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 或對曰 申棖 子曰 棖也慾 焉得剛 어떤 사람이 대답하기를, “신정이 강직합니다.”라 하니,
공자께서 말씀하시를, “신정은 욕심이 많은 사람이니 어찌 강직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셨다.
○ 申棖, 弟子姓名. 慾, 多嗜慾也. 多嗜慾, 則不得爲剛矣. 申棖은 제자의 성명이다. 慾이란 嗜慾이 많은 것이다. 기욕이 많으면, 곧 굳셀 수가 없는 것이다.
問欲慾何分別 朱子曰 無心欲字虛 有心慾字實 二字亦通用 누군가 묻기를, “欲자와 慾자를 어떻게 나누어 구별합니까?”라고 하였다. 주자가 말하길, “心자가 없는 欲자는 虛이고, 心자가 있는 慾자는 實이지만, 두 글자는 또한 통용된다.”라고 하였다. ○ 程子曰: “人有慾則無剛, 剛則不屈於慾.” 정자가 말했다. “사람이 욕심을 갖게 되면 굳셈이 없어지고, 굳세면 욕심에 굽히지 않는다.” |
3 | 謝氏曰: “剛與慾正相反. 能勝物之謂剛, 故常伸於萬物之上; 爲物揜(掩)之謂慾, 故常屈於萬物之下. 自古有志者少, 無志者多, 宜夫子之未見也. 棖之慾不可知, 其爲人得非悻悻自好者乎? 故或者疑以爲剛, 然不知此其所以爲慾爾.” 사씨가 말했다. “굳셈과 욕심은 서로 정반대다. 외물을 능히 이기는 것을 일컬어 굳셈이라고 말하기 때문에, 고로 항상 만물 위에 펼쳐진다. 외물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일컬어 욕심이라고 말하기 때문에, 고로 항상 만물의 아래로 굽힌다. 자고로 뜻이 있는 사람은 적고, 뜻이 없는 사람이 많았기 때문에, 공자께서 미처 그를 보지 못한 것이 당연하다. 신정의 욕심은 알 수 없으나, 그 사람됨은 벌컥벌컥 성을 잘 내고 자기 지조만 좋아하는 자가 아닐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혹자가 그를 굳센 사람이라고 여긴 듯하지만, 그러나 이것이 바로 그가 욕심이 많은 까닭임을 알지 못하였을 따름이다.”
新安倪氏曰 孟子集註 悻悻怒意 自好自愛其身也 신안예씨가 말하길, “맹자집주에서 悻悻은 성낸다는 뜻이고, 自好란 스스로 제 몸을 아낀다는 것이라고 하였다.”고 하였다.
程子曰 凡人有慾 則不剛 至大至剛之氣 在養之可以至焉 정자가 말하길, “무릇 사람이 慾을 가지면, 굳세지 않다. 지극히 크고 지극히 굳센 氣는 기르는 것이 지극할 수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朱子曰 剛是堅强不屈 卓然有立不爲物欲所累底人 故夫子以爲未見 주자가 말하길, “剛이란 굳세고 강하여 굽히지 않고, 우뚝 서서 물욕에 얽매이지 않는 사람이기 때문에, 공자께서 아직 보지 못하였다고 여기신 것이다.”라고 하였다.
凡人纔貪一件物事 便被這物事壓得頭低了 纔有些慾 便被他牽引去 此中便無所主 焉得剛 무릇 사람이 조금이라도 한 물건에 탐을 내면, 곧바로 이 물건에 의하여 눌려서 머리를 숙이게 된다. 조금이라도 욕심을 갖게 되면, 곧 그것에 이끌려 가게 될 것이고, 이 마음속에는 곧바로 주안점을 두는 바가 없을 것이니, 어찌 굳셀 수가 있겠는가?
節齋蔡氏曰 范氏謂 剛者 天德惟無慾者乃能之 神龍惟有慾 是以人得求其慾而制之 亦得而食之 聖人無慾 故天下萬物不能易也 蘇氏謂有志而未免於慾者 其志嘗屈於慾 惟無慾者能以剛自遂 某聞之師曰 剛者 外雖退 然自守而其中不詘於慾 悻悻者 外雖有崛彊之貌 而其中實有計較勝負之意 卽此便是慾 聖人觀人 直從裏面觀出 見得他中無所主只是色莊 便是慾了 절재채씨가 말하길, “범씨는 剛이란 天德이니 오직 욕심이 없는 사람만이 마침내 이를 해낼 수 있고, 神龍은 오직 욕심만 있으니, 이런 까닭으로 사람들이 그 욕심을 구하여 그를 통제할 수 있고, 또한 먹여 기를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성인께서는 욕심이 없기 때문에, 천하의 만물이 (성인의 뜻을) 바꿀 수 없는 것이다. 소씨는 뜻이 있어도 욕심을 면하지 못하는 사람은 그 뜻이 일찍이 욕심에 굽힌 적이 있기 때문이고, 오직 욕심이 없는 사람만이 능히 굳셈으로써 자신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내가 스승님께서 말씀하시는 것을 들었는데, 剛이라는 것은 밖으로는 비록 물러서더라도 스스로를 지켜서 그 마음속은 욕심에 굽히지 않는 것이라 하였다. 悻悻이라는 것은 밖으로는 비록 우뚝 솟은 굳센 모습을 갖고 있을지라도, 그 마음속은 사실 승부를 따지는 뜻이 있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욕심인 것이다. 성인께서 사람을 살피실 적에, 내면을 따라서 곧장 살펴내는데, 그의 마음속에 주안점을 두는 바가 없이 그저 얼굴빛만 장엄하다는 것을 알아볼 것이니, 이것이 바로 욕심인 것이다.”라고 하였다.
