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04월15일(토요일) 심야 출발 2023년04월16일(일요일) 귀경 전남 진도군 [여귀산&관매도] 여행일정
회비 94,300원 3월3일 송금 완료, 1호차 9열C 좌석 신청
* 2023년04월15일(토요일) 23:30시~2023년04월16일(일요일) 05:00시 “엠티산악회” 버스를 타고 지하철 3호선 신사역 4번 출구 앞에서 출발하여 전남 진도군 임회면 상만길 11 번지에 있는 상만리 마을회관로 이동 (409km) [5시간30분 소요]
산 : 진도군 여귀산(女貴山)
[진도(珍島)는 보배 진(珍)자를 쓴 섬답게 많은 귀한 것들을 품은 섬이다. 진돗개, 진도아리랑, 신비의 바닷길, 홍주 등 진도만이 가진 보배가 섬 곳곳에 널렸다. 여귀산이나 첨찰산, 동석산 또한 진도의 보물로 꼽을 수 있는 멋진 봉우리들이다. 산이 지닌 수려한 자태와 더불어 시원하게 펼쳐진 바다 풍광까지 덤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귀산은 진도군이 첨찰산과 더불어 진도의 2대 명산으로 꼽는 산이다. 계집 여(女)자에 귀할 귀(貴)자를 쓴 산명의 유래는 명확하지 않다. 단순히 풀어서 보면 ‘귀한 여자’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산 이름이 그래서인지 이 산을 남쪽이나 북쪽에서 올려다 볼 때 정상과 작은여귀산으로 불리는 뾰족한 봉우리가 마치 여인의 젖무덤처럼 보인다. 한국지명사전에 따르면 ‘이 산은 조선조 때 봉수대가 있어서 해남 관두산 봉수를 받아 첨찰산 봉수에 응하였다’고 한다.]
산행코스: [ 상만리 마을회관~비자나무~구암사~산죽 군락지~철계단~여귀산~작은 여귀산~밀재실재~탑립관광농원 ] (약 4km)
일시 : 2023년 04월 16일(일요일)
산행코스 및 산행 구간별 산행 소요시간 (총 산행시간 3시간 50분 소요)
* 05:00~05:10 전남 진도군 임회면 상만길 11 번지에 있는 상만리 마을회관에서 산행출발하여 구암사로 이동
* 05:10~06:50 여귀산(457m) 정상으로 이동 [2023년04월16일(일요일) 진도군 일출 시각 : 6시3분]
[여귀산 정상을 기준으로 북쪽에 진도읍과 그 뒤로 신안군의 장산도가, 북동쪽에 작은 여귀산과 그 뒤로 진도의 최고봉인 첨찰산(485m)이, 동쪽에 진도군의 접도와 그 뒤로 해남의 달마산이, 동남쪽에 진도군의 구자도와 그 뒤로 완도군의 노화도와 보길도가, 남쪽에 멀리 제주의 추자도가, 남서쪽에 진도군의 하조도와 상조도가, 서쪽에 진도항이, 서북쪽에 진도의 동석산과 그 뒤로 진도군의 가사도와 신안군의 신의도가 위치한다.]
* 06:50~07:10 사진촬영 후 간식
* 07:10~07:30 작은 여귀산(408m)으로 이동
* 07:30~07:50 밀재실재로 이동
* 07:50~08:00 휴식
* 08:00~08:50 전남 진도군 임회면 진도대로 3632 번지에 있는 탑립관광농원으로 하산하여 산행 완료
* 08:50~09:00 휴식
* 09:00~09:15 “엠티산악회” 버스를 타고 전남 진도군 임회면 진도대로 3632 번지에 있는 탑립관광농원을 출발하여 전남 진도군 임회면 연동리 1493 번지에 있는 진도항 임시여객선터미널로 이동 (12km) [15분 소요]
* 09:15~09:50 전남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리 소재 관매항으로 가는 여객선 승선 대기 (신분증 준비)
* 09:50~11:10 여객선을 타고 진도항을 출발하여 전남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리에 있는 관매항으로 이동 [25.1km, 1시간20분 소요] [(진도항~관매항) 승선요금 : 13,000원]
산 :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 서부지역 [관매8경 中 제7경&제8경&제3경 ]
산행코스: [ 관매항~관호마을~엉골잔등~다리여(관매도 제7경) 바로 앞 조망지점 ~ 벼락 바위(관매도 제8경) ~ 다리여(관매도 제7경) 바로 앞 조망지점 ~ 엉골잔등 남쪽의 해안길 ~
엉골잔등 가는 길과 엉골잔등 남쪽의 해안길 가는 길의 분기점 3거리 ~ 관호마을~ 우실 ~꽁돌 돌무덤(관매도 제3경)~왔던 길을 다시 밟아서 우실 ~ 관호마을 ~ 관매항 ]
일시 : 2023년 04월 16일(일요일)
산행코스 및 산행 구간별 산행 소요시간 (총 산행시간 2시간55분 소요)
* 11:10~11:25 전남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리에 있는 관매항에서 탐방 출발하여 관호마을로 이동
[관매 8경중 관매 3경부터 8경까지 6개가 관매도의 서쪽에 위치한 관호마을 쪽에 있다.]
