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편결제 전쟁` 지형도
핀테크·메신저 진영 앞장서 증권·보험 등 사업확장 주도
기업發 `삼성페이` 빅히트에
유통사 멤버십·바코드결제
소비자들 선택권은 넓어져 "차별화된 콘텐츠가 경쟁력"

◆ 진화하는 모바일 페이 ◆
다양한 업종의 기업이 앞다퉈 '페이 전쟁'에 뛰어들고 있다. 포털·메신저
업체를 비롯해 핀테크 기업, 카드사, 제조·유통 업체, 지방자치단체 등이 페이 시장에서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에서 총 43개사가 50종의 간편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 중 사업 다각화로 '1등 종합 금융 플랫폼' 경쟁을 본격화하고 있는 업권은 포털·메신저, 핀테크 업체들이다. 카카오페이, 토스
등은 은행·증권·보험사들이 하는 기본적인 금융 관련 업무를
소화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소비자들이 소액 투자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고, 최근에는
증권사(바로투자증권) 인수 마무리 작업에 착수했다. 온·오프라인에서 사용 가능한 카드 사업을 시작하면서 소비자 대상
다양한 마케팅 혜택도 선보이고 있다. 카카오페이 이용자들은 '카카오페이카드'를 만들면 온·오프라인 모든 결제에 대해 전월 실적 조건 없이 이용
금액의 0.3%가 자동 적립된다. 아울러 카카오페이는 50만원 충전액까지 연 1.7% 수준의 리워드를 지급해 전자머니를
사실상 예금처럼 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간편송금의 선두주자 비바리퍼블리카의 토스도 외부 투자금을 바탕으로 자체 증권사 설립을 추진 중이다. 앞서 토스는 부동산 P2P(개인 대 개인) 소액 투자, 해외 주식·펀드
투자 기능을 탑재했다. 또 기본 은행 업무 중 하나인 자유적금이나 소액 대출 사업도 시작했다. 적금 금리는 최대 연 2.9%로 금융권 내에서도 높은 편이다.
(중략)
오프라인 시장에서는 제로페이, 카드사, 카카오페이가 'QR 결제' 각축전을
벌이는 중이다. 관치금융 논란을 촉발한 '서울페이(서울시 제로페이)'는 최근 가맹점 숫자 10만개를 돌파했다. 민간기업의 앞선 주자는 카드사들과 카카오페이다. 특히 신한·비씨(BC)·롯데카드의 '카드사 연합 QR페이'는
제로페이의 대항마로 꼽히고 있다. 결제 수단만 플라스틱 카드에서 QR코드로
바뀌게 돼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할인·포인트 적립 등 혜택을 그대로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별도로 BC카드는 자체 간편결제 시스템인 '페이북' 활성화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신용카드 기반 간편결제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는 것이다. 페이북은 QR코드는 물론 NFC 방식 결제도 가능해 소비자의 선택 폭을 넓혔다. 애플리케이션 내 각종 할인·적립 혜택을 한눈에 볼 수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최근에는 비금융사들의 QR페이 시장 진출도 활발하다. 롯데멤버스는 소상공인이 모바일 앱만 내려받으면 엘페이(L.pay)로
결제할 수 있는 QR 결제 서비스를 시작했다. 신세계의 간편결제
서비스 SSG페이는 QR 대신 바코드를 통해 신세계 포인트
등을 SSG머니로 전환해 온·오프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SSG페이는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출금 서비스도 확대 중이다.
출처 : 매일경제
기사원문 : http://naver.me/FvGpnnq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