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증유(未曾有)
일찍이 있지 않았던 일이라는 뜻으로, 지금까지 한 번도 있어 본 적이 없음을 나타내는 말이다.
未 : 아닐 미(木/1)
曾 : 일찍이 증(曰/8)
有 : 있을 유(月/2)
(유의어)
광고(曠古)
전대미문(前代未聞)
파벽(破僻)
파천황(破天荒)
이 성어는 일찍이 있지 않았던 일이라는 뜻으로, 처음 벌어진 일이라 유례를 찾을 수 없는 놀라운 사건이나 일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고사성어이다.
능엄경(楞嚴經)등의 불교(佛敎) 경전(經典)에서 유래(由來)하였다.
미증유(未曾有)는 불경(佛經)에서 유래하였는데 능엄경(楞嚴經)에‘부처의 설법(說法)을 듣기 위하여 모인 승려(僧侶)들이 미증유(未曾有)함을 얻었다(法筵淸衆 得未曾有).’라고 하였고, 중아함경(中阿含經)에는 수장자(手長者)가 지켜야 할 8가지 미증유(未曾有)의 법(法)에 대한 설명이 있다.
불경(佛經)에는 미증유(未曾有)라는 말이 자주 보이는데, 부처의 공덕(功德)을 찬탄(讚嘆)하거나 신비(神秘)하고 불가사의(不可思議)한 일을 말할 때 사용된다. 이로부터 유래(由來)하여 이전에는 한 번도 일어나지 않았던 매우 놀라운 사건이나 일을 묘사(描寫)하는 데 사용되어 미증유(未曾有)의 참사(慘死)라는 식으로 표현(表現)된다.
미상유(未嘗有)라고도 한다. 파천황(破天荒:천지가 아직 열리지 않은 혼돈의 상태인 천황을 깨고 새로운 세상을 만든다)이나 전대미문(前代未聞:지금까지 들어본 적이 없음), 공전(空前:비교할 만한 것이 그 이전에는 없었음), 광고(曠古:전례가 없음) 등과 같은 뜻이다.
미증유(未曾有)는 아드부타(adbhuta)란 범어(梵語) 곧 산스크리트말을 한자(漢字)로 번역(飜譯)한 것인데, 예전에 없던 일,일찍이 없던 일,썩 놀랍고 드문 일들을 가리킨다. 불경(佛經)에서는 아부타달마(阿浮陀達磨·미증유법)라 하여 부처의 신통력(神通力)을 일컫는다.
희유법(稀有法)이라고도 하는데, 글자에 견줘 뜻을 짐작기 어려우므로 현학적(衒學的)인 사람도 잘 쓰지 않는 말이다. 이 말은 요즘‘미증유의 사건,미증유의 경제위기,미증유의 유산,미증유의 논쟁,미증유의 인연’등등 처럼 주로 매김말로 쓰인다.
파천황(破天荒)은 인물이 나지 않는 풍토를 황무지에 견줘 이를 깨뜨린다는 뜻으로 쓰는 말이다. 다른 말로는는 파벽(破僻)이라고도 하며,‘개천에서 용났다’정도로나 쓸 말을 흔히 천지개벽(天地開闢)으로 부풀려 쓸 정도로 문자(文字)속이 밝은 호사가(好事家)가 쓴 글에서도 적절한 쓰임이 드러난 보기를 찾기 어렵다.
공전의 히트,공전의 성황,공전의 신기록,공전의 대박 등등 처럼 상품선전(商品宣傳) 얘기나 스포츠 기사 따위에서 흔히 공전(空前)이란 말을 쓰는데, 그것이 헛도는 바퀴인지 예전에 없던 일인지 헷갈리게 한다.
오히려 말맛은 적으나 전대미문(前代未聞)·전무후무(前無後無) 쪽이 그래도 그래도 쉬운 표현(表現)이겠다.
그런데도 억지스런 표현(表現)이 흔히 보이는 것은 일본식 관용(慣用) 쓰임에다 단순한 영어(英語)를 어렵게 뒤쳐 써 버릇한 결과로 보인다. 꼭 쓰자면 예전에 없던,전례 없는,유례 없는,비길 데 없는, 보기 드문,기록을 깨는, 획기적인 등으로 튀지 않게 쓰는 편이 낫고, 이로써 겹치기 문자풀이 말투를 줄일 수 있겠다.
