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별로 최대 10% 인하될듯, 최소 10년여 만에 인하...백내장 심사강화·코로나 영향 분석
1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대형사를 포함해 다수의 손해보험사들이 1세대 실손보험의 내년 평균 보험료 인하를 저울질 중이다. 인하 폭은 보험사별로 많게는 10%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는 약 6% 올랐다. 2009년까지 실손보험 평균 손해율이 100%대 였음을 감안하면 1세대 실손보험이 인하된 것은 최소 10여년 만이다.
'구(舊)' 실손으로 불리는 1세대는 1990년부터 2009년 9월까지 판매된 상품으로 가입자가 약 820만명에 달한다. 실손보험 가입 시기별로 1세대~4세대까지 총 3900만 계약 중 21%를 차지한다. 자기부담금 없이 의료비 전액을 보험금으로 충당할 수 있어 가입기간이 10년이 넘었어도 많은 사람들이 계약을 해지하지 않았다.
내년에 1세대 실손보험료가 이례적으로 인하되는 이유는 백내장 보험금 영향이 적지 않다. 최근 몇년간 실손보험료 누수의 원인이 됐던 백내장 수술 과잉진료가 대법원 판결 등의 영향으로 심사가 강화됐다. 1세대 실손은 백내장 수술 과잉진료를 부추겼던 다초점렌즈 비용을 보장하고 있다. 반면 2009년 이후 나온 다른 실손보험은 일부 보장(2세대)하거나 아예 보장하지 않는다.
아울러 코로나19 확산으로 병원 이용이 준 점도 1세대 손해율 하락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입원비와 약제비 담보에서 보험금 지급액이 대폭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통상적으로 실손보험료 조정은 3년 이상의 손해율과 손해율 증감 추세를 감안해 진행되고 있어 여전히 코로나19와 보험료율이 연관이 된다. 실제로 2020년 141.9%였던 1세대 손해율은 2021년 142.4%, 지난해 말 124.9%로 좋아졌다. 올해 역시 지난해보다 더 개선됐다는 것이 업계 추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