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싱이 천심이란만은 예나 지금이나 통하는 말입니다.그렇다고 민심만 따르다 보면 현상은 유지하나 미래를준비하는 혁신은 어려울수 있지요 이럴때 리더의 혜안과 추진력이 필요 하겠습니다. 설득력도 중요합니다. 오늘도 좋은날 되세요
ㅡㅡㅡ
감배하풍(甘拜下風) - 바람 불어가는 쪽으로 절을 하다, 스스로 몸을 낮추다.
[달 감(甘/0) 절 배(手/5) 아래 하(一/2) 바람 풍(風/0)]
사람이나 사물의 질이 낮은 것을 일러 下風(하풍)이라 한다. 사전에는 이 뜻 밖에 없지만 바람이 불어가는 쪽이란 의미로 사용된 곳이 많다. 孫子兵法(손자병법)에 나오는 전술에 따른 火攻(화공)의 다섯 가지 원칙 중에는 이런 말이 있다. ‘화공은 바람이 위를 향할 때 실시하고, 바람이 아래로 향할 때는 공격하지 않는다(火發上風 無攻下風/ 화발상풍 무공하풍).’
바람이 불어가는 쪽은 말소리가 잘 들리는 곳으로 민의가 향하는 곳이기도 하다. 바람이 불어가는 쪽을 향하여 기꺼이 머리 조아려 절을 한다(甘拜)는 것은 대의를 좇아 자신을 낮춘다는 뜻이다. 바람과 맞서 싸울 때는 逆風(역풍)을 맞는다.
孔子(공자)의 春秋(춘추)를 해석한 三傳(삼전) 중에서 가장 평가받는 左丘明(좌구명)의 ‘左氏傳(좌씨전)’에 관련 이야기가 실려 있다. 晉(진)의 獻公(헌공) 말년에 맞은 계비 驪姬(여희, 驪는 검은말 려)의 음모로 태자가 자살하고, 두 왕자 重耳(중이)와 夷吾(이오)는 쫓겨났다.
헌공이 죽자 중신과 이웃 秦(진)나라의 도움으로 막내 이오가 먼저 왕위에 올라 惠公(혜공)이 되었다. 그런데 혜공은 은혜를 모르는 용렬한 군주였다. 秦穆公(진목공)이 왕위에 오르도록 도움을 줬고, 흉년이 들었을 때 양곡을 보내준 호의를 무시하여 보복을 부른 것이다.
秦(진)나라가 기근이 들었을 때 晉(진)에게 양곡을 보내주도록 요청하자 혜공은 대부 慶鄭(경정)의 간언에도 불구하고 거절했다. 분노한 목공이 전투를 벌여 韓原(한원) 땅에서 진창에 빠진 혜공을 사로잡았다. 포로로 끌려가는 혜공을 따라 대부들은 머리를 풀어헤치고 함께 했다.
목공이 배은망덕한 혜공 외에 그대들까지 포로로 할 수 없다고 하자 대부들은 머리를 조아린다. ‘하늘과 땅도 진실로 군주의 말씀을 들었으며 우리들 모두 부족함을 인정합니다(實聞君之言 群臣敢在下風/ 실문군지언 군신감재하풍).’ 이후 淸(청)나라의 소설에서 甘拜(감배)로 바뀌어 사용된 것이 나타난다.
사람은 모두가 자신이 모자라는 것을 모르고 제일인 줄 우쭐댄다. 특히 남보다 우월하다는 지도자란 사람들은 더하다. 고위 공직자들은 국민들이 자신들을 위해 있는 줄 안다. 선출직들은 선거 때에는 허리가 꺾일 듯이 유권자에게 몸을 굽히다가도 끝나면 언제 그랬느냐 하며 뻣뻣하다. 하풍을 따라 겸손을 모르다가는 태풍이 닥치듯 뒤집어진다. / 제공 : 안병화
ㅡㅡㅡ
The saying that Minsing is the will of heaven is a saying that has been used since the past. However, if we only follow the will of the people, the status quo will be maintained, but it will be difficult to innovate to prepare for the future. In such cases, the leader's insight and driving force will be needed. Persuasion is also important. Have a good day today.
Gambaehapoong (甘拜下風) - bow to the direction the wind is blowing, lower one's body.
[Moon Gam (甘/0) bow Bae (手/5) below Ha (一/2) wind Pung (風/0)]
When a person or thing is of low quality, it is called 下風 (low wind). This is the only meaning in the dictionary, but it is often used to mean the direction the wind is blowing. Among the five principles of fire attack (火攻) according to tactics in 孫子兵法 (The Art of War), there is this saying. ‘When the wind blows upward, fire is carried out, and when the wind blows downward, do not attack (火發上風 無攻下風/ 화발상풍 무공하풍).’
The direction the wind blows is where speech is heard well, and it is also where the people’s will is directed. Bowing to the direction the wind blows (甘拜) willingly means lowering oneself in pursuit of justice. When fighting against the wind, one faces a counterwind (逆風).
A related story is included in Zuo Qiu Ming’s ‘Zuo Zhuan’, which is the most highly regarded of the Three Biography (三傳) that interprets Confucius’s Spring and Autumn Annals. In the final years of King Xian of Jin, the conspiracy of his second wife, Li Ji (驪姬, 驪 means black horse, Li), led to the suicide of the crown prince, and the two princes, Zhong'er and Yiwu, were expelled.
After King Xian died, with the help of his loyal ministers and the neighboring state of Qin, the youngest son, Yiwu, ascended the throne first and became King Hui. However, King Hui was a cowardly monarch who did not know gratitude. He helped King Mu of Qin ascend the throne, and when there was a famine, he ignored the favor of sending grain, which led to revenge.
When Qin requested that Jin send grain during a famine, King Hui refused despite the advice of his minister, Qing Zheng. The enraged Mok-gong fought and captured Hye-gong, who was stuck in the mud in Hanwon. The nobles followed Hye-gong as he was taken prisoner, letting their hair down.
When Mok-gong said that he could not take them as prisoners besides the ungrateful Hye-gong, the nobles bowed their heads. ‘Heaven and earth have truly heard the words of the sovereign, and we all admit our shortcomings (實聞君之言 群臣敢在下風/ 실문군지언 건신감재하풍).’ Later, it was used as 甘拜 (甘拜) in a novel from the Qing Dynasty.
Everyone does not know that they are lac
첫댓글 '사람은 모두가 자신이 모자라는 것을 모르고 제일인 줄 우쭐댄다.' 너무나 공감가는 한마디입니다. 요즘도 새롭게 인생을 배우고 있습니다. 사람과 사람 관계에서 어느것이 더 중요하고 어떠한게 잘난것인지... 참으로 많은 아픔 속에서 성숙하나 봅니다.
겸손이 가장 어렵다는 덕목이라 합니다.자신도 모르게 우쭐우쭐..모임에가면 내가젤 쫄병이라고 생각하라는 글을 본일이 있습니다.그만큼 겸손하기가 어렵다는 얘기이겠죠 회장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