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마선폭발(grb)은 오랜동안 천문학자들이 풀지못한숙제로 남아있었는데..
최근천문학의 연구는 감마선폭발의 원인을 찾아가고 있다..
우주에서 일식이나 윌식같은재미난 관측다음으로 가장 많은 에너지를 내뿜는 것이
초신성의 출현이다..초신성은 별이 자기폭발하면서사라지는 현상인데 이 초신성과
비교할수 없는 에너지를 내뿜는 것이 감마선폭발현상이다>>grb
아주 짧은 시간에 방출되는 감마선 에너지는 은하의 모든별이 1년에 방출하는
에너지의 합계와 비슷하다..만약 태양계 가까운곳에서 감마선이 폭발한다면
지구의 모든 생명체는 대멸종을 할 가능성이 높다..
초신성은 supernova.. 극초신성은hypernova라 부르는데..
태양질량의 25배 이상되는 거대태양을 극초신성이라부른다..
이런 거대태양이 수명을 다해서 마지막 숨을 거둘때 태양중심은 블랙홀이 되고
블랙홀 중심에서 광속에 가까운 제트기류가 단속적으로 분출한다>>>>
단속적으로 분출되는 제트 덩어리들은 충돌하면서 엄청난 에너지의
감마선을 내뿜게 되고 그후 감마선방출이 끝나면 엑스선을 내보내게 된다..
초기의 감마선 관측은 1997년 이탈리아의 베포 삭스위성이 많은 역활을 했고
지금은 나사의 스위프트(swift)위성이 대신하고 있다..
2000년에는 미국.일본공동의 헤티2위성이 감마선 관측을 위해 발사되었고
우리나라 이대 교수인 박일흥교수는 mems망원경이란 마이크로 거울(256개 연결)
을 이용 감마선을 관측하고자 한다..개량된 mems는 mtel이란 망원경으로
4만개정도의 마이크로 거울로 짧은 시간에 사라지는 감마선을 추적하고자 한다
우리은하의 크기는 헤일로(사과모양)가 25만광년이고 나선은하가(사과속 씨방)
10만광년의 크기다.. 안드로메다까지는 250만 광년이고 우리가 속한 은하단인
처녀자리 은하단까지는 중심은하단 까지 거리가 6500만광년으로 약 1억광년이
안된다....
대부분 감마선 폭발은 우리처녀자리은하단으로부터 아주 멀리 60억광년이나
90억광년에서 발생하지만 2005년 스위프트의 관측에선 예외적으로
300만광년의 타원은하에서 감마선이 날라왔다..
감마선은 짧은 감마선폭발(1초나2초사이)...긴 감마선폭발(5초에서 수십초)로
분류되나 3월말의 나사 관측에선 10일이 넘는 긴시간동안 감마선 폭발이 관측되어
우리의 천문학 관측에 새로운 기록을 남겼다...넙ㄹ은 우주에는 아직 우리가 모르는
수많은 천문현상이 존재하는게 사실이다..
감마선폭발에 대한 다른 추측가능성은>>>>
1..두개의 중성자별 또는 두개의 블랙홀 충돌
2..중성자별과 블랙홀의 충돌..
3..극초신성의 폭발(hypernova)
4..중성자성의 별지진(자기 지진)
4가지 원인이 가설로 제기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우리은하>.은하수은하의 중심부에도24km의 블랙홀과
그보다 작은 블랙홀 두개가 존재하고 1년에 5개정도의 별이 새로 생기는 걸로
바서 과거에 우리은하가 주변의 작은 소은하와 충돌했을 것이란 가설을
내놓고 있다...
우리은하가 속한 국부은하군은 35개에서 50개정도의 은하들의 모임인데..
우리은하..안드로메다은하..삼각자은하외에는 은하의 크기가 작은
소형은하들이 많이 모여있다..앞으로 가장 빠른 은하의 충돌은
우리은하와 개자리은하의 충돌로 우리은하는 더 큰 은하로 성장할 것이다..
나사에서 우리은하안에 골디록스(외계인존재가능별)이 5억개라고
했으니까>>>>>오리온..플레이아데스..안타레스..카시오페아등등..
우리은하 밖의 외계인들은 언제쯤 우리와 문명교류를 할까??
우리은하에는 2000억개~4000억개정도의 항성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2011년 5월 3일 아시모프올림
첫댓글 제일 가까운 눈썹이 안보이는 것처럼 이미
비록 잘보이지는 않치만 이미외계인 와 있으며 우리들의 마음속에서 이미 활동하고
있지는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