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하기에 대한 사실과 새로운 '빙하기' 도래 시기는?
© Shutterstock
빙하기에 대한 사실과 새로운 '빙하기' 도래 시기는?
오늘날 우리의 주된 기후 문제는 지구 온난화이다.
이 기후 비상사태는 이미 지구에 극심한 기상 현상에서부터
농작물 부족에 이르기까지 엄청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인류에게 이것은 재앙이며, 지구에게도 위험하고 해로운 사건이다.
하지만 지구가 극한의 조건에 직면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빙하기는 지구를 황폐화 시켰고, 표면과 바다의 생명체를
완전히 바꾸어 놓거나 근절시켰다.
가장 최근의 빙하기와 달리 기록에 가장 오래 남은 빙하기는
지구 전체를 얼음으로 뒤덮었다.
이러한 사건들은 지구의 종말을 의미할 수 있지만,
지구 자체는 수백만 년이 걸릴지라도 천천히 치유되고 재건된다.
궁금한가? 사진을 통해 지구의 빙하기에 대한
모든 것을 자세히 알아보자!
© Shutterstock
빙하기란 무엇인가?
빙하기란 지구의 상당 부분이 빙하로 덮여 있던
수백만 년에 걸친 기간이다.
© Shutterstock
얼마나 많은 빙하기가 있었나?
과학자들이 확인한 바에 의하면, 지구가 형성된 이후
다섯 번의 주요 빙하기가 있었다.
긴 빙하기 동안, 작은 혹한기들이 있었으며,
빙하기 사이에 비교적 따뜻했던 기간을 간빙기라고 부른다.
© Shutterstock
빙하기의 원인은 무엇인가?
대체로 빙하기는 지구 주기의 자연적인 부분으로 여겨지며,
많은 요소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태양으로부터 지구의 거리,
지각판의 움직임,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수치 등이
빙하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Public Domain
느린 탄소 순환
지구의 탄소 순환은 수억 년이 걸리는 과정이다.
탄소는 온실가스의 형태를 띠는 대기에서 해양을 거쳐
서서히 해저로 가라앉고 암석으로 가압되어 결국
화산 폭발을 통해 대기로 돌아간다.
탄소가 암석 안에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에 기여하지 않는 한 이 단계가
종종 빙하기와 빙하의 일반적인 원인으로 언급된다
© Shutterstock
지구의 위치
태양 주위를 도는 지구의 위치가
계절과 날씨를 일 년 단위로 변화시키지만,
지구의 자전, 기울기, 흔들림은
더 긴 기간에 걸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구의 자전축은 4만 년마다 22°에서 24°로 기울며,
지구는 23,000년마다 세차운동을 한다.
이 두 요소가 올바른 방식으로 정렬될 때,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오랜 기간의 추위와 빙하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 Shutterstock
빙하기의 반대
빙하기는 지구의 대기와 태양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정상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반대되는 시기가 있다.
이 시기는 온실 기간으로 알려져 있고,
과학자들은 북극의 물에서 수영하는 고대 악어 종들과
햇빛이 잘 드는 남극의 해변에서 자라는
종려나무의 증거를 발견했다.
© Shutterstock
휴로니안 빙하기
기록된 역사상 최초의 빙하는
휴로니안 빙하기라고 알려져 있으며,
약 24억 년 전 원생대 시대에 일어났다.
실제로 22억 년 전까지 지속된 짧은 빙하기의 집합인
휴로니안 빙하기는 지구의 얇은 대기와 얕은 바다가
엄청난 산소 유입을 경험했던 기간인
대산화 사건에 의해 야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 Shutterstock
눈덩이 지구
휴로니안 빙하기 때 지구 전체가 북극에서 적도까지
눈과 얼음으로 뒤덮였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지구의 역사에서 몇 번밖에 일어나지 않은 일이다.
© Public Domain
극저온 시대
극저온 시대는 약 8억 5천만 년 전에 시작되어 2억 년 후에 끝났다.
극저온 시대에는 역사상 가장 심각하고 중요한
두 빙하인 스투르트와 마리노 빙하가 포함된다.
