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德華滿發*
조문도 석사가의(朝聞道 夕死可矣)
도반 동지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조문도 석사가의(朝聞道 夕死可矣)’라는 말이 있습니다. “아침에 도를 듣고 깨달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말이죠.《논어(論語)》<이인편(里仁篇)>에 나오는 말입니다. 이 공자님의 말씀을 어떻게 해석하면 좋을까요?
도반 동지 여러분!
이와는 정 반대로《도덕경(道德經)》첫머리에 노자(老子)께서는 ‘도가도 비상도(道可道 非常道)’, 즉 ‘도를 도라고 하면 이미 도가 아니다’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정반대의 되는 이 말씀이 서로 통하는 점이 있다고 생각지 않으시는지요? 도(道)는 언어를 초월한 깨달음에 있기 때문입니다.
마치 시골 초가지붕 처마 밑에 고드름을 고드름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항상 있는 고드름이 아닙니다. 날씨가 추워져 처마 밑에 매달려 있는 동안은 고드름이지만 녹게 되면 물이 되어 강물로 흘러들어 바다에 이르게 될 것입니다. 전에는 눈이었고, 구름이었으며 또 바다물의 일부였을 것이죠. 그래서 노자는 도를 말로 할 수 있다면 항상 할 수 있는 도가 아니라고 말씀하신 것이 아닐 런지요?
도반 동지 여러분!
공자께서는 아침에 도를 듣고 깨달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것은 처마 밑에 고드름이 영상의 날씨에 녹아 물이 되는 것 같이 도는 한 때라도 그대로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마치 인간의 생로병사와 같은 것이죠. 공자께서는 삶의 실상을 이와 같이 꿰뚫어 보시고 아침에 도를 듣고 깨달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고 하신 말씀일 것입니다. 그래서 ‘도는 사물의 당연한 이치이니, 만일 그것을 얻어 듣는다면 살아선 이치에 순응하고 죽으면 편안해서 다시 여한이 없을 것이다.’라는 심정을 나타내신 것 아닌지요?
도반 동지 여러분!
이 ‘조문도면 석사가의’라는 뜻은 여러 가지로 해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미 고정해서 이것이 도라고 하면 틀린 것이니까요? ‘아침에 도를 깨달으면 저녁에 죽어도 여한이 없다’는 뜻으로 우리는 해석을 합니다. 그러나 연암(燕巖) 박지원 선생은 이 구절을 해석하면서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된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목숨을 거는 일’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연암 박지원 선생의 해석과 같이 조선 초기 화가 최흥효 선생은 글씨에 목숨을 걸었습니다. 과거시험 도중 자신이 쓴 글씨에 빠져 과거시험 등락과 상관없이 그 시험지를 들고 집에 돌아와 글씨의 대가가 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조선 중기 그림의 대가 이징 선생은 그림에 목숨을 걸어서 어린 시절 다락에서 그림을 익히다가 3일 동안 집안 식구들이 찾게 만들었습니다. 또한 조선 중기 가인(歌人) 학산수 선생은 노래에 목숨을 걸어 천하 의 모든 사람들이 감동할 만한 명창이 되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도반 동지 여러분!
생사불입어심(死生不入於心)이라! 대가(大家)가 된 사람들의 특징은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서 세상의 영욕과 죽고 사는 문제에 전혀 개의치 않고 매진했던 사람이 아닌가요? 진정 목표를 향해 두려움 없이 정진하는 사람만이 위대한 경지에 이를 수 있습니다. ‘위도일손(爲道日損)’이라 했습니다. ‘배움은 날마다 채우는 것이고, 도를 닦는 것은 날마다 비우는 것이다.’를 상기하면 ‘조문도 석사가의’의 뜻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요?
도반 동지 여러분!
‘조문도석사가의’ ‘아침에 참된 이치를 깨달으면 저녁에 죽어도 한이 없다.’는 말은 이 외에도 여러 가지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1. 아침에 사랑함의 이치를 들어 깨우치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2. 아침에 사물의 이치를 얻어들으면 곧 삶이 순하고 죽는 것이 편안하여 여한이 없다.
3. 죽어가는 친구에게 ‘그대는 이미 진리를 깨우쳤으니 이제 죽은들 무슨 안타까움이 있으랴’고 말하는 것이다.
4. 공자가 죽을 나이에 이르러서도 세상의 도가 행해진다는 소리를 듣지 못함을 한해서 한 말이다.
5. 참다운 도를 깨닫는 순간 사람은 불생불멸의 이치를 알게 된다. 불생불멸의 이치를 깨달은 사람은 죽음이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한다. 생사가 일여(生死一如)다.
도반 동지 여러분!
어떻습니까? 아침에 도를 깨달으면 저녁에 죽어도 여한이 없으신지요? 저는 연암 박지원 선생의 말처럼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된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목숨을 거는 일’이라는 해석을 따르고 싶습니다.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된다는 일은 그냥 되는 것이 아닙니다. 생명을 걸어야죠. 저 역시 [덕화만발(德華滿發)]에 생명을 걸었습니다.
이 세상을 ‘맑고 밝고 훈훈하게’ 만든다는 일이 그냥 대충대충 얼렁뚱땅 해서 되는 일이 아닙니다. 세상이 하도 야박하고 부조리가 춤추는 이 삭막한 세상이 저 한 사람의 힘으로 이 일이 이룩되어 갈 수는 없습니다. 우리 덕화만발가족 모두가 힘을 뭉쳐 펼쳐가도 결코 쉽지 않은 일이죠. 그렇게 어려운 일에 대충대충 얼렁뚱땅은 제 양심이 용납할 수 없습니다.
