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럴 연(然)자는 고기를 뜻하는 육달 월(月,肉)자에 개 견(犬)자를 하고 글자 맨 아래에 불 화(火,灬)자를 해서 오랑캐 적(狄)자와 뜻이 같은 글자입니다. 개고기 연(然)자라고 해도 좋겠습니다. 자연(自然) 동의연(同意然) 의연(依然) 의연(毅然)
검열할 열(閱,閲)자는 의부(義符)로 문 문(門)자에 성부(聲符)로 빛날 태(兌)자를 했습니다. 빛날 태(兌)자는 여덟 팔(八)자 아래에 맏 형(兄)자를 해서 엄마 몸에서 아기가 태어나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맏 형(兄)자는 아기가 태어나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기쁠 열(悅), 검열할 열(閱)자는 빛날 태(兌)자가 들어 있어서 ‘열’로 읽습니다. 열오(閱伍) 열병(閱兵) 열사(閱史) 열무(閱武) 검열(檢閱) 열람(閱覽) 사열(査閱)
기쁠 열(悅,悦)자는 의부(義符)로 마음 심(心)자에 성부(聲符)로 빛날 태(兌)자를 했습니다. 빛날 태(兌)자의 속자(俗字)가 기뻐할 태(兑)자입니다. 기뻐할 태(兑)자와 빛날 태(兌)자는 같이 쓰이는 글자입니다. 엄마가 아기를 낳아서 엄마의 배 속에서 아기가 나오는 모양을 한 글자입니다. 자손이 빛나고 큰 기쁨임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기뻐할 열(說), 검열할 열(閱)자들은 빛날 태(兌)자가 들어 있어서 ‘열’로 읽습니다. 열지(悅之) 열락(悅樂) 송무백열(松茂栢悅) 화열(和悅) 심열(沈悅) 열구(悅口)
더울 열(熱)자는 더운 것은 불이니까, 불 화(火,灬)자 변에 불이 많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더위를 심는다는 표현으로 심을 예(埶)자를 했습니다. 심을 예(埶)자는 언덕 륙(坴)자에 알 환(丸)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언덕 륙(坴)자는 나무를 심을 때 흙을 쌓아 돋운 것을 뜻하고, 알 환(丸)자는 나무를 손으로 잡고 나무 주변을 다져 주는 것을 뜻합니다. 곧 나무 심는 모양을 그린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열탕(熱湯) 열성(熱性) 열성(熱誠) 열기(熱氣) 맹열(猛熱) 열애(熱愛) 체열(體熱) 신열(身熱)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