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52호
- 공식명칭 :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陜川 海印寺 藏經板殿)
- 지정일 : 1962.12.20
-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기타
- 수량/면적 : 4동
- 시대 : 조선시대
- 주소 :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해인사 (치인리)
가야산 중턱에 자리잡은 해인사는 통일신라 애장왕 3년(802)에 지은 사찰로, 왕후의 병을 부처의 힘으로 치료해 준 것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지었다고 한다.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하나이며, 8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기 때문에 법보사찰이라고도 부른다.
장경판전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8만여장의 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건물로, 해인사에 남아있는 건물 중 가장 오래 되었다. 처음 지은 연대는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조선 세조 3년(1457)에 크게 다시 지었고 성종 19년(1488)에 학조대사가 왕실의 후원으로 다시 지어 ‘보안당’이라고 했다는 기록이 있다. 산 속 깊은 곳에 자리잡고 있어 임진왜란에도 피해를 입지 않아 옛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광해군 14년(1622)과 인조 2년(1624)에 수리가 있었다.
앞면 15칸·옆면 2칸 크기의 두 건물을 나란히 배치하였는데, 남쪽 건물은 ‘수다라장’이라 하고 북쪽의 건물은 ‘법보전’이라 한다. 서쪽과 동쪽에는 앞면 2칸·옆면 1칸 규모의 작은 서고가 있어서, 전체적으로는 긴 네모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장경판을 보관하는 건물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장식 요소는 두지 않았으며, 통풍을 위하여 창의 크기를 남쪽과 북쪽을 서로 다르게 하고 각 칸마다 창을 내었다. 또한 안쪽 흙바닥 속에 숯과 횟가루,소금을 모래와 함께 차례로 넣음으로써 습도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자연의 조건을 이용하여 설계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점 등으로 인해 대장경판을 지금까지 잘 보존할 수 있었다고 평가 받고 있다.
해인사장경판전은 15세기 건축물로서 세계 유일의 대장경판 보관용 건물이며, 대장경판과 고려각판을 포함하여 1995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문화재청]
국보(國寶) 속에 국보(國寶)를 보관하다
장경판전(藏經板殿)은 13세기에 만들어진 고려 대장경판 8만여 장을 보관하는 건물이다.
내부에 보관하는 팔만대장경판, 정식명칭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陜川 海印寺 大藏經板)'도 국보(제32호)이며 세계기록유산인데, 그를 보관하는 4동의 건물인 장경판전(藏經板殿)도 국보(제52호)이며 세계문화유산이다. 뿐만아니라 장경판전에는 국보 제206호 고려목판과 보물 제734호 고려목판도 함께 보관하고 있으니 그야말로 세계적인 보물창고라고 할 수 있다.
▲ 해인사 전경, 중앙이 구광루 누각이며 그 뒤로 해인사의 주불전인 대적광전이 있고 그 위에 장경판전이 보인다. 화엄경의 주불인 비로자나불을 모신 대적광전의 위에 팔만대장경을 위치시킨 것은 해인사가 법보사찰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 장경판전은 모두 4동으로 되어 있는데 정면 15칸의 큰 건물 2동이 나란히 배치되어 북쪽의 건물을 법보전, 남쪽의 건물을 수다라장이라고 하며 두 건물의 사이에는 작은 건물인 사간고가 2동 있는데 동쪽은 동사간고, 서쪽은 서사간고라고 한다.
장경판전에서 보관하고 있는 통칭 대장경판은 몇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남북의 두 건물에는 나라에서 발간한 국간판(國刊板), 즉 팔만대장경판이 보존되어 있고 좌우 동서사간전에는 그보다 먼저 만들어진 고려시대 경판을 비롯하여 사찰에서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 만든 경판, 즉 사간판(寺刊板)이 보관되어 있다.
우리가 통칭 말하는 팔만대장경 목판이 국보 제32호이며 그밖에도 국보 제206호 고려각판과 보물 제734호 고려각판도 이곳에 모두 보관되고 있는 것이다. 국보 건물에 국보 대장경판이 2건, 보물 대장경판이 1건 보관되어 있는 것이다.
장경판전이 세워진 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나 대장경이 해인사로 옮겨진때가 1397년임을 고려할때 조선초기 목조건물로 보고 있는데 이는 세조때 판전건물을 확장했다는 기록과 성종 12년(1481) 판전보수에 착수하여 1488년에 마쳤다는 것 등을 근거로 하는 것이다. 이후 장경판전 보수공사때 발견된 묵서와 상량문에 따르면 1622년에 수다라장, 1624년에도 법보전을 수리했음을 알 수 있다.
과학으로 짓고 관리하는 장경판전
장경판전은 건물을 간결한 방식으로 처리하여 판전으로서 필요로 하는 기능만을 충족시켰을 뿐 장식적 의장을 하지 않았으며, 전·후면 창호의 위치와 크기가 서로 다르다. 통풍의 원활, 방습의 효과, 실내 적정 온도의 유지, 판가의 진열 장치 등이 매우 과학적이며, 합리적으로 되어 있는 점은 대장경판이 지금까지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는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라고 평가받고 있다.