도반 동지 여러분!
우리 덕화만발의 세상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목숨을 걸어야 합니다. 이것이 이룩된다면 저는 저녁에 죽는다 해도 여한이 없습니다.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뽑히고, 원천(源泉)이 깊은 물은 가뭄에 아니 마릅니다. 우리가 목숨을 걸고 덕화만발의 바람을 일으킨다는 것은 바로 뿌리 깊은 나무요 샘이 깊은 방죽을 파는 일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어떠한 역경(逆境) 난경(難境)에도 꿋꿋하여 굽히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 일을 위해서라면 어떠한 유혹에도 초연(超然)하여 평온함을 얻을 것입니다.
도반 동지 여러분!
불보살(佛菩薩)은 전심(前心)과 후심(後心)이 한결같아 불보살이 된 것입니다. 그러나 범부(凡夫)들은 처음 발심과는 달리 경계를 따라 그 마음이 흔들려 퇴보하므로 성공을 못하는 것입니다. 우리 언제나 도 즐기는 마음과 공(公)을 위하는 마음으로 덕화만발을 위한 전심과 후 심을 한결같게 하면 언젠가는 맑고 밝고 훈훈한 낙원세계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요!
원기 98년(2013) 4월 26일 덕 산 합장
【다음카페 덕화만발(德華萬發)클릭→http://cafe.daum.net/duksan725】
《*덕화만발* 토 일요일 공휴일은 이메일 발송이 어려워 쉽니다.》
덕화만발 카페회원 1,000명 돌파기념 자축연을 열고자합니다
<덕화만발가족 1천명 돌파 기념 자축연>
참가신청은 이 곳을 누르세요!
.....................................................................................................................................
< 청한심성 신간증정 > 신청은 이 곳을 누르세요!
카페회원께 김덕권의 최신간 <청한심성>을 무료로 증정해 드립니다 |
|
첫댓글 덕산님 좋은글 감사합니다^^*
덕화만발의 세상을 이룩하기 위해 몸바치신 덕산님께
한기운 가득 담은 에너지를 보내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항상 따뜻한 마음 밝혀주시고
항상 복 많이 지으셔서
성불제중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하하하! 감사합니다. 원심님이 있어 제가 힘이 절로납니다.
어서 [덕화만발 1천가족 자축연]이 오면 좋겠네요! 보고자푼 얼굴 모두 만날 수 있으니까요! 하하하!
목숨을 건다=완전히 미친다
라는 등식을 전 좋아합니다.
고맙습니다. 장무상망 하겠습니다.
하하하! 미치는 것 보다 환장을 해야 합니다.
환장이란 창자를 완전히 바꿔 넣는 것이니까요?
덕화만발 1천가족 준비하시느라 너무 고생이 많습니다. 하하하!
우리 이 일에 미치거나 환장하거나 둘 중에 하나합시다.
네, 선생님. 수년전 통도사 사명암 스님께서 봄에 피어나는 매화꽃을 보면 미치신다고 하시기에
전 환장한다고 해서 한바탕 웃은 적이 있습니다.
선생님의 환장 소리에 미치게 웃어 봅니다.
이왕 미치는 것 환장해 보겠습니다 ㅎㅎㅎ
고맙습니다.
역시 큰 인물은 다르십니다. 저와 통박이 맞습니다.
그런데 크고자 하는 사람은 마땅히 사람의 일을 먼저하는 것이죠. 저의 모교 배재학당의 교훈입니다.
<欲爲大者當爲人役>! 예수님 말씀입니다. 하하하! 우리 큰 사람 됩시다.
"이것이 내가 목숨을 걸 일이다"..이것을 찾기위해 전 마음공부를 먼저 하고 있습니다..나만의 꿈들이 있었지만 목숨을 걸지는 못했습니다..먼저 나를 찾고 확신하여 나를 변화시키면 목숨을 걸고 일에 매진하여 꿈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나이와 상관 없습니다.."내 영혼의 닭고기 수푸"란 책의 87쪽 "나 자신"의 글에 보면 세상, 나라, 가족을 변화시키려했지만 모두 불가능했고 죽음을 앞 둔 지금 생각하니 나를 먼저 변화 시켰더라면 가족이 먼저 변화되고 나라를 좋은 곳으로 바꾸고 또 세상까지도 변화되었을지로 글을 마침니다..내가 좋게 변화되는 것이 곧 세상을 좋게 변화하게 되는 것이니 곧 "조문도 석사가의" 입니다..
하하하! 하나를 일러 드리면 열 가지를 알아듣습니다. 그게 바로 상근기이죠.
우선 통만법명일심이 되시면 내 목숨을 걸고 행할 일을 찾으시지요.
내 인생에 가장 의미 있는 일을 찾는 것입니다. 풍요님은 해 낼 수 있습니다. 더욱 정진하소서! 하하하!
연암 박지원선생님의 말씀이 와 닿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마음거울을 청소하게 해 주셔서....
하하하! 저와 같으시군요! 우리 언제나 그 심정으로 최선을 다해 가면 좋겠습니다.
며칠 안 보이시던데 어디 다녀오셨는지요? 하하하!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