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멋진 항아리의 지혜 ]
어떤 사람이 양 어깨에 지게를 지고 물을 날랐다.
오른쪽과 왼쪽에 각각 하나씩의 항아리가 있었다.
그런데 왼쪽 항아리는 금이 간 항아리였다.
물을 가득 채워서 출발했지만 집에 오면 왼쪽 항아리의 물은 반쯤 비어 있었다.
금이 갔기 때문이다.
반면에 오른쪽 항아리는 가득찬 모습 그대로였다.
왼쪽 항아리는 주인에게 너무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그래서 주인에게 요청했다.
"주인님 ! 나 때문에 항상 일을 두번씩하는 것 같아서 죄송해요.
금이 간 나같은 항아리는 버리고 새것으로 사다 쓰세요."
그때 주인은 금이간 항아리에게 이렇게 말했다.
"나도 네가 금이 간 항아리라는 것을 알고 있단다.
네가 금이 간 것을 알면서 일부로 바꾸지 않는단다.
우리가 지나온 길 양쪽을 한번 바라보아라.
물한방울 흘리지 않은 오른쪽 길은 아무것도 자라지 않는 황무지길이 되었지만
너로 인해 물을 흘린 왼쪽 길은 아름다운 꽃과 풀이 무성하게 자란 멋진 길이 되지 않았니?
너는 비록 금이 간 항아리이지만 너로 인해 많은 생명들이 자라나는 모습이 너무나 아름답지 않니?
나는 그 생명을 보며 즐긴단다."
이글을 읽고 다시 한번 생각해 봅니다.
당신은 혹시 금이 가지 않은 아내입니까?
당신은 혹시 금이 가지 않은 남편입니까?
당신은 혹시 금이 가지 않은 자식입니까?
당신은 혹시 금이 가지 않은 사장입니까?
당신은 혹시 금이 가지 않은 친구입니까?
좀 금이 가면 어떻습니까?
틈이 있으면 어떻습니까?
좀 부족하면 어떻습니까?
대부분의 사람은 슈퍼맨처럼 완벽하길 꿈 꿉니다.
자신의 금이 간 모습은 감추려고 애쓰며 수치스럽게 여깁니다.
때론 자신을 가치없는 존재로 여기며 실망하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세상을 삭막하게 하는 것은 흠이 있는 사람보다는 흠이 없는 사람들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되돌아 보면 금이 간 부모이고, 남편이고, 아내이고, 자식이지 완벽한 완성체는 없습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금이 간 모습을 보듬으면서
자신의 아름다움과 남의 아름다움을 함께 보고 느낄 줄 아는 삶을 살아야겠습니다.
- 좋은글 중에서 -
~~~~~~~~~~~~~~~~~~
[ 역심(力心)과 강심(强心) ]
'남을 아는 것을 지혜(智慧)롭다' 하고 자신을 아는 것을 현명(賢明) 하다고 합니다.
남을 이기는 것을 '역심(力心)'이라 하고 자신을 이기는 것을 '강심(强心)'이라고 합니다.
노자는 남과 경쟁해서 이긴다는 것은 힘(力/역)이 세다는 것이지 결코 강(强)하다는 뜻은 아니라 했습니다.
내 자신과 싸워 이기는 자가 진정 '강한 자'라는 것입니다.
즉, 자신의 탐욕(貪慾), 나태(懶怠), 교만(驕慢), 불신(不信), 거짓과 싸워서 이기는 자가 진정한 강자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자신을 이긴다 함은 자기의 사리사욕 (私利私慾)을 극복하고 마음을 비우며 상대의 모든 것을 받아들여 함께 더불어 창조적 마인드를 갖는 것이라 하겠지요.
즉, 자기 자신보다 남을 먼저 배려하는 사람, 자기위주가 아니라 항상 상대위주의 감성과 이성(理性)을 지닌 인간적이고 인격적인 사람을 말하지요.
모든 것에는 순서가 있고 때가 있으며, 내가 있을 자리와 떠나야할 자리가 있습니다.
내가 나를 모르는데 어떻게 나의 올바른 길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남을 알 수 있겠습니까?.
소크라테스가 말했듯이 "너 자신을 알라!"는 말과 카톨릭에서 "내 탓이오!, 내 탓이오!, 내 큰 탓이로소이다!"
라는 말은 함께 존재할 수밖에 없는 말로써 내가 나를 알면 나 자신의 문제점을 알게 된다.
즉 '남을 이기는것은 힘이 있는 것이고, 자기를 이기는 것이 가장 강하다' 라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그런 가운데 모든 것에 정확한 판단과 이해, 그리고 긍정적 사고를 갖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갖게 될 것입니다.
길을 걷다가 돌을 보면 약자는 그것을 '걸림돌'이라고 하고, 강자는 그것을 '디딤돌'이라고 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 옮겨온 글 -
첫댓글 좋은글 에 머물다갑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겁게 보내세요.~^^
디딤돌과 걸림돌의 법칙으로 우리 인생을 살아간다면..성공..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