▶️ 未(아직 미)는 ❶상형문자로 나무끝의 가느다란 작은 가지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중에 분명하지 않다, 희미한 모양, 아직 ~하지 않다란 뜻에 쓰인다. 음(音) 빌어 십이지(十二支)의 여덟째 글자로 쓴다. ❷지사문자로 未자는 ‘아니다’나 ‘아직~하지 못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未자의 갑골문을 보면 木(나무 목)자의 윗부분에 획이 하나 그어져 있었다. 이것은 나뭇잎이 ‘무성하다’라는 뜻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未자의 본래 의미는 ‘(나뭇잎이)무성하다’였다. 그러나 지금은 본래의 의미는 사라지고 ‘아직’이나 ‘없다’의 뜻으로 가차(假借)되어 쓰이고 있다. 未자는 ‘끝부분’을 뜻하는 末(끝 말)자와 매우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다만 末자는 끝부분의 획이 긴 반면 未자는 짧게 되어 있으니 이러한 차이점으로 구분해야 한다. 그래서 未(미)는 (1)십이지(十二支)의 하나. 그 여덟째임. 양을 상징함 (2)미방(未方) (3)미시(未時) (4)어떤 명사(名詞) 앞에 쓰이어 아직 다 이루어지지 않음을 나타냄 등의 뜻으로 ①아니다, 못하다 ②아직 ~하지 못하다 ③아니냐? 못하느냐? ④여덟째 지지(地支) ⑤미래(未來), 장차(將次)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아닐 부(不), 아닐 부(否), 아닐 불(弗), 아닐 비(非),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옳을 시(是)이다. 용례로는 그 동안이 그리 오래지 아니함을 미구(未久), 아직 오지 않은 때를 미래(未來), 아직 다 갖추지 못함을 미비(未備), 편안하지 아니함을 미편(未便), 아직 끝마감을 하지 못함을 미감(未勘), 아직 미치지 못함을 미급(未及), 아직 도착하지 아니함을 미도(未到), 끝을 다 맺지 못함을 미완(未完), 아직 작정하지 못함을 미정(未定), 아직 결혼하지 아니함을 미혼(未婚), 돈이나 물건을 아직 다 거두어들이지 못함을 미수(未收), 아직 결정되거나 해결되지 아니함을 미결(未決), 열매가 채 익지 못함을 미숙(未熟), 정한 수효나 정도에 차지 못함을 미만(未滿), 아직 정하여지지 아니함을 미연(未然), 아직 넉넉하지 못함을 미흡(未洽), 아직 모름을 미지(未知), 아직 다하지 못함을 미진(未盡), 아직 내지 못함을 미납(未納), 그 동안이 오래되지 않고 가까움을 미구불원(未久不遠), 아직도 속된 습관을 버리지 못하였다는 미능면속(未能免俗), 모든 일에 밝아도 오직 한 부분만은 서투름을 미달일간(未達一間), 아직 듣지 못한 일을 미문지사(未聞之事), 그렇지 않은 바가 아님을 미상불연(未嘗不然), 아직 그렇게 되기 전을 미연지전(未然之前), 옳지 않다 할 것이 없음을 미위불가(未爲不可), 지금까지 아직 한 번도 있어 본 적이 없음을 미증유(未曾有), 누가 옳은지 모름을 미지숙시(未知孰是), 겨우 목숨만 붙어 있는 송장이라는 미랭시(未冷尸), 남편과 함께 죽어야 할 것을 아직 죽지 못하고 있는 사람이란 뜻으로 과부가 스스로를 겸손하며 일컫는 말 미망인(未亡人) 등에 쓰인다.