우선 장경판전을 지은 자리의 토질 자체도 좋거니와 그 땅에 숯과 횟가루와 찰흙을 넣으므로써, 여름철의 장마기와 같이 습기가 많을 때에는 습기를 빨아들이고, 또 건조기에는 습기를 내보내곤 하여서 습도가 자연적으로 조절되게 하였다. 습기 뿐 아니라 햇빛과 통풍의 조절도 중요한데 이를 위하여는 판전의 창문도 격자창 모양으로 하였으며, 수다라전의 창은 아랫창이 윗창보다 세배로 크게 하였고 법보전의 창은 그 반대 꼴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앞쪽에서 불어오는 신선한 공기를 아랫쪽으로 잘 받아들이고 다음 건물은 순환 후 잘 나가도록 한 아주 과학적인 통풍 방법으로서, 오히려 건축 방식이 발달한 오늘날에도 따라가기 어려운 우리 선조들의 슬기를 잘 보여 준다.
▲ 아랫창이 위창보다 큰 수다라장(왼쪽), 아랫창보다 위창이 큰 법보전(오른쪽). 크기는 조금씩 다르다고 하는데 정확한 비율이나 그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 장경판전 내부. 서가 모양으로 판가(板架)를 설치하고 장경판을 차곡차곡 보관하고 있다. 바닥에서는 일정부분 띄워서 지상의 습기로부터와 살창으로부터의 햇빛 모두를 고려한 설계임을 알 수 있다.
다만 아쉽기는 장경판전 일대에 접근이 금지된 점이다.
즉, 얼마전까지는 장경판전 내부로 들어가거나 열어 볼 수는 없었지만 수다라장 중앙을 통과하여 가운데 마당을 지나가거나 살창을 통해 안을 들여다볼 수는 있었는데 2013년부터는 아예 가까이 갈 수가 없다. 밖에서 건물 모양만 바라보아야 한다. 궁금할뿐이다.
▲ 전에는 대적광전 뒤 가파른 계단을 올라 수다라장 중앙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왼쪽). 계단을 오르면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보안당(普眼堂) 현판이 걸려있으며(오른쪽) 오래된 사진에는 장경각(藏經閣) 현판이 추가로 걸려 있기도 하다.
▲ 수다라장을 들어서면 안쪽에는 수다라장(修多羅藏) 현판이 걸려있는데 수다라(修多羅)는 불교경전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의 수트라(Sutra)를 말한다. 문의 모양이 둥근 달을 닮아 월문(月門)이라고도 부르는데 특정시간대에 햇빛이 만들어내는 모습이 연꽃을 닮았다고 해서 많은 사람들이 호기심으로 머물던 곳이다(왼쪽). 가운데 마당에서 본 법보전 중앙문 위에는 법보전(法寶殿) 현판이 걸려있고 양쪽 건물을 연결하는 넓직한 보도가 잘 정비되어 있다(오른쪽). 지금은 들어갈 수 없다.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인정한 장경판전의 가치
세계유산위원회는 인사 팔만대장경은 오랜 역사와 내용의 완벽함, 그리고 고도로 정교한 인쇄술의 극치를 엿볼 수 있는 세계 불교경전 중 가장 중요하고 완벽한 경전이며, 장경판전은 대장경의 부식을 방지하고 온전한 보관을 위해 15세기경에 건축된 건축물로 자연환경을 최대한 이용한 보존과학 소산물이라며 높이 평가하고 있다.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인정받은 장경판전의 가치를 다시 정리해보면
해인사 장경판전은 15세기 건축물로서 세계 유일의 대장경판 보관용 건물이며 보관용(유물 보호각) 목조건물로서는 가장 규모가 큰 건물의 하나로, 인류 역사상 중요한 문화적·사회적·예술적·과학적·기술적 발달 등을 대표하는 특징적인 유형으로서의 가치를 지님.
- 또한 건물의 건축기법은 조선 초기의 전통적인 목조건축 양식을 보이는데, 건물 자체의 아름다움은 물론 건물 배치와 규모의 적절성, 대장경판의 보존기능에 충실하게 설계되었음. 따라서 건물 내의 환기, 온습도 조절 등 자연 기상에 적응하도록 설계되어 500년 간 깨끗하고 안전하게 경판을 보존할 수 있었음.
- 해인사 장경판전 내의 대장경판은 초조대장경이 1232년 몽고침입으로 불타자 몽고군의 격퇴를 염원하며 제작한, 세계에서 가장 완벽하고 정확한 최고(最古)의 대장경이며 그 정확성과 우수성을 널리 인정받고 있음.
해인사 장경판전은 뛰어난 역사적 중요성과 의의를 지닌 이념·신앙·사건 등과 관련된 유산으로서, 세계의 불교국가 중 인도나 중국 등의 국가에서조차 보존하지 못한 불전(佛典)을 온전하게 보존하기 위해 거국적으로 시대를 이어 정성껏 보존한 사례임.
- 해인사 장경판전에 봉안하고 있는 대장경판은 세계에서 가장 완벽하고 정확한 경판으로 한국 불교도들은 물론 세계의 불교도 및 학자들의 유명한 순례지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연구하고 지켜오고 있는 곳으로 기능하고 있음.
- 또한 해인사 대장경판은 고려왕조의 대몽항쟁 과정에서 제작된 것으로서, 당시 고려인들의 역사와 애국심, 신앙심의 결정체임.
http://senior.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8/29/2018082902534.html
내문답 : https://band.us/@4560dapsa