이 두 가지 사건 모두 눈덩이 지구 또는 바다가 두터운 빙하로
뒤덮이기보다는 해양 전체가 슬러시 상태였다고 주장하는
"슬러시볼 지구" 효과를 일으켰다고 생각된다.
© Shutterstock
안데스-사하라 빙하기
지질학적 사건에서 안데스산맥 지역과 사하라 사막을
함께 언급하는 것은 이상해 보일 수 있지만,
4억 6천만 년 전에 남아메리카와 서아프리카로 알려진 지역은
적도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구의 극점에 위치해 있었다.
© Shutterstock
카루 빙하기
3억 6천만 년 전에 시작되어 2억 5천 5백만 년 전까지 지속된
카루 빙하시대는 지구의 지각 판의 거대한 이동에 의해 야기되었다.
고대 대륙인 로라시아와 곤드와나가 합쳐져 판게아를 형성했을 때,
라익 대양과 이아페투스 대양의 따뜻한 물 통로가 끊어져
세계 양대 대양이 급속하게 냉각되면서, 결국 빙하기의 원인이 되었다.
© Shutterstock
따뜻한 빙하기
비록 빙하기 동안 세계는 얼음과 눈으로 덮여 있을지라도,
항상 견딜 수 없이 추운 것은 아니다.
카루 빙하기 같은 경우 초기 동결 후
온도가 비교적 정상으로 상승했다.
하지만 두꺼운 빙하와 얼음 층은 태양의 열이 지구 표면을
따뜻하게 하는 것을 막고 그 열을 대기로 돌려보낸다.
© Shutterstock
제 4기 빙하시대
제 4기 빙하시대는 260만 년 전에 시작되었고,
이후 지난 12,000년 동안 우리는 빙하기 내에
발생할 수 있는 간빙기, 즉 온난기에 있었다.
© Shutterstock
빙하기
몇 개의 주요 빙하기들이 있었지만, 흥미롭게도
약 12만 년 전에 시작되어 거의 12,000년 전에 끝난
가장 최근의 제 4기 빙하시대는 완전한 빙하시대가 아니었다.
© Shutterstock
지각 운동
이 빙하시대는 파나마 지협으로 알려진
비교적 작은 땅의 조각에 의해 크게 일어났다.
약 120,000년 전, 파나마 지협은 대서양과 태평양 사이의
따뜻한 열대 해류를 차단하면서 나타났다.
이 갇힌 따뜻한 물은 북쪽으로 이동해 증발했고,
북반구에 쌓인 엄청난 양의 눈이 결국 거대한 얼음판으로
변하면서 지구로 다시 내려왔다.
© Getty Images
마지막 최대 빙하기
약 20,000년 전 빙하의 부피가 절정에 달했으며
이 시기를 마지막 최대 빙하기라고 부른다.
마지막 최대 빙하기 당시 세계의 해수면은
오늘날보다 놀랍게도 400피트(122m) 낮았다.
© Shutterstock
빙하기 식물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빙하기는
녹색이 없는 척박한 황무지가 아니었다.
추운 온도와 풍부한 햇빛 속에서 번성하는
많은 종류의 강인한 식물들이 있었으며,
소나무와 자작나무 숲은 빙하기 동안 번성했다.
© Getty Images
빙하기 거대 동물
빙하기에서 가장 흥미로운 점은 지구를 돌아다니는
거대하고 웅장한 종의 동물일 것이다.
대부분의 거대 동물들은 빙하기 동안 번성했다.
왜냐하면 대부분은 이미 추운 산악지대에서
진화한 포유류였기 때문이다.
© Shutterstock
털북숭이 매머드
털북숭이 매머드는 추운 세계에 완벽하게 대비하고 있었다.
그들의 따뜻한 털과 가죽 그리고 유용한 지방은 그들을
겨울에 활기차고 편안하게 지낼 수 있게 했다.
사실, 지구가 다시 따뜻해지기 시작하고 나서
기후의 변화가 많은 매머드의 주요 먹이 공급원을
멸종시켰고, 이것은 매머드의 멸종으로 이어졌다.