▶️ 曾(일찍이 증)은 ❶상형문자로 曽(증)의 본자(本字)이다. 물을 담은 밑바닥 부분(部分)과 구멍이 뚫린 깔개와 김이 오르는 모양의 글자로 이루어지며 시루를 본떴고 빌어 겹치다, 또는 일찍이의 뜻으로 쓰인다. ❷상형문자로 曾자는 ‘일찍’이나 ‘이미’, ‘이전에’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曾자는 曰(가로 왈)자가 부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말씀’하고는 아무 관계가 없다. 曾자는 구멍이 있는 조리 도구의 일종을 그린 것이기 때문이다. 曾자는 지금으로 따지면 떡이나 쌀 따위를 찔 데 쓰는 시루를 그린 것이다. 그래서 갑골문에서의 曾자는 찌다’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그러나 후에 曾자가 ‘일찍’이라는 뜻으로 가차(假借)되면서 지금은 여기에 瓦(기와 와)자를 더한 甑(시루 증)자가 ‘시루’라는 뜻을 대신하고 있다. 그래서 曾(증)은 ①일찍 ②이미 ③이전에 ④거듭 ⑤이에 ⑥겹치다 ⑦더하다(=增) ⑧늘다 ⑨늘어나다 ⑩포개다 ⑪성(姓)의 하나,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증손자로 아들의 손자 또는 손자의 아들을 증손(曾孫), 지난날의 유람 또는 옛날 찾아간 일이 있음을 증유(曾遊), 거듭 깊이 생각함을 증사(曾思), 일찍이나 지난 때를 증왕(曾往), 일찍이 경험함을 증험(曾驗), 이미 세상을 떠난 증조부를 증조고(曾祖考), 이미 세상을 떠난 증조모를 증조비(曾祖妣), 매우 일찍을 조증(早曾), 고조와 증조라는 뜻으로 가까운 조상을 이르는 말을 고증(高曾), 손자와 증손을 손증(孫曾), 적손의 정실에서 난 아들을 적증손(嫡曾孫), 지금까지 아직 한 번도 있어 본 적이 없다는 말을 미증유(未曾有), 증삼이 사람을 죽였다는 뜻으로 거짓말도 되풀이 해 들으면 믿어버리게 된다는 말을 증삼살인(曾參殺人) 등에 쓰인다.
▶️ 有(있을 유)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달월(月; 초승달)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𠂇(우; 又의 변형)로 이루어졌다. ❷회의문자로 有자는 ‘있다’, ‘존재하다’, ‘가지고 있다’, ‘소유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有자는 又(또 우)자와 月(육달 월)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러나 여기에 쓰인 月자는 肉(고기 육)자가 변형된 것이다. 有자의 금문을 보면 마치 손으로 고기를 쥐고 있는 듯한 모습으로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내가 고기(肉)를 소유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니까 有자는 값비싼 고기를 손에 쥔 모습으로 그려져 ‘소유하다’, ‘존재하다’라는 뜻을 표현한 글자이다. 그래서 有(유)는 (1)있는 것. 존재하는 것 (2)자기의 것으로 하는 것. 소유 (3)또의 뜻 (4)미(迷)로서의 존재. 십이 인연(十二因緣)의 하나 (5)존재(存在) (6)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있다 ②존재하다 ③가지다, 소지하다 ④독차지하다 ⑤많다, 넉넉하다 ⑥친하게 지내다 ⑦알다 ⑧소유(所有) ⑨자재(資財), 소유물(所有物) ⑩경역(境域: 경계 안의 지역) ⑪어조사 ⑫혹, 또 ⑬어떤 ⑭12인연(因緣)의 하나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있을 재(在), 있을 존(存)이고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망할 망(亡), 폐할 폐(廢), 꺼질 멸(滅), 패할 패(敗), 죽을 사(死), 죽일 살(殺), 없을 무(無), 빌 공(空), 빌 허(虛)이다. 용례로는 이름이 세상에 널리 알려져 있음을 유명(有名), 효력이나 효과가 있음을 유효(有效), 이익이 있음이나 이로움을 유리(有利), 소용이 됨이나 이용할 데가 있음을 유용(有用), 해가 있음을 유해(有害), 이롭거나 이익이 있음을 유익(有益), 세력이 있음을 유력(有力), 죄가 있음을 유죄(有罪), 재능이 있음을 유능(有能), 느끼는 바가 있음을 유감(有感), 관계가 있음을 유관(有關), 있음과 없음을 유무(有無), 여럿 중에 특히 두드러짐을 유표(有表), 간직하고 있음을 보유(保有), 가지고 있음을 소유(所有), 본디부터 있음을 고유(固有), 공동으로 소유함을 공유(共有), 준비가 있으면 근심이 없다라는 유비무환(有備無患), 지금까지 아직 한 번도 있어 본 적이 없음을 미증유(未曾有), 계란에도 뼈가 있다는 계란유골(鷄卵有骨), 웃음 속에 칼이 들어 있다는 소중유검(笑中有劍), 입은 있으나 말이 없다는 유구무언(有口無言)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