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 댕길 염(焰)자는 의부(義符)로 불 화(火,灬)자 변에 성부(聲符)로 함정 함(臽)자를 했습니다. 함정 함(臽)자는 구덩이와 모양이 같은 절구 구(臼)자 위에 사람을 표시해서 구덩이에 바진 사람을 나타냈습니다. 이문 염(閻), 불 댕길 염(燄)자를 했습니다. 염천(焰天) 화염(火焰) 불광염(佛光焰) 기염만장(氣焰萬丈) 염초(焰硝) 홍염(紅焰)
고울 염(艶,艷)자는 빛 색(色)자에 풍년 풍(豐,豊)자를 했습니다. 곱다는 것은 색(色)스러운 기운이 풍성한 사람을 두고 하는 말입니다. ‘쎅시Sexy’하다는 말이 아름답다는 말을 대체(代替)하고 있습니다. 풍성할 풍(豐)자는 풍성할 풍(豊)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입 벌릴 감(凵)자를 가운데를 막아서 두 칸을 만들고 예쁠 봉(丰)자를 좌우(左右)에 두 개 한 글자가 바로 풍성할 풍(豐)자이 윗부분입니다. 바로 농사를 지어 수확이 많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요염(妖艶) 염정(艶情) 염문(艶聞) 염문(艶文) 경염(競艶) 염자(艶姿) 염태(艶態) 부염(浮艶)
이문 염(閻)자는 의부(義符)로 문 문(門)자에 성부(聲符)로 함정 함(臽)자를 했습니다. 함정 함(臽)자는 구덩이의 모양과 같은 절구 구(臼)자 위에 사람 인(人)자를 해서 사람이 구덩이에 빠진 모양을 했습니다. 함정이란 사람이 빠지도록 만든 구덩이입니다. 불 댕길 염(焰), 불 댕길 염(燄)자는 함정 함(臽)자가 들어 있어서 ‘염’으로 읽습니다. 염부(閻浮) 염왕(閻王) 염립체(閻立體) 염유문(閻維文) 염라대왕(閻羅大王) 염마(閻魔)
싫을 염(厭)자는 집을 뜻하는 기슭 엄(厂)자 안에 발음을 표시하는 물릴 염(猒)자를 했습니다. 개고기를 많이 먹어서 더 먹을 수 없게 개고기에 물렸다는 말입니다. 동양(東洋)에서 개고기는 좋은 식품입니다. 염세(厭世) 학불염(學不厭) 염전(厭戰) 권염(倦厭) 염리(厭離) 금염(禁厭)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