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화할 은(訚,誾)자는 말씀 언(言)자에 문 문(門)자를 했습니다. 남의 집 문 앞에서 주인을 찾을 때에는 온화(溫和)한 말시를 사용하게 됩니다. 문(門) 앞에서 사용하는 말씨(言)라는 뜻을 가지고 만든 회의(懷疑) 글자입니다. 박은(朴誾) 은빈(誾彬) 은천대(誾千代)
숨을 은(隐,隠,隱)자는 의부(義符)로 언덕 부(阜,阝)자에 성부(聲符)로 삼갈 은(㥯)자를 했습니다. 삼갈 은(㥯)자는 손톱 조(爪)자 아래에 장인 공(工)자를 하고 고슴도치 머리 계(彐)자를 하고, 마음 심(心)자를 했습니다. 삼갈 은(㥯) 무엇을 만들 때에는(工) 손(爪,彐)을 조심해야 한다는 글자입니다. 조심할 때의 마음(心)이 삼갈 은(㥯)자입니다. 숨을 은(隐,)자와 숨을 은(隠)자는 숨을 은(隱)자의 모사(模寫)입니다. 은일(隱逸) 은둔(隱遁) 은자(隱者) 은거(隱居) 퇴은(退隱) 은어(隱語) 은익(隱匿)
은혜 은(㤙)자는 마음 심(心)자에 인할 인(囙)자를 했습니다. 은혜(恩惠)는 마음에 인연(因緣)하여 생긴다는 뜻입니다. 인할 인(囙)자는 인할 인(因)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인할 인(因)자는 사람을 표시하는 큰 대(大)자를 큰 입 구(囗)자 안에 써서 사람이 있는 범위를 표시하였습니다. 사람은 자기가 처한 위치를 바탕으로 생활한다고 해서 인할 인(因)자는 처한 그 위치를 표시하는 큰 입 구(囗)자 안에 사람을 나타내는 큰 대(大)자를 했습니다. 인할 인(因)자는 환경(環境) 지배설(支配說)을 뒷받침하는 글자입니다. 은혜(恩惠) 성은(聖恩) 은공(恩功) 은인(恩人) 은총(恩寵) 은애(恩愛) 국은(國恩)
은 은(銀)자는 의부(義符)로 쇠 금(金)자에 성부(聲符)로 어긋날 간(艮)자를 했습니다. 어긋날 간(艮)자는 밥그릇을 앞에 놓고 외면을 한 글자입니다. 은 은(銀), 끝 은(垠), 산모롱이 은(峎), 물가 은(泿)자들은 어긋날 간(艮)자가 들어 있어서 '은'으로 읽습니다. 금은(金銀) 은화(銀貨) 은혼식(銀婚式) 은장도(銀粧刀)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