© Shutterstock
작은 동물
하지만 빙하시대에서 살아남은 것은
거대한 짐승들만이 아니다.
쥐, 개똥지빠귀와 같은 작은 동물들 또한 번성했고,
그들은 삶의 많은 부분을 지하 이글루에서
따뜻하게 보내고 최소한의 식물로 생활했다.
© Shutterstock
거대 동물은 왜 멸종했을까?
털북숭이 매머드의 운명은 많은 거대 동물의 운명과 같았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식생 변화는 초식동물들 사이에서
대멸종을 일으켰고, 결국 많은 대형 잡식동물과 육식동물은
먹을 것이 없게 되었다. 이것은 지속적인 위협과 함께
빙하기 이후 세계의 대부분의 거대 동물들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멸종하도록 만들었다.
© Shutterstock
인류의 발전
아마도 빙하기에서 가장 잘 살아남은 종은 인간이었을 것이다.
필요에 의해 인간은 동물의 가죽으로 옷을 만드는 법을 배우고,
매머드 상아와 다른 재료로 크고 단열된 건물을 짓고,
혹독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협력하고,
수렵 채집 사회에 혁신을 불러일으켰다
© Shutterstock
이주 기간
빙하기는 원시 인류들에게 새로운 탐험의 기회였다.
처음 사람들이 베링 육교를 건넌 것은 약 16,500년 전,
마지막 최대 빙하기 직후였다.
베링 육교를 건넌 것은 해수면이 급격히 낮았기 때문이며,
이것으로 아메리카에서 인간의 삶의 시작되었다.
© Shutterstock
호모 에렉투스의 종말
호모 사피엔스는 빙하기 동안 적응하고 번성했지만,
그들의 사촌인 호모 에렉투스는 그렇지 않았다.
다른 인류와의 잦은 충돌로 인해 약해졌으며,
새로운 기후에 대한 적응 능력은 이들의 종말을 야기했다.
그들은 빙하기 초기인 10만 년 전에 멸종했다.
© Shutterstock
지렁이 멸종
또 다른 기이한 멸종은 북미 대륙에서 발생한
지렁이의 완전한 멸종이었다.
간빙기가 시작될 무렵인 약 12,000년 전,
빙하가 느슨해지고 천천히 대륙을 갈아엎기 시작하면서,
그 아래의 땅이 파괴되었다. 그 결과,
북아메리카의 모든 지렁이는 파괴의 희생양이 되었다.
1600년대에 이르러서 유럽 식민지 개척자들은
무심코 지렁이를 아메리카 대륙에 다시 들여왔다.
© Shutterstock
빙하기의 잔재
빙하기의 영향은 전 세계에서 볼 수 있다.
심지어 최초의 빙하기인 휴로니안 빙하기의 잔재도
캐나다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다.
오래된 빙상이 서서히 느슨해지기 시작하면서 산을 허물었고,
빙하 줄무늬로 알려진 바위에 깊은 구멍을 남기기도 했다.
© Shutterstock
만약 이 빙하들이 말을 할 수 있다면?
빙하가 녹으면서 세상을 놀라운 방식으로 만들어 왔다.
스코틀랜드의 네스호에서 북미의 오대호에 이르기까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수역 중 일부는
이전에 건조했던 분지에 빙하가 녹으면서 형성되었다.
© Getty Images
루이 아가시
빙하기에 대해 어떻게 알 수 있었을까?
이 모든 것은 스위스계 미국인 지질학자
루이 아가시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최초로 빙하의 침식 효과와
빙하가 지형에 남긴 징표에 대해 서술한 사람이며,
빙하학 분야의 창시자로 인정받고 있다.
© Shutterstock
다음 빙하기
다음 빙하기가 언제 지구를 강타할지는 과학계의 논쟁거리이다.
지구와 태양의 자연 주기를 연구하는 사람들에 의하면,
빠르면 2030년에 소빙하기로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인간 문명에 의해 야기된
엄청난 양의 온실 가스가 자연 순환을 완전히 어긋나게 했고,
다음 빙하기 시기를 50만 년이나 지연시킬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출처:
(Mental Floss) (History) (Facts Leg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