* 11:25~11:40 관매도의 서쪽 능선인 엉골 잔등 능선으로 이동
* 11:40~12:00 엉골잔등으로 이동
[엉골잔등을 기준으로 북쪽에 진도군의 하조도와 그 뒤로 상조도가, 북동쪽에 관매도의 관매항과 그 뒤로 독립문바위가, 동쪽에 관매도의 최고봉인 돈대산과 그 뒤로 진도군의 독거군도가, 동남쪽에 완도군의 보길도와 제주의 추자도가, 남쪽에 멀리 제주도가, 남서쪽에 진도군의 병풍도가, 서쪽에 진도군의 거차군도와 그 뒤로 맹골군도가, 서북쪽에 진도군의 대마도와 그 뒤로 멀리 신안군의 흑산도가 위치한다.]
* 12:00~12:18 다리여(관매도 제7경) 바로 앞 조망 지점으로 이동
[(관호마을~엉골잔등~다리여 조망 지점): 2.3km]
[구렁이 바위가 있는 다리여는 바닷물이 많이 빠졌을 때 한달에 4~5회 정도 갈 수 있으며, 이곳에는 자연산 돌미역, 톳, 돌김, 우뭇가사리 등 해산물이 풍부하다.]
[다리여 앞 조망지점에서 7경 다리여뿐만 아니라 6경 서들바굴 폭포와 5경 하늘다리도 조망할 수 있다.]
[6경 서들바굴 폭포는 유람선을 타고 보아야 자세히 볼 수 있다.]
* 12:18~12:20 사진촬영
* 12:20~12:22 벼락바위(관매도 제8경)로 이동
[관매도에서는 해마다 청년을 제주(祭主)로 추대해 당제를 지냈다. 1년 동안 몸을 정갈하게 해야 하는데, 제주로 추대된 청년이 그 기간에 사귀어온 처녀를 몰래 만나자 갑자기 하늘이 벼락을 때려 섬 한 쪽이 깎아지른 절벽이 되었다. 이곳을 벼락바위라고 부르고, 청년과 처녀가 죽어서 다리여의 구렁바위가 되었다고 한다.]
* 12:22~12:25 사진촬영
* 12:25~12:28 다리여(관매도 제7경) 바로 앞 조망 지점으로 회귀
* 12:28~13:08 엉골잔등 남쪽의 해안길을 거쳐서 엉골잔등 가는 길과 엉골잔등 남쪽의 해안길 가는 길의 분기점 3거리로 이동
* 13:08~13:18 관호마을로 회귀
* 13:18~13:25 우실로 이동
[우실은 돌담을 쌓아 바람을 막고, 피해를 최소화하고 마을의 재앙을 막았던 시설로 마을에서 덕이 높으신 분이 지정을 해줘야 만들 수 있다고 한다. 일자로 세워지지 않고 띄엄띄엄 세워진 것은 단순히 바람을 막는 것뿐만 아니라 바람의 방향을 바꾸기 위한 것이라니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 13:25~13:30 꽁돌 돌무덤(관매도 제3경)으로 이동
[공룡알을 연상시키는 지름 5m 짜리 둥근 바윗덩이가 ‘옥황상제의 공깃돌’이라는 꽁돌이다. 일설에 의하면 옥황상제가 실수로 공깃돌 하나를 떨어뜨려 하늘장사를 보냈는데 지상에 내려온 하늘장사는 공깃돌에 손자국만 새겨 놓은 채 서들바굴 폭포 아래에서 목욕하는 선녀를 훔쳐보며 세월을 보냈다. 화가 난 옥황상제는 공깃돌 옆에 돌무덤을 지어 하늘장사를 묻었다. 뒤를 이어 공깃돌을 주우러 온 옥황상제의 두 아들 역시 선녀의 미모에 발이 묶여 바위섬으로 변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3경과 6경으로 꼽히는 ‘돌묘와 꽁돌’, ‘서들바굴폭포’에 서린 전설이자 관매도 남쪽 앞바다에 솟아난 형제섬에 얽힌 이야기다.]
* 13:30~13:35 사진촬영
* 13:35~13:40 우실로 회귀
* 13:40~13:47 관호마을로 회귀
* 13:47~14:05 전남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리에 있는 관매항으로 원점회귀하여 관매도 서부지역 탐방 완료
* 14:05~14:20 관매항에서 진도항으로 가는 여객선 승선 대기 [(관매항~진도항) 편도 승선요금 : 13,000원]
* 14:20~15:55 여객선을 타고 전남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리에 있는 관매항을 출발하여
전남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에 있는 진도항으로 이동 [25.1km, 1시간35분 소요]
* 15:55~16:20 “엠티산악회” 버스에 승차하여 출발 대기
* 16:20~21:20 “엠티산악회” 버스를 타고 전남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에 있는 진도항을 출발하여 서울 신사역으로 귀경 (414km) [5시간 소요]
진도군 여귀산 산행지도
관매도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