 오산, 화성, 수원, 의왕, 안양을 거쳐 과천으로 이어지는 약 100km의 구간이 조성되어 있다.
출처: 경기옛길 가이드북 & 패스포트
맑음터 공원에서 야막리 쪽으로 내려오면 평택시 진위면으로 접어든다. 진위현 관아가 있었던 진위면사무소나 진위천 인근의 풍광을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진위향교에서 옛 진위현의 위세를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다. 진위천을 건너 계속 길을 가다보면 '흰치고개'라고 불렸던 소백치와 대백치를 지나게 된다. 흰치고개를 지나면 내리저수지 인근에 위치한 원균장군묘에 도착한다.
맑음터 공원
1호선 오산역에서 2번 출구로 나와서 주차장을 지나 왼쪽으로 꺾어 들어가 골목을 빠져나오면 바로 앞에 오산천길이다. 그리로 내려가서 좌회전해서 7분 정도 걸어올라가면 맑음터 공원이다.
맑음터 공원은 원래 쓰레기 매립장이었던 곳을 공원으로 조성하여 인라인스케이트장, 농구장, 배드민턴장 등이 갖춰져 있고, 자연형 폭포, 생태 연못 등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76m 높이의 전망대인 에코리움은 맑음터 공원 주변의 경관을한 눈에 볼 수 있어 오산시의 랜드마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맑음터 공원을 완전히 빠져 나오면 삼남길 9길인 진위고을길 이정표를 만날 수 있다.
이 동네는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채소모종 재배부터 애호박, 방울토마토, 장미 화훼류 등 다양하게 재배되고 있어 수도권 채소 1번지라 불리는 곳이다.
삼남길 걸으면서 정말 짜증나는 건 이처럼 차도를 하염없이 걷는다는 것이다.
그 이후로도 계속 차도 옆길을 걸어야 했다.
흙길이면 참 좋을텐데, 또다시 만나게 되는 아스팔트길~!
드디어 산길로 접어들었다.
이 동네는 백사 이항복을 비롯한 경주 이씨 6형제가 집성촌을 이루고 살았던 곳이라고 한다.
루핀(루피너스)라는 식물인데, 참 독특하고 예뻐서 한 컷!
진위관아 터였던 진위면사무소
지금의 평택지역은 본디 진위현으로 불리던 곳으로, 원래는 '진위'가 이 지역을 대표하는 지명이었으나 일제강점기에 경부선 평택역을 중심으로 근대 도시가 발달하고 군청이 평택역 부근으로 옮겨가면서 읍치였던 진위는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고, 1949년 평택군 북면의 이름이 진위면으로 바뀌면서 결국 진위라는 지명은 평택의 한 지역을 지칭하는 의미로 축소되었다.
진위향교
진위향교는 1398년에 창건된 것으로 병자호란 때에 불에 타 건물이 모두 소실되어 위패만 모셔두고 제향만 올리다 1944년 현령 남두극이 대성전을 중수하면서 다시 격을 갖추었다. 현재 진위향교에는 대성전과 명륜당, 동·서재, 내·외삼문 등이 잘 남아 있다. 대성전은 본디 중국과 우리나라의 유학자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 그 중에서도 진위향교 대성전은 18세기의 건축기법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이곳 현덕면 신왕리 신왕나루는 상업활동이 활발하였던 포구였다고 한다.
한치고개
산길을 걷다가 잠시 누워서 하늘을 쳐다보는 것도 커다란 행복이다.
산길을 빠져 나오니 고급 전원주택 마을이다.
내가 좋아하는 붓꽃이 모여 있으니 참 예쁘다.
원균군 사당
본 사당은 명장 원균(1540-1597)을 모신 사당으로 원균은 조선 선조 때 명성이 높았던 무관으로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경상우도 병마절도사로서 혁혁한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시 삼재수군 통제사로 임하여 전사하였다.
원균장군묘
임진왜란 발발 당시 경상우수사였던 원균은 이순신과 함께 합포, 적진포, 사천 등지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 1597년 이순신의 뒤를 이어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었지만, 칠천량에서 전라 우수사 이억기, 충청 수사 최호 등과 함께 전사했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조정에서는 그를 선무 1등공신으로 봉했다.
바로 옆 내리저수지
삼남길 9길인 진위고을길은 산길이 아닌 차도를 많이 걷게 되는 코스다. 더욱이 마치는 곳에서 교통이 너무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