胡氏曰 剛則己大物小 凡天下之可欲者 皆不足以動之 所謂伸於萬物之上 是也 慾則己小物大 隨其意之所貪 俯首下氣而求之 所謂屈於萬物之下 是也 所以相對而相反 有此則無彼也 호씨가 말하길, “굳세다면 자기는 크고 외물은 작은 것이니, 무릇 천하 사람들이 하고자 할 만한 것도 전부 그를 움직이기에 부족할 것이다. 이른바 만물의 위에 펼친다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욕심을 가지면 자신은 작고 외물은 큰 법이니, 그 뜻이 탐하는 바를 따라서 고개를 숙이고 기운을 죽여서 그것을 추구하는 법이다. 이른바 만물의 아래로 굽힌다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剛과 慾은) 서로 짝이 되지만, 서로 반대가 되기 때문에, 이것이 있다면 저것은 없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西山眞氏曰 所謂勝物者 謂立志堅强不爲外物所奪 凡榮辱得喪禍福死生 皆不足以動之 如孟子所謂富貴不能淫 貧賤不能移 威武不能屈 此之謂勝物 非剛暴恃氣求以勝人之謂也 爲物揜之謂慾 言陷溺於物欲之中 不能自克 如爲物遮覆揜過而不能出也 서산진씨가 말하길, “이른바 勝物(외물을 이김)이라는 것은 뜻을 세움이 굳고 강하여 외물에 마음을 빼앗기지 않는 것을 말한다. 무릇 榮辱과 得失과 禍福과 死生이 모두 그를 움직이기에 충분하지가 않다. 예컨대 맹자가 말한 ‘富貴로도 탐닉시키지 못하고, 貧賤으로도 뜻을 옮기지 못하며, 威武로도 굽히지 못한다’는 것, 이것을 일컬어 勝物이라고 말하는 것이지, 굳세고 포악하며 제 기세만 믿고서 남 이기기를 구하는 것을 일컬어 말하는 것이 아니다. 외물에 의해 가려진 것을 일컬어 慾이라고 하는데, 물욕 가운데에 빠져서 스스로 극복하지 못하는 것이 마치 외물에 의해 덮어지고 가려져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雙峯饒氏曰 悻悻只是色厲底人 孟子所謂諫於其君而不受 則怒悻悻然 見於其面 是也 此等人外面雖似剛 其中心不過爲名 這便是自好 便是慾 卽所謂色厲而內荏也 쌍봉요씨가 말하길, “悻悻은 그저 얼굴빛만 사나운 사람이다. 맹자가 말한 이른바 ‘제 임금에게 간하다 받아들이지 않으면 성을 내어 悻悻然하게 그 얼굴에 드러난다’는 것이 바로 이런 것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외면은 비록 굳세게 보이지만, 그 마음속은 명분을 위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제 몸을 아끼는 욕심인데, 곧 이른바 얼굴빛은 사납지만 속은 연약하다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厚齋馮氏曰 棖之剛 乃血氣之剛 夫子所言 乃義理之剛也 血氣之剛 物慾得而屈之 惟義理之剛 則不爲外物所奪爾 후재풍씨가 말하길, “신정의 굳셈은 곧 혈기의 굳셈이고, 공자께서 말씀하신 바는 도리어 의리의 굳셈인 것이다. 혈기의 굳셈은 물욕이 그것을 굽힐 수 있지만, 오직 의리의 굳셈만이 외물에 의해 빼앗기지 않을 따름이다.”라고 하였다.
雲峯胡氏曰 孟子論浩氣曰 至大至剛 此天地之正氣也 悻悻自好 客氣也 或人於申棖惑其剛之似 而夫子識其不剛之眞 운봉호씨가 말하길, “맹자가 호연지기를 논하면서, 지극히 크고 지극히 굳세니, 이것은 바로 천지의 바른 기운이고, 悻悻自好는 客氣라고 말했다. 어떤 사람은 신정에 대하여 그 굳센 것 같음에 미혹되었지만, 공자께서는 그가 굳세지 아니한 진면목을 아셨던 것이다.”라고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