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말도안되는 얘기같네요 핸드폰 바꾸는 이유는 기기의 성능 때문이고 성능을 결정짖는건 반도체인데 반도체를 옴긴다면 핸드폰을 뭐하러 바꿈니까?... 핸드폰 안에 정보만 옴기면되죠.. 반도체 말고 메모리칩을 옴긴다 하는 생각도 할수있겠지만 각 회사들간에 호환성을 해결하기 어렵죠... 기계에 있어서 핵심이 반도체이고
반도체를 만드는 기술이 곧 경쟁력인데 그걸 어떻게 각 회사들마다 같은 반도체를 쓰게할것이며 한 회사만 여러기기를 만들어서 한다고 해도 그 회사 재품만 살려는 사람이 있을리없죠... 한 예로 삼성전자가 있죠 자사 기기끼리만 호환이 쉽게 만들어서 알게모르게 욕먹은적이 있죠...
저는 가능할 것 같은 데요. 반도체 칩의 행태이든 메모리 칩의 형태이든 기술적 문제일 뿐이고 자신의 고유 번호를 그대로 사용 가능한 문제는 충분히 가능해 보입니다. 호환의 문제는 각 회사별로 일정의 규격을 합의해서 시행하면 문제가 되지 않을듯 하고 호환의 문제가 어렵더라도 자사의 제품들은 분명히 호환이 가능
첫댓글 말도안되는 얘기같네요 핸드폰 바꾸는 이유는 기기의 성능 때문이고 성능을 결정짖는건 반도체인데 반도체를 옴긴다면 핸드폰을 뭐하러 바꿈니까?... 핸드폰 안에 정보만 옴기면되죠.. 반도체 말고 메모리칩을 옴긴다 하는 생각도 할수있겠지만 각 회사들간에 호환성을 해결하기 어렵죠... 기계에 있어서 핵심이 반도체이고
반도체를 만드는 기술이 곧 경쟁력인데 그걸 어떻게 각 회사들마다 같은 반도체를 쓰게할것이며 한 회사만 여러기기를 만들어서 한다고 해도 그 회사 재품만 살려는 사람이 있을리없죠... 한 예로 삼성전자가 있죠 자사 기기끼리만 호환이 쉽게 만들어서 알게모르게 욕먹은적이 있죠...
저는 가능할 것 같은 데요. 반도체 칩의 행태이든 메모리 칩의 형태이든 기술적 문제일 뿐이고 자신의 고유 번호를 그대로 사용 가능한 문제는 충분히 가능해 보입니다. 호환의 문제는 각 회사별로 일정의 규격을 합의해서 시행하면 문제가 되지 않을듯 하고 호환의 문제가 어렵더라도 자사의 제품들은 분명히 호환이 가능
하니 그것 또한 제품의 경쟁력 입니다. 만약 우리나라의 경우 이런 시스템을 현실화하고 다른 나라의 제품의 경우 이런 시스템을 거부할 경우 시스템의 편리성으로 보아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요즘은 이동 통신사별로 번호 이동성제도도 현실화 하고 있는 현실이고 호환의 문제는 전혀 문제될것이 없다라고 볼수 있을듯합니다. 기술적인 문제의 해결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 호환성은 그다지.....
무척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됩니다.. 그렇지요.. 대단한 창의력..입니다. .. 대기업에 연구원 수백명 수천명 있으면 뭐해요?? ......... 님 같은 분이 ..사실 중요합니다... 좋은 생각입니다.
저의 아이디어에 맞장구 해 주시는 분을 참으로 오랜만에 접합니다. ㅋㅋㅋ . 저도 기분 좋아라 합니다. ^^
음.......한국의 경우는 핸드폰을 바꿀때 기계를 통째로 바꿔야하는데 중국이나 다른나라의 경우는 핸드폰에 조그만한카드(sim card, uim card) 만 바꾸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물론 그카드안에 개인정보및 주소록 비밀번호 등이 저장되어있지요...
결국 휴대폰과 PDA를 같이 가지고 있다면 둘다 사용할수있는 시스템이죠......오늘은 휴대폰에 카드를 꽂아서 쓰고 내일은 PDA에 꽂아서 쓰고....그럴일이 있을지는 모르지만....^^
sim card, uim card를 찾아보았는데요. 저의 생각과 동일하더군요. 그런데 사용의 용도나 사용방식이 약간 다른 것 같더군요. 유사하지만 약간 다른 점이 있는듯 하네요.
이런 문제는 '표준'이 마련되어야 가능한 일인데 그 '표준'을 결정한다는 일이 여간 까탈스러운게 아닙니다. 표준이 마련되어도 '권고'하는 수준이라.. 암튼 아이디